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Strategic Means to Impro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저자
- 김봄이 나동만 임자은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0.31
- 등록일
- 2020.01.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제2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적자원개발_11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론적 배경 13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적자원개발의 관계 고찰 27 제3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인적자원개발 관계의 실증분석 결과 35 제4절 소결 54 제3장 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현황 사례 분석_57 제1절 내부 CSR의 인적자원 역량 강화 사례 60 제2절 외부 CSR의 인적자원 역량 강화 사례 73 제3절 노동조합의 사회적 책임(USR)의 인적자원 역량 강화 사례 88 제4절 소결 97 제4장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적 책임 지표 개발_101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국제 규정 및 지표 검토 103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국내 지표 검토 112 제3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지표 분석 132 제4절 지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 결과 136 제5절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적 책임 지표 153 제5장 결론 및 제언_173 제1절 지표 활용을 위한 제언 175 제2절 결과 요약 및 함의 182 Summary_187 참고문헌_189 부 록_209 1. FGI 조사 논의주제(안) 211 2. 지표 초안에 대한 항목별 전문가 의견 수렴 결과 요약 212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진다. 첫째, 기존의 인적자원 역량 강화 관련 정책들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업에서 실행하는 CSR 활동을 통해 개인의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그 방향과 조건을 무엇인지, 기업의 CSR 활동과 인적자원 역량 강화 간에 어떠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 관점에서 CSR 활동의 의의와 새로운 지표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기존 사회적 책임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 CSR에 대한 기업수준의 정량적인 지표 이외에 개인의 인적자원 개발 측면을 고려하는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CSR 활동에 대한 논의는 이제 시작 단계이지만, 이를 통해 기존 CSR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경쟁우위의 원천인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적 책임 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시켰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CSR 활동이 조직의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와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향후 사회적 책임 활동의 내적?외적 정당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 관점에서 새로운 CSR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에 자사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진단하고 실천해 볼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proposed as a means to strengthen human resources. Specifically, the examination of domestic cases in which corporations have achieved improved human resources through CSR corroborates a statement that the companies have, in reality, implemented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optimize utilization of their existing human resources and strives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by using their enhanced human resources.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s the sustainability of a firm depends on how much it hires, develops and retains human resources, particularly talented employees.
<표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다양한 정의 19 <표 2-2> 내부적 CSR과 외부적 CSR 분류 25 <표 2-3> CSR과 HR practises 간의 관계 30 <표 2-4> 측정도구의 구성 38 <표 2-5> 측정변수의 기술통계치 39 <표 2-6> 측정변수의 상호상관행렬 41 <표 2-7> 측정모형의 부합도 검증 결과 42 <표 2-8> 측정변수의 경로계수 45 <표 2-9> 잠재변인의 개념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지수 46 <표 2-10> 구조모형의 부합도 검증 결과 47 <표 2-11>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48 <표 2-12> 측정모형의 부합도 검증 결과 51 <표 2-13> 수정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52 <표 3-1> 삼성물산 임직원 교육 실적 64 <표 3-2> SK주식회사 MOOC 주요 개설 강좌 67 <표 3-3> 삼성전자 글로벌 다양성과 포용 주요 이니셔티브 68 <표 3-4> 삼성전자 국내 경력 개발 프로그램 69 <표 3-5> SK주식회사의 협력회사 교육훈련 지원 프로그램 78 <표 3-6> 2018년 LG디스플레이 USR 실적 94 <표 4-1> UN Global Compact 105 <표 4-2> GRI 가이드라인의 범주 및 측면 106 <표 4-3> ISO 26000의 일곱 가지 핵심 주제와 이슈 109 <표 4-4> ISO 26000의 노동관행 쟁점 111 <표 4-5> KEJI Index 평가항목 및 세부지표 115 <표 4-6> FKI Index 119 <표 4-7> 국내 CSR Index 주요 항목 비교 121 <표 4-8> 2011년 노사의 사회적 책임(UCSR) 세부지표 125 <표 4-9> 좋은 일자리 지표(IJD: Index of Job Desirability) 128 <표 4-10> 기업의 지식, 좋은 일자리 경영관행, 숙련노동 수요의 세부지표 131 <표 4-11> 조사대상 특성 137 <표 4-12> 투명경영과 조직 지배구조 지표 139 <표 4-13> 노동인권과 노사관계 지표 140 <표 4-14> 고용 창출과 좋은 일자리 지표 141 <표 4-15> 종업원 개발과 기타 이해관계자 지표 142 <표 4-16> 제1계층(대분류) 신뢰성 측정 143 <표 4-17> 제1계층(대분류) 중요도 143 <표 4-18> 제2계층(중분류) 신뢰성 측정 144 <표 4-19> 제2계층(중분류) 중요도 145 <표 4-20> 제3계층(투명경영과 조직 지배구조) 신뢰성 측정 146 <표 4-21> 제3계층(투명경영과 조직 지배구조) 중요도 146 <표 4-22> 제3계층(노동인권과 노사관계) 신뢰성 측정 147 <표 4-23> 제3계층(노동인권과 노사관계) 중요도 148 <표 4-24> 제3계층(고용 창출과 좋은 일자리) 신뢰성 측정 149 <표 4-25> 제3계층(고용 창출과 좋은 일자리) 중요도 150 <표 4-26> 제3계층(종업원 개발과 기타 이해관계자) 신뢰성 측정 151 <표 4-27> 제3계층(종업원 개발과 기타 이해관계자) 중요도 152 <표 4-28> 투명경영과 조직 지배구조 관련 세부지표 157 <표 4-29> 노동인권과 노사관계 관련 세부지표 160 <표 4-30> 고용창출과 좋은 일자리 관련 세부지표 164 <표 4-31> 종업원 개발과 기타 이해관계자 관련 세부지표 168 <표 4-32>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표 (최종 지표) 169 [그림 1-1] 직장에서의 스킬 활용 지수 국제비교 5 [그림 2-1] CSR에 대한 관점의 변화 양상 16 [그림 2-2] CSR 연구의 흐름 18 [그림 2-3] Carroll(1991)의 CSR 피라미드 21 [그림 2-4] Schwartz & Carroll의 3C-SR 모델 22 [그림 2-5]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적자원 역량 강화의 관계 31 [그림 2-6] 측정모형의 모숫값 추정 결과 44 [그림 2-7] 초기구조모형의 표준화 경로계수 48 [그림 2-8] 수정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51 [그림 3-1] LG디스플레이 전사교육체계 62 [그림 3-2] SK주식회사의 IDP(Individual Development Program) 66 [그림 3-3] 현대자동차 인재육성 중장기 전략 70 [그림 3-4] 현대자동차 경력개발 및 사내공모 제도 71 [그림 3-5] 주니어 물산 아카데미 개요 77 [그림 3-6] 삼성전자 상생협력 주요 프로그램 80 [그림 3-7] 현대자동차 CSV 전략체계 82 [그림 3-8] ‘청소년의 멘토 KB!’ 사업 구성도 86 [그림 4-1] 2011년 노사의 사회적 책임(UCSR) 지표 프레임 123 [그림 4-2]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적 책임 지표 프레임 154 [그림 5-1] CSR의 행위적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HRD 방법론 17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적자원 역량강화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 2019.01.01~2019.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