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운영방안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Support Centers’Outcome Evaluation
- 저자
- 장혜정 박화춘 박동찬 윤지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4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0.31
- 등록일
- 2020.01.08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8 제3절 연구의 방법 10 제2장 진로체험지원센터 현황 분석_17 제1절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현황 조사 19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현황 조사 26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40 제3장 성과평가 사례 분석_45 제1절 국내 사례 분석 47 제2절 해외 사례 분석 89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08 제4장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기준 개발_113 제1절 성과평가 기준 개발 과정 115 제2절 성과평가 평가 항목 및 지표 개발 119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70 제5장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및 성과관리 우수사례_175 제1절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성과 177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 센터 성과 우수사례 181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22 제6장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운영방안 및 정책 제언_231 제1절 성과평가 운영방안 233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249 SUMMARY_259 참고문헌_267 부록_275 1.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현황 조사지(17개 시·도교육청 대상) 277 2. 성과평가 평가 항목 개발을 위한 사전 설문조사지(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 실무자 및 전담자 대상) 280 3. Carnegie Community Engagement Classification의 평가 기준 283 4. 델파이 조사지(1차) 286 5. 1차 델파이 의견수렴 및 처리 결과 301 6. 델파이 조사지(2차) 309 7. 2차 델파이 의견수렴 및 처리 결과 325 8. 기타 성과 우수사례 관련 자료 333
본 연구는 진로체험의 질 제고 및 센터 간 격차 해소, 센터 운영 성과 제고를 위한 성과평가 운영방안 및 정책 방향의 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평가는 17개 시·도교육청이 센터 운영 사항에 대한 성과지표를 시도별로 자체적으로 설정하여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17개 시·도의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질 관리를 위한 표준 부재와 이로 인한 한계점이 있으며, 보다 공신력 있는 지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에 보다 객관적인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지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성과평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시·도교육청별 진로체험지원센터의 분기별 현황 관리 및 공신력 있는 운영 성과평가 결과 등을 활용하여, 다소 성과가 떨어지는 센터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 제공 및 유형별 우수사례 발굴, 우수 성과 센터에 대한 인센티브(재정적 지원, 프로젝트 사업의 기회 부여 등)를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거하여 전국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성과를 종합할 수 있는 현황 조사 및 성과평가 기준 개발, 성과평가 운영방안 도출을 통한 진로체험의 질 제고 및 센터 간 격차 해소, 센터 운영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indices for measuring the results of the work and performance of the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support centers. Next, this study aimed at deriving a new strategic plan for a better management of the centers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program and management qualities among centers via deriving a new management plan and presenting models of the best cases, and to suggest new possible policies for assessing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of each center. ...
<표 1-1>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현황(2019.8. 기준) 5 <표 1-2> 주요 연구 방법 요약 10 <표 1-2> 주요 연구 방법 요약 11 <표 1-3> 주요 전문가 회의 및 FGI 실시 내역 14 <표 1-4> 주요 심층인터뷰 진행 내역 14 <표 2-1>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주요 역할 21 <표 2-2> 연간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현황 22 <표 2-3> 지역별 진로체험지원센터 현황(2019.8. 기준) 23 <표 2-4> 연간 진로체험지원센터 인력 현황 24 <표 2-5> 연간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예산 현황(전국 평균) 25 <표 2-6> 성과평가 실시 현황 조사 결과 27 <표 2-7> 평가 추진체계 - 시·도교육청 주관 평가 예시 28 <표 2-8> 평가 추진체계 - 교육지원청 자체평가 예시 28 <표 2-9>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현황 조사 ? 평가 프로세스 예시 29 <표 2-10> 지역별 정량·정성 지표 비율 30 <표 2-11> 진로체험지원센터 관련 근무 경력 33 <표 2-12> 근무기관(소속)유형 34 <표 2-13> 현재 담당 직무(성과평가 관련 직무) 34 <표 2-14>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운영방안 인식·요구 조사(일부 발췌) 35 <표 2-15>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필요성 - 근무 유형별 36 <표 2-16>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필요성 - 직무별 36 <표 2-17> 현행 성과평가 방식 적절성 - 근무 유형별 37 <표 2-18> 현행 성과평가 방식 적절성 - 직무별 37 <표 2-19>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현행 방식의 부적절성에 대한 주요 의견 38 <표 3-1>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항목 및 운영방안 도출을 위한 국내 사례 분석 요약 48 <표 3-2> 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 발전 단계별 성과 49 <표 3-3> A구 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 자체 성과평가 지표 50 <표 3-4>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현장 모니터링 체크리스트 예시 51 <표 3-5>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학생 52 <표 3-6>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예산 집행 점검 항목 53 <표 3-7> 안전한 경기형 체험학습 프로그램 인증제 필수 인증심사기준 57 <표 3-8> 안전한 경기형 체험학습 프로그램 인증제 추가 인증심사기준 58 <표 3-9>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법령 근거 60 <표 3-10> 지역아동센터 운영 평가 개요 64 <표 3-11> 지역아동센터 운영 평가 지표 ? 진입평가·심화평가 68 <표 3-12> 2019 청소년수련관 종합평가 지표 72 <표 3-13> 시군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성과평가 지표(1안) 74 <표 3-14> Wee센터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 76 <표 3-15>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성과평가 득점 구간별 등급 82 <표 3-16>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성과평가 지표 83 <표 3-17> 2019년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 지표와 측정산식 85 <표 3-18> 청소년자활지원프로그램 평가 추진체계 87 <표 3-19> 청소년자활지원프로그램 평가 지표(안) 87 <표 3-20> 미국 갭이어 협회 회원 가입 기관 90 <표 3-21> 미국 갭이어 협회(GYA) 기관 가입 조건 92 <표 3-22> 미국 갭이어 협회(Gap Year Association) 성과 표준 지표 95 <표 3-23> 조지아대학교 프로그램 검토 및 평가위원회 평가 내용 97 <표 3-24> Fair Trade Learning(FTL) 루브릭 99 <표 3-25> 영국 YOG 기관 질 관리 지표 103 <표 3-26> 영국 Gatsby Career Benchmark 내용 103 <표 4-1> 성과평가 기준 개발 과정 요약 115 <표 4-2>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지표 도출(1차) 124 <표 4-3> 1차 델파이 조사지 - 전체 영역에 대한 평가(일부 발췌) 130 <표 4-4> 평가 지표 적합성에 대한 의견 및 반영 사항 132 <표 4-5> 추가 지표 제안 사항 및 반영 사항 133 <표 4-6>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지표 수정(안) 136 <표 4-7> 진로체험지원센터 최종 성과평가 지표 141 <표 4-8> 기관역량 평가 지표 - 목표 146 <표 4-9> 기관역량 평가 지표 - 예산 148 <표 4-10> 기관역량 평가 지표 ? 조직 150 <표 4-11> 기관역량 평가 지표 ? 물적 환경 152 <표 4-12> 운영과정 평가 지표 ? 양질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153 <표 4-13> 운영과정 평가 지표 - 진로체험처 관리 155 <표 4-14> 운영과정 평가 지표 - 홍보 157 <표 4-15> 운영과정 평가 지표 - 교강사 관리 158 <표 4-16> 운영과정 평가 지표 - 지역사회 진로생태계 구축 160 <표 4-17> 운영 성과평가 지표 - 진로체험처 발굴 성과 162 <표 4-18> 운영 성과평가 지표 - 참여학교 및 참여자 수 163 <표 4-19> 운영 성과평가 지표 - 환류 체계 164 <표 4-20> 운영 성과평가 지표 - 참여자 만족도 166 <표 4-21> 운영 성과평가 지표 - 참여기관 만족도 167 <표 4-22> 특성화 지표 - 센터 특성화 사업 168 <표 5-1> 진로체험지원센터 주요 성과 178 <표 5-2> 초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 현황 및 만족도, 향후 참여 학생 희망 179 <표 5-3> 중·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 현황 및 만족도, 향후 참여 학생 희망 180 <표 5-4>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및 성과관리 우수사례 목록 182 <표 5-5> 대학기관과 연계한 현장진로체험 사전교육 개발·진행 186 <표 5-6> 직업체험에 대한 사전 안내(부산 해운대구 진로교육지원센터) 191 <표 5-7> 논산계룡 진로체험지원센터 진로직업체험처 및 체험 프로그램 현황(2017.3.1.~2019.8.31.) 203 <표 5-8> 영광 진로체험지원센터 지역 특화 진로체험 프로그램 208 <표 5-9> 봉화 진로체험지원센터 교육기부 인력풀 예시 222 <표 6-1> 진로체험지원센터 최종 성과평가 지표 및 핵심지표 237 <표 6-2>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운영 기본 절차(안) 241 <표 6-3>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사업 추진체계 248 [그림 2-1]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모형 20 [그림 2-2]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주요 역할에 따른 성과에 대한 인식 40 [그림 3-1] 서울교육인증기관 선정기준 55 [그림 3-2]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인증심사 흐름도 62 [그림 3-3]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인증지표 63 [그림 3-4] 지역아동센터 진입, 심화 평가 절차 67 [그림 3-5] 청소년수련시설 평가 단계와 절차 71 [그림 3-6] 훈련기관 인증평가 항목 및 배점 79 [그림 3-7] 훈련기관 인증평가 현장평가 항목 및 배점 80 [그림 3-8] 훈련기관 인증평가 성과평가 항목 및 배점 80 [그림 3-9] 아일랜드 Whole School Guidance 108 [그림 6-1] 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 제고를 위한 실천 과제 25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진로체험지원센터 성과평가 운영방안 | 2019.05.01~2019.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