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기초통계(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47
<표 2-2>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 비율(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48
<표 2-3> 시간빈곤 및 소득빈곤 결정요인 추정 56
<표 2-4> 결합빈곤 비율 분포 추이 60
<표 2-5> 결합빈곤 결정요인 추정: 다항 로짓 모형 61
<표 2-6>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기초통계 64
<표 2-7>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 비율(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65
<표 2-8> 시간빈곤과 소득빈곤의 결정요인: 로짓 모형과 프로빗 모형 추정 결과(임금근로자) 69
<표 2-9> 결합빈곤 지위 분포 비율 추이 72
<표 2-10> 결합빈곤 지위 결정요인: 임금근로자 대상 통합 다항 로짓 모형 73
<표 2-11> 경활 부가조사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분석 결과비교(기초통계: 인적특성별 시간·임금빈곤 비율) 77
<표 2-12> 경활 부가조사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분석 결과비교(로짓/프로빗 모형과 다항 로짓 모형: 시간빈곤, 소득빈곤 및 결합빈곤 지위 결정 요인) 78
<표 3-1> 분석대상의 특성 88
<표 3-2> 생활시간의 구분 90
<표 3-3> 노동 여부에 따른 생활시간의 평균량 94
<표 3-4> 종사상 지위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98
<표 3-5> 직업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104
<표 3-6> 산업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111
<표 3-7> 배우자 유무에 따른 생활시간의 평균량 117
<표 3-8> 가족생애주기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122
<표 3-9> 생활시간의 유형별 빈도 및 시간의 구성 130
<표 3-10> 생활시간의 유형별 설명요인 기술분석 137
<표 3-11> 생활시간의 유형별 설명요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143
<표 4-1> OECD 국가별 시간빈곤율 156
<표 4-2> 시간빈곤의 개념 정의와 측정 방식 검토 158
<표 4-3> 시간 사용의 활동 내용 165
<표 4-4> 구간별 근로외소득의 평균값 및 중위값 169
<표 4-5> 시간빈곤의 측정 방식 173
<표 4-6> 이중빈곤의 측정 방식 174
<표 4-7> 활동별 시간 사용 실태 175
<표 4-8> 시간빈곤 영역별 시간 사용 실태 176
<표 4-9>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시간 사용 실태 179
<표 4-10>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필수시간 및 재량시간 사용 실태 183
<표 4-11>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시간빈곤율 188
<표 4-12>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이중빈곤율 192
<표 4-13>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학업 및자기개발 실태 195
<표 4-14> 활동별 시간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상관분석 198
<표 4-15> 시간빈곤 영역 시간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상관분석 199
<표 4-16> 시간빈곤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차이분석 201
<표 4-17> 시간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통제변수 투입 전) 202
<표 4-18> 자유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4
<표 4-19> 총노동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5
<표 4-20> 유급노동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6
<표 4-21> 활용가능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7
<표 4-22> 재량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8
<표 4-23> 이중빈곤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차이분석(영역별) 210
<표 4-24> 이중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통제변수 투입 전) 211
<표 4-25> 이중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12
<표 5-1>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유형 223
<표 5-2> 초점집단 면접대상 및 면접 일정 229
<표 5-3> 제조업 및 서비스업 인사담당자 응답자 특성 230
<표 5-4> 제조업 및 서비스업 재직자 응답자 특성 230
[그림 1-1] 연구의 개요 11
[그림 2-1] 시간 활용과 재량시간의 제도적 결정 기제 20
[그림 2-2] 결합빈곤 지위의 규정 39
[그림 2-3] 시간빈곤과 일생활균형, 직업능력개발의 관계 40
[그림 2-4] 임금근로자의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의 비율 추이 49
[그림 2-5] 정규직 여부, 종사상 지위별 및 유연근무제 실시 여부에따른 시간빈곤 상대확률(준거: 상용, 비정규직, 유연근무제미실시), 유연근무제 변수 추가 53
[그림 2-6] 시간빈곤 및 남성의 훈련경험 상대확률(준거: 시간비빈곤, 여성) 54
[그림 3-1] 노동 여부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96
[그림 3-2] 노동 여부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96
[그림 3-3] 종사상 지위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01
[그림 3-4] 종사상 지위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02
[그림 3-5] 직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07
[그림 3-6] 직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08
[그림 3-7] 산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14
[그림 3-8] 산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15
[그림 3-9] 배우자 유무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18
[그림 3-10] 배우자 유무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19
[그림 3-11]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25
[그림 3-12]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26
[그림 3-13] 생활시간의 유형화 과정 131
[그림 4-1] 시간빈곤과 소득빈곤의 구성 154
[그림 4-2] 자유・여가시간을 중심으로 한 시간빈곤 155
[그림 4-3] 노동시간을 중심으로 한 시간빈곤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