기술발전에 따른 청년 자기고용 직업 연구
Vocational Research on the Self-employment of Youth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 저자
- 정윤경 한상근 나현미 안유진 방혜진 곽초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0.31
- 등록일
- 2019.12.30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의 정의 14 제4절 연구 대상 직업 및 선정 기준 20 제5절 연구의 제한 31 제2장 자기고용 직업세계 변화_33 제1절 기술발전과 고용형태의 변화 35 제2절 기술발전에 따른 주요 산업 동향 54 제3절 주요 산업의 직업 개요 79 제4절 시사점 89 제3장 청년 자기고용 직업의 요구역량 및 커리어패스_91 제1절 자기고용 직업의 기본적 특성 93 제2절 자기고용 직업의 요구역량 106 제3절 자기고용 직업의 교육훈련 및 자격 127 제4절 자기고용 직업의 커리어패스 135 제5절 자기고용 직업의 향후 전망 147 제6절 시사점 154 제4장 청년 자기고용 직업인의 진로경험_157 제1절 자기고용 직업 진출 계기 159 제2절 자기고용 직업의 성공 및 실패 경험 170 제3절 자기고용 지원 정책의 개선 요구사항 176 제4절 진로교육 관점의 조언 186 제5절 시사점 195 제5장 청년 자기고용 정책 분석 및 지원 방안_197 제1절 국내 자기고용 지원 정책 분석 199 제2절 미국 자기고용 지원 정책 분석 219 제3절 청년 자기고용을 위한 정책과제 234 Summary_257 참고문헌_265 부록_281 1. 기술발전에 따른 직업과 창업 관련 문헌 고찰 283 2. 직무조사지 286 3. 면담조사지 29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발전에 따른 청년들의 자기고용 직업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자기고용 직업(일자리)의 동향과 특징, 요구역량 등을 분석하고, 기술발전에 따른 청년 자기고용 직업(일자리)의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한 지원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자기고용 직업의 개념과 연구 범위를 정의한다. 이를 위해 청년, 1인 기업, 창업, 창직, 자영업(self-employment, self-employed), 크라우드 워커(crowd workers), 긱 노동자(gig-workers), 혁신적인 사업가,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스타트업(startups), 독립계약자(independent contractors), 프리랜서(freelancers) 등 관련 용어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둘째, 기술발전에 따른 자기고용 관련 주요 산업의 동향과 관련 직업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기술발전에 따른 주요 산업의 등장 배경, 기술적 동인, 개념 및 현황 등을 분석하고 관련 직업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청년 자기고용 주요 직업을 선정하고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선정 기준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 직업을 선정하고 각 직업에 종사하는 직업인을 섭외하여 직무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해 각 직업의 직무, 요구역량 등 기본 사항, 교육훈련 및 자격, 커리어패스, 자기고용 직업 진출 계기, 성공 및 실패 사례, 지원 정책 경험 및 조언에 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넷째, 국내 및 미국의 자기고용 지원 정책을 분석하고, 청년 자기고용 직업 지원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와 미국을 중심으로 자기고용 지원 정책 사례를 분석하고,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정책과제와 학교 교육 측면에서의 지원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echnological advances are affecting not only job losses but also the emergence of new business models and types of employment. As social problems such as economic growth without employment and youth unemployment continu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le proprietorship as a niche market for job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characteristic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youth self-employment jobs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ropose support measures accordingly.
<표 1-1> 심층그룹인터뷰 개최 현황 9 <표 1-2> 미국 시애틀의 창업지원 기관 및 방문 일시 10 <표 1-3> 전문가협의회 개최 현황 11 <표 1-4> 세미나 개최 현황 12 <표 1-5> 청년의 나이 14 <표 1-6> 자기고용 관련 용어의 개념 17 <표 1-7> 조사 대상 직업 목록 27개(안) 21 <표 1-8> 선정된 조사 대상 직업(10개)의 직무 개요 23 <표 1-9> 자기고용 직업 직무조사지의 구성 항목 26 <표 1-10> 자기고용 직업 면담조사지의 구성 항목 27 <표 1-11> 직무조사 사례자의 현황 및 특성 28 <표 1-12> 면담조사 사례자의 현황 및 특성 30 <표 2-1> 2025년까지 경제적으로 영향을 미칠 12가지 파괴적 기술 36 <표 2-2>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방향 38 <표 2-3> 산업별 취업자 비중(2008, 2013, 2018년) 39 <표 2-4> 제조업의 구조 추이(2013~2017년) 40 <표 2-5> 기술변화의 파급효과 41 <표 2-6> 직무특성과 자동화 42 <표 2-7> 대분류 산업의 임금근로 일자리 수 증감 현황(2018년 4분기) 43 <표 2-8> 일자리 수 증가율 상위 15개 중분류 산업(2018년 4분기) 44 <표 2-9>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46 <표 2-10> 청년층(15~39세)의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수(2014~2018년) 48 <표 2-11> 창업기업 현황(2013~2016년) 50 <표 2-12> 산업별 1인 종사자 기업 수(2017년) 50 <표 2-13> 1인창조기업 대표자의 연령별 현황(2013, 2016년) 51 <표 2-14> ICT중소기업의 대표자 연령(2017년) 53 <표 2-15> 게임 산업 종사자 수(2015~2017년) 59 <표 2-16> 국내 3D프린팅 시장 규모(2016~2018년) 61 <표 2-17> 국내 3D프린팅 종사자 현황(2016~2018년) 62 <표 2-18> 촬영․영화 분야 드론 활용 시장 63 <표 2-19> 공유경제를 활용한 국내외 주요 업체 현황 66 <표 2-20> 전 세계 모바일 인터넷 광고비 72 <표 2-21> 동영상 광고 금액 증가 추이 비교 73 <표 2-22> 콘텐츠 산업 매출액․수출액․종사자 수 추이 76 <표 3-1> 자기고용 직업(10개)의 현장 직업명 94 <표 3-2> 자기고용 직업(10개)의 소득 96 <표 3-3> 자기고용 직업(10개)의 수익 구조 및 관계 97 <표 3-4> 자기고용 직업의 장점 및 애로사항 100 <표 3-5> 자기고용 직업(10개)의 노동여건 103 <표 3-6> 앱 개발자의 주요 업무와 지식․기술 107 <표 3-7> 게임 기획자의 주요 업무와 지식․기술 108 <표 3-8> 3D프린팅 운용 전문가의 주요 업무와 지식․기술 110 <표 3-9> 드론 항공촬영 전문가의 주요 업무와 지식․기술 111 <표 3-10> 공유숙박서비스 제공자의 주요 업무와 지식․기술 113 <표 3-11> 공유경제 플랫폼 운영자의 주요 업무와 지식․기술 115 <표 3-12> SNS 마케터의 주요 업무와 요구되는 지식․기술 117 <표 3-13> 디지털 큐레이터의 주요 업무와 요구되는 지식․기술 119 <표 3-14> 크리에이터의 주요 업무와 요구되는 지식․기술 121 <표 3-15> 생활문화 기획자의 주요 업무와 요구되는 지식․기술 122 <표 3-16> 10개 직업별 요구되는 태도 124 <표 3-17> 10개 직업별 훈련 및 숙련 기간 126 <표 3-18> 10개 직업별 학력 수준 128 <표 3-19> 10개 직업별 관련 전공,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명 129 <표 3-20> 10개 직업별 관련 자격 131 <표 3-21> 자기고용 주요 직업 관련 자격제도의 문제점 133 <표 3-22> 현직자 직무조사에서 제시된 향후 5년 후 직업 전망 147 <표 3-23> 현직자 직무조사에서 제시된 신생 직업 152 <표 4-1> 자기고용 계기 160 <표 4-2> 진출 전 습득 경로 및 정도 166 <표 4-3> 진출 영향 요인 168 <표 5-1> 각 부처 창업지원 사업의 지원단계별 분포(2019년 1월) 200 <표 5-2> 각 부처 창업지원 사업의 지원단계별 예산분포(2019년 1월) 201 <표 5-3> 각 부처의 청년지정 창업지원 사업 및 지원예산(2019년 1월) 203 <표 5-4>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지원 정책 변화(2013~2019) 204 <표 5-5> 중소벤처기업부의 사업내용별 창업지원 사업 및 예산(2019) 207 <표 5-6> 중소벤처기업부의 단계별 주요사업명, 지원대상 및 예산(2019) 208 <표 5-7> 청소년 비즈쿨 지원 사업의 주요 내용 215 <표 5-8> 교육부의 창업체험교육 연구․선도학교 현황(2019~2020년) 218 <표 5-9> Startup America Initiative의 주요 정책 219 <표 5-10>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스타트업 지원 기관 224 <표 5-11> CoMotion Lab의 주요 자기고용 지원 프로그램 226 <표 5-12> 중소기업청의 주요 자기고용 지원 프로그램 229 <표 5-13> WTIA의 주요 자기고용 지원 프로그램 231 <표 5-14> 중소벤처기업부의 초기 창업지원 정책 235 <표 5-15>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 내용 240 <표 5-16> 청년 자기고용 직업인 대상 공제금 지원 사업(안) 241 <표 5-17>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지원 내용 242 <표 5-18> 지역특화 취·창업 연계형(가칭) 245 <표 5-19>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에서 창업교육 관련 항목 247 <표 5-20>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수정안(창업교육 중심) 249 <부표 1-1> 기술발전에 따른 직업과 창업(기업) 문헌 검토 내용 283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13 [그림 1-2] 분석 대상 10개 직업 선정 과정 21 [그림 2-1] 비즈니스 서비스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45 [그림 2-2] 플랫폼 형태 비교 47 [그림 2-3]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전망 55 [그림 2-4] 국내 게임 시장 전체 규모 및 성장률(2007~2017년) 56 [그림 2-5] 국내 모바일 앱 설치 규모와 매출액 57 [그림 2-6] 소프트웨어산업 취업자 전망(산업 소분류) 58 [그림 2-7]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65 [그림 2-8] 공유경제 시장 전망 67 [그림 2-9] 서울시 airbnb 숙소 제공 추이 68 [그림 2-10] 2015~2017년 광고 시장 규모 71 [그림 2-11] 2015~2017년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 규모 71 [그림 2-12] 온라인 매체와 온라인 광고 유형별 광고비 비중 72 [그림 2-13] 인플루언서 마케팅 관심도(좌) 및 시장 규모(우) 74 [그림 2-14] 콘텐츠 산업 환경 변화 75 [그림 2-15] 1인 미디어 콘텐츠 시청 시간 78 [그림 2-16] 온라인 광고 비중 변화 78 [그림 2-17]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직업 79 [그림 2-18] 3D프린팅의 생산 및 서비스 단계에 따른 관련 직업 81 [그림 2-19] 드론의 생산 및 서비스 단계에 따른 관련 직업 82 [그림 2-20] 가치사슬에 따른 공유경제 관련 직업 83 [그림 2-21] 소셜미디어 마케팅․서비스 산업의 관련 직업 85 [그림 2-22] 콘텐츠 산업 관련 직업 87 [그림 3-1] 앱 개발자의 커리어패스 136 [그림 3-2] 게임 기획자의 커리어패스 137 [그림 3-3] 3D프린팅 운용 전문가의 커리어패스 138 [그림 3-4] 드론 항공촬영 전문가의 커리어패스 139 [그림 3-5] 공유숙박서비스 제공자의 커리어패스 140 [그림 3-6] 공유경제 플랫폼 운영자의 커리어패스 142 [그림 3-7] SNS 마케터의 커리어패스 143 [그림 3-8] 디지털 큐레이터의 커리어패스 144 [그림 3-9] 크리에이터의 커리어패스 145 [그림 3-10] 생활문화 기획자의 커리어패스 146 [그림 5-1] 창직과정 프로세스 213 [그림 5-2] 청소년 비즈쿨 사업 추진체계 217 [그림 5-3] 미국 벤처캐피털 투자 금액 221 [그림 5-4] 4차 산업혁명 위원회 조직도 23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술발전에 따른 청년 자기고용 직업 연구 | 2019.01.01~2019.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