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질적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대학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A Research on Supporting Plans to Enhance Career Guidance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to Cope with Job Qualitative Mismatches
- 저자
- 이민욱 김대영 장현진 박동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1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0.31
- 등록일
- 2020.01.08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8 제3절 연구의 방법 11 제2장 선행연구 고찰_15 제1절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17 제2절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현황 및 사례 35 제3절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54 제3장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모델 및 요구도 분석 설계_85 제1절 진로지도 역량 모델 개발 방법 87 제2절 진로지도 역량 모델 검증 및 요구도 분석 방법 93 제4장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모델 및 요구도 분석 결과_99 제1절 진로지도 역량 모델 개발 결과 101 제2절 진로지도 역량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 요구도 분석 결과 129 제3절 역량 모델 및 요구도 분석 결과에 대한 종합 142 제5장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_147 제1절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향 149 제2절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전략 154 SUMMARY_171 참고문헌_175 부 록_189 1. 1차 델파이 조사지 191 2. 2차 델파이 조사지 198 3. 설문조사지 212 4. 역량 모델 수정대조표 221
본 연구는 청년의 일자리 질적 미스매치 대응을 위해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 방안 도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을 위한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의 정의 및 행동지표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셋째,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개발 요구는 어떠한 수준인가? 넷째, 대학 및 국가 차원에서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career guidance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to cope with job qualitative mismatches of young people and to suggest supporting plans to enhance the career guidance competency of faculty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cess was carried out. First,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components of career guidance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were examined by literature review. Next, the expert panel which consists of 20 career guidance experts and 10 competency experts was organized to conduct two rounds of Delphi. For the first Delphi, 27 members of expert panel had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based on the results, a draft of career guidance competency model was drawn. For the second Delphi, 26 members of expert panel had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each expert panel members’ opinions about ① Adequacy of competency definition, ② Adequacy of behavioral indicators, ③ Supporting plans on competency building were investigated. The competency model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survey results and opinions on supporting plans for competency enhancing are classified into national and university levels....
<표 2-1>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가율 18 <표 2-2> 연령대별 고용률 18 <표 2-3> 연령대별 실업률 19 <표 2-4> 학력 수준별 경제활동 참가율 20 <표 2-5> 학력 수준별 고용률 20 <표 2-6> 학력 수준별 실업률 21 <표 2-7> 20~29세의 학력 수준별 실업률 22 <표 2-8> 대졸자의 연도별 전공-직업 일치 수준 23 <표 2-9> 대졸자의 학력, 스킬 불일치 28 <표 2-10> 대졸자의 전공 불일치 28 <표 2-11> 4년제 대졸자의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 유형에 따른 일자리 만족도 31 <표 2-12> 4년제 대졸자의 미스매치, 일자리 만족도, 이직 준비 및 월평균 근로소득의 상관관계 33 <표 2-13> 대학생의 대학생활 고민 36 <표 2-14> 학생 진로·취업지도 시 필요한 지원 41 <표 2-15> 목포대학교 교수업적평가 규정(교육 영역)의 진로지도 항목 48 <표 2-16> 우수성과자의 특성을 강조하는 역량의 개념 55 <표 2-17> 역량 모델 개발 방법 61 <표 2-18> 역량 모델의 장점 64 <표 2-19> 진로상담전문가의 요구역량 66 <표 2-20> 진로 및 직업 상담전문가의 요구역량 68 <표 2-21>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70 <표 2-22>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요구역량 71 <표 2-23> 일반교원의 진로지도 및 상담 역량 72 <표 2-24>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74 <표 2-25> 미국 NCDA의 진로개발촉진자 및 진로상담 역량 76 <표 2-26> IAEVG의 진로개발 전문가 역량 78 <표 2-27> 호주 CICA의 진로지도전문가 역량 79 <표 2-28> 국내외 진로지도전문가 역량 비교 81 <표 3-1> 델파이 참여 대상, 인원 및 선정준거 89 <표 3-2> 1차 델파이 조사 문항 91 <표 3-3> 2차 델파이 조사 문항 92 <표 3-4> 설문조사 문항 구성 94 <표 3-5>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95 <표 4-1> 1차 델파이 결과 도출된 역량 모델(안) 102 <표 4-2> 1차 델파이 결과 수정·통합된 역량 모델(안) 104 <표 4-3> 학생지향성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05 <표 4-4> 친교적 의사소통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07 <표 4-5> 정보 수집 및 활용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09 <표 4-6> 교내외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11 <표 4-7> 경력개발 동기부여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13 <표 4-8> 주도적 진로지도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15 <표 4-9> 고용가능성 개발 역량 정의 및 행동지표 델파이 조사 결과 117 <표 4-10>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명 및 정의 수정안 118 <표 4-11>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모델 행동지표 121 <표 4-12>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모델의 모델적합도 분석 결과 123 <표 4-13>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모델의 집중타당성 124 <표 4-14>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세부 역량 간 상관분석 결과 126 <표 4-15>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수준과 기준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127 <표 4-16>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세부 역량별 수준과 기준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128 <표 4-17>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개발의 우선순위 129 <표 4-18>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개발의 우선순위 결정 132 <표 4-19>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국가 수준) 목록 132 <표 4-20>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국가 수준)의 우선순위 134 <표 4-21>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국가 수준) 우선순위 결정 136 <표 4-22>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대학 수준) 목록 137 <표 4-23>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대학 수준)의 우선순위 139 <표 4-24>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대학 수준) 우선순위 결정 141 <표 5-1>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 152 [그림 2-1] 대졸자의 연도별 전공-직업 일치 수준 24 [그림 2-2] 4년제 대졸자의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 유형에 따른 일자리 만족도 31 [그림 2-3] 대학생의 진로문제 상담 대상 및 도움 받고 싶은 대상 38 [그림 2-4]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관련 적절한 직무범위에 대한 인식 39 [그림 2-5] 애리조나 주립대학 eAdvisor 웹사이트 화면 45 [그림 2-6] 상명대학교 취업지원팀 e-포트폴리오 시스템 안내 46 [그림 2-7] 프랑스 파리6대학교 홈페이지의 교수진 역할의 일부 51 [그림 2-8]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책임지도교수 상담 안내 공지 53 [그림 3-1] 역량 모델 개발 과정 87 [그림 3-2] Borich 요구도 산출 공식 98 [그림 4-1]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모델 120 [그림 4-2] 대학 교원 진로지도 역량 개발 The Locus for Focus Model 131 [그림 4-3] 국가 수준 정책적 지원 방안 The Locus for Focus Model 136 [그림 4-4] 대학 수준 정책적 지원 방안 The Locus for Focus Model 141 [그림 5-1] 대학 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 정책 지원 방향 14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청년 일자리 질적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대학교원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 2019.01.01~2019.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