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스킬지도

저자
반가운 김영빈 김주리 안우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0.31
등록일
2020.01.08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8
제2장 한국의 스킬지도 국제비교와 순위_11
제1절  스킬지도 작성 개괄	13
제2절  한국의 스킬지도 요약	24
제3절  스킬지도 한국 순위 분석	32
제4절  한국의 스킬지도 국제비교 결과의 함의	69
제3장 스킬지도 영역별 국제비교_73
제1절  스킬축적 영역별 국제비교	76
제2절  스킬활용 영역별 국제비교	108
제3절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 영역별 국제비교	164
제4절  스킬과 생산성 및 행복의 관계	196
제4장 한국 내 지역별 스킬지도_219
제1절  도입	221
제2절  지역-직업별 향상훈련수요 분포 확인	225
제3절  HRD-Net 자료를 이용한 재직자훈련 실시현황 파악	247
제4절  소결	259
제5장 결론_261
제1절  분석결과 요약 및 종합	263
제2절  정책적 함의	274
SUMMARY_278
참고문헌_281
부  록_283
 본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기술하고 연구의 구성에 대해 소개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스킬지도를 히트맵 형태로 제시한다. 본 장에서는 히트맵에 대한 설명과 해석 방법을 소개한다. 히트맵 작성은 국제성인역량조사(Program for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이하 PIAAC)의 자료를 이용한다. 한국 노동시장의 스킬축적, 스킬활용,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 특성 들을 역량수준, 교육수준, 연령, 성별, 직종, 업종, 기업규모, 종사상 지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스킬지도를 본 연구에서 측정하는 스킬의 각 영역별로 보다 자세히 국제비교 해본다. 제2장이 한국의 국제비교 순위를 중심으로 스킬 정보를 요약한 것이라면, 제3장은 모든 비교대상국의 스킬 정보를 해당 영역의 실젯값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스킬지도를 통해 드러난 스킬의 축적과 활용이 국민경제 전체 차원에서의 생산성과 국민들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제4장에서는 한국의 스킬수요를 지역별로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한국 내 지역별 스킬수요는 기본적으로 16개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서 실시하는 훈련수요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별 직업별 향상훈련수요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한다.
 제5장은 결론으로 한국의 스킬지도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난 사실들을 요약하고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With the higher concerns over low economic growth and increasing inequality, the demand for happiness is higher than ever before in Korea. What are fundamental causes of Korean people's low levels of happiness represented by various related indicators, economic growth, and distribution in the national economy? There could be many factors for this phenomenon, the focus of this study is placed on individuals' skills, proficiency, and its use. This study compares diverse aspects of skills and groups of people by representing them on skill maps. The range of this study is expanded to OECD members and other partner countrie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Skill maps are generated from the data collected by the OECD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and heat maps are used as a method to display skill maps which represent different values by different colors in matrices. Higher values are displayed in a dark color on the maps, and vice versa. With the international comparisons, skill maps for inter-regional comparisons in Korea are also created from the Training Demand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commissions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
<표 2-1> 스킬관련 변수의 정의와 측정	16
<표 2-2> 집단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0
<표 2-3> 한국임금근로자의 언어점수레벨에 따른 집단 분포	22
<표 2-4> 영역별 분석대상국가의 수	23
<표 2-5> 한국의 스킬지도 요약	28
<표 3-1> 언어능력 국제비교	78
<표 3-2> 수리능력 국제비교	82
<표 3-3> 메타인지 국제비교	86
<표 3-4> 노동시장경력 국제비교	90
<표 3-5> 현직장근속 국제비교	94
<표 3-6>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비교	98
<표 3-7> 사업주완전지원 교육훈련 국제비교	102
<표 3-8> 사업주일부지원 교육훈련 국제비교	106
<표 3-9> 스킬활용통합지수 국제비교	110
<표 3-10> 읽기활용 국제비교	114
<표 3-11> 쓰기활용 국제비교	118
<표 3-12> 수리활용 국제비교	122
<표 3-13> ICT활용 국제비교 	126
<표 3-14> 문제해결(5분) 국제비교	130
<표 3-15> 문제해결(30분) 국제비교	134
<표 3-16> 과업재량 국제비교	138
<표 3-17> 직장내학습 국제비교	142
<표 3-18> 영향력 국제비교	146
<표 3-19> 협력 국제비교	150
<표 3-20> 시간자율 국제비교	154
<표 3-21> 숙달 국제비교	158
<표 3-22> 신체활동 국제비교	162
<표 3-23> 자기보고 학력과잉 국제비교	166
<표 3-24> 자기보고 학력부족 국제비교	170
<표 3-25> 자기보고 스킬과잉 국제비교	174
<표 3-26> 자기보고 스킬부족 국제비교	178
<표 3-27> 중위임금 국제비교	182
<표 3-28> 직무만족 국제비교	186
<표 3-29> 주관적건강 국제비교	190
<표 3-30> 신뢰 국제비교	194
<표 4-1> 전국단위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30
<표 4-2> 재직자훈련(NCS 대분류별/통합과정)	250
[그림 2-1] 스킬지도 영역별 한국 순위	31
[그림 2-2] 스킬축적의 스킬(활용)수준별 한국 순위	33
[그림 2-3] 스킬활용의 스킬(활용)수준별 한국 순위	35
[그림 2-4]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스킬(활용)수준별 한국 순위	36
[그림 2-5] 스킬축적의 교육수준별 한국 순위	37
[그림 2-6] 스킬활용의 교육수준별 한국 순위	39
[그림 2-7]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교육수준별 한국 순위	40
[그림 2-8] 스킬축적의 연령대별 한국 순위 	41
[그림 2-9] 스킬활용의 연령대별 한국 순위	43
[그림 2-10]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연령대별 한국 순위	44
[그림 2-11] 스킬축적의 성별 한국 순위	45
[그림 2-12] 스킬활용의 성별 한국 순위	47
[그림 2-13]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성별 한국 순위 	48
[그림 2-14] 스킬축적의 고용관계별 한국 순위	49
[그림 2-15] 스킬활용의 고용관계별 한국 순위	51
[그림 2-16]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고용관계별 한국 순위	52
[그림 2-17] 스킬축적의 직종별 한국 순위	53
[그림 2-18] 스킬활용의 직종별 한국 순위	55
[그림 2-19]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직종별 한국 순위	56
[그림 2-20] 스킬축적의 업종별 한국 순위	57
[그림 2-21] 스킬활용의 업종별 한국 순위	59
[그림 2-22]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업종별 한국 순위	60
[그림 2-23] 스킬축적의 부문별 한국 순위	61
[그림 2-24] 스킬활용의 부문별 한국 순위	63
[그림 2-25]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부문별 한국 순위	64
[그림 2-26] 스킬축적의 기업규모별 한국 순위	65
[그림 2-27] 스킬활용의 기업규모별 한국 순위	67
[그림 2-28] 스킬미스매치 및 기타변수의 기업규모별 한국 순위	68
[그림 3-1] 생산성의 국가 순위	197
[그림 3-2] 분배의 국가 순위	198
[그림 3-3] 행복의 국가 순위	199
[그림 3-4] 스킬-생산성 상관관계	200
[그림 3-5] 스킬-분배 상관관계	206
[그림 3-6] 스킬-행복 상관관계	211
[그림 3-7] 생산성-행복, 분배-행복 상관관계	217
[그림 4-1] 지역별 향상훈련 수요 상위 3개 직종(KECO 소분류 기준)	228
[그림 4-2] 상위10위 직종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32
[그림 4-3] 수도권 향상훈련수요 상위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42
[그림 4-4] 충청권 향상훈련수요 상위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43
[그림 4-5] 부울경 향상훈련수요 상위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44
[그림 4-6] 호남권 향상훈련수요 상위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45
[그림 4-7] 강원 및 대경권 향상훈련수요 상위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수요비중	246
[그림 4-8] 직업훈련 사업체계	248
[그림 4-9] 재직자 훈련(NCS 통합과정)	25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의 스킬지도 2019.01.01~2019.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