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생활균형 사회와 직업능력개발

Work-Life Balance and Skills Development
저자
류기락 이수경 조미라 노혜진 박상오 안우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0.31
등록일
2020.01.08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8
제2장 노동시간과 일생활균형_13
제1절 일생활균형의 핵심요인	16
제2절 노동시간 분포 및 구조와 일생활균형	42
제3장 생활시간과 일생활균형_81
제1절 논의의 배경	83
제2절 자료와 방법론	87
제3절 생활시간의 기술분석	92
제4절 생활시간의 유형화 분석	127
제5절 소결	145
제4장 시간빈곤과 일생활균형_149
제1절 시간빈곤과 재량시간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51
제2절 연구 방법	164
제3절 시간빈곤 실태	175
제4절 시간빈곤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의 관계	197
제5절 소결	214
제5장 일생활균형의 현재와 요구_219
제1절 일생활균형과 직업능력개발	222
제2절 노동자 및 인사담당자의 일생활균형 인식	228
제3절 일생활균형을 위한 정책과제	261
제6장 결론_267
제1절 논의의 요약	269
제2절 정책 제언	273
SUMMARY_283
참고문헌_285
부  록_301
1.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 비율(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303
2. 재직자 및 인사담당자 대상 FGI 설문 내용	 316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시장과 생활세계에서 일생활균형의 현황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장시간 노동체제의 극복과 노동시장 및 생활세계에서 시간빈곤의 해소 및 재량시간의 확보를 위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첫째, 노동시장에서의 지위와 위치에 따른 일생활균형의 조건 및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구학적 특성, 일자리 특성, 가구 구성 등에 따라 일생활 균형을 위한 시간 관리/활용, 즉 재량시간 확보 가능성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규명한다. 
 둘째, 일생활균형 친화적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핵심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다수의 일생활균형 정책은 1) 근로조건의 개선, 2) 돌봄 및 양육 부담의 완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직업능력개발 정책이 일생활균형이 미치는 영향이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행 일생활균형 관련 주요 제도와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정합성 확보 방안을 모색한다. 즉, 현재 직업능력개발 정책이 일생활 균형의 핵심요건 충족이라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위치에 자리매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노동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직업능력개발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다양한 노동환경의 변화 중에서도 범부처 차원에서 중점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일생활균형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유연근무제, 시간선택제 등 다양한 노동 형태 등장에 대응한 직업능력개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ime is valuable, but unequally distributed resource. Recent decades have seen an emerging interest in work-life balance that allows one to secure sufficient income in the workplace and to meet care demands for the family.
Korea has pursued an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based on inputs and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out the era of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and maintained a working time regime with long work hours for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labor markets and production organization are under transition due to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Demands for new organization culture and workplace innovation have been on an increase as well. ...
<표 2-1> 기초통계(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47
<표 2-2>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 비율(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48
<표 2-3> 시간빈곤 및 소득빈곤 결정요인 추정	56
<표 2-4> 결합빈곤 비율 분포 추이	60
<표 2-5> 결합빈곤 결정요인 추정: 다항 로짓 모형	61
<표 2-6>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기초통계	64
<표 2-7>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 비율(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65
<표 2-8> 시간빈곤과 소득빈곤의 결정요인: 로짓 모형과 프로빗 모형 추정 결과(임금근로자)	69
<표 2-9> 결합빈곤 지위 분포 비율 추이	72
<표 2-10> 결합빈곤 지위 결정요인: 임금근로자 대상 통합 다항 로짓 모형	73
<표 2-11> 경활 부가조사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분석 결과비교(기초통계: 인적특성별 시간·임금빈곤 비율)	77
<표 2-12> 경활 부가조사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분석 결과비교(로짓/프로빗 모형과 다항 로짓 모형: 시간빈곤, 소득빈곤 및 결합빈곤 지위 결정 요인)	78
<표 3-1> 분석대상의 특성	88
<표 3-2> 생활시간의 구분	90
<표 3-3> 노동 여부에 따른 생활시간의 평균량	94
<표 3-4> 종사상 지위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98
<표 3-5> 직업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104
<표 3-6> 산업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111
<표 3-7> 배우자 유무에 따른 생활시간의 평균량	117
<표 3-8> 가족생애주기별 생활시간의 평균량	122
<표 3-9> 생활시간의 유형별 빈도 및 시간의 구성	130
<표 3-10> 생활시간의 유형별 설명요인 기술분석	137
<표 3-11> 생활시간의 유형별 설명요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143
<표 4-1> OECD 국가별 시간빈곤율	156
<표 4-2> 시간빈곤의 개념 정의와 측정 방식 검토	158
<표 4-3> 시간 사용의 활동 내용	165
<표 4-4> 구간별 근로외소득의 평균값 및 중위값	169
<표 4-5> 시간빈곤의 측정 방식	173
<표 4-6> 이중빈곤의 측정 방식	174
<표 4-7> 활동별 시간 사용 실태	175
<표 4-8> 시간빈곤 영역별 시간 사용 실태	176
<표 4-9>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시간 사용 실태	179
<표 4-10>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필수시간 및 재량시간 사용 실태	183
<표 4-11>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시간빈곤율	188
<표 4-12>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이중빈곤율	192
<표 4-13>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 특성별 및 가구 특성별 학업 및자기개발 실태	195
<표 4-14> 활동별 시간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상관분석	198
<표 4-15> 시간빈곤 영역 시간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상관분석	199
<표 4-16> 시간빈곤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차이분석	201
<표 4-17> 시간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통제변수 투입 전)	202
<표 4-18> 자유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4
<표 4-19> 총노동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5
<표 4-20> 유급노동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6
<표 4-21> 활용가능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7
<표 4-22> 재량시간 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08
<표 4-23> 이중빈곤과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 간 차이분석(영역별)	210
<표 4-24> 이중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통제변수 투입 전)	211
<표 4-25> 이중빈곤이 학업 및 자기개발 시간에 미치는 영향(개인 및 가족 영역 통제)	212
<표 5-1>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유형	223
<표 5-2> 초점집단 면접대상 및 면접 일정	229
<표 5-3> 제조업 및 서비스업 인사담당자 응답자 특성	230
<표 5-4> 제조업 및 서비스업 재직자 응답자 특성	230
[그림 1-1] 연구의 개요	11
[그림 2-1] 시간 활용과 재량시간의 제도적 결정 기제	20
[그림 2-2] 결합빈곤 지위의 규정	39
[그림 2-3] 시간빈곤과 일생활균형, 직업능력개발의 관계	40
[그림 2-4] 임금근로자의 장시간 근로, 시간빈곤, 소득빈곤의 비율 추이	49
[그림 2-5] 정규직 여부, 종사상 지위별 및 유연근무제 실시 여부에따른 시간빈곤 상대확률(준거: 상용, 비정규직, 유연근무제미실시), 유연근무제 변수 추가	53
[그림 2-6] 시간빈곤 및 남성의 훈련경험 상대확률(준거: 시간비빈곤, 여성)	54
[그림 3-1] 노동 여부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96
[그림 3-2] 노동 여부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96
[그림 3-3] 종사상 지위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01
[그림 3-4] 종사상 지위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02
[그림 3-5] 직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07
[그림 3-6] 직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08
[그림 3-7] 산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14
[그림 3-8] 산업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15
[그림 3-9] 배우자 유무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18
[그림 3-10] 배우자 유무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19
[그림 3-11]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남성)	125
[그림 3-12]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시간대별 생활시간의 구성(여성)	126
[그림 3-13] 생활시간의 유형화 과정	131
[그림 4-1] 시간빈곤과 소득빈곤의 구성	154
[그림 4-2] 자유・여가시간을 중심으로 한 시간빈곤	155
[그림 4-3] 노동시간을 중심으로 한 시간빈곤	15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일생활균형 사회와 직업능력개발 2019.01.01~2019.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