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를 활용한 숙련수요 분석

Analysis of Skill Demand Using Real-Time Labor Market Information
저자
홍광표 설귀환 박상오 문혜정
분류정보
기본연구(2019-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0.31
등록일
2020.01.08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5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8
제2장 선행연구 및 관련 연구동향_11	
제1절 전통적 노동시장 정보와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의 특징	 13
제2절 실시간 노동정보를 활용한 해외 사례	 20
제3절 구인공고를 활용한 분석 국내 사례	 36
제4절 소결	 45
제3장 숙련수요 분석을 위한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의 접근가능성_47
제1절 분석자료의 수집 대상 및 적합성	 49
제2절 분석자료의 수집	 60
제3절 소결	 66
제4장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를 활용한 숙련수요 분석_67
제1절 채용공고 자료의 일반적 특성	 69
제2절 LDA 분석 기반의 숙련수요 분석	 80
제3절 직무-숙련 연관성 파악을 통한 숙련수요 분석	 87
제4절 소결	 104
제5장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발전 방안_107
제1절 정책적 시사점	 109
제2절 향후 발전 방안	 111
SUMMARY_119
참고문헌_121
부  록_125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공학 등 기술의 발전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반면, 미래의 새로운 기회가 주는 혜택을 받을 준비가 안 된 노동자들은 기술발전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ILO, 2019). 모두가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는 미래를 이야기하는 가운데 청년층에게는 더욱 어려워지는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도움이 되고,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노동자들 중 은퇴가 가까운 이들에게는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하며, 이는 생애 전반에 걸쳐 사회의 역동성을 증가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렇듯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에 대한 신속하고 실질적인 정보의 제공이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는 현재의 산업이나 직업 분류체계를 통해서는 설명할 수 없는 신산업이나 신직업군이 나타날 전망이기 때문에, 기존의 노동시장 정보만으로는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시장과 관련해서는 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정보의 분석을 통해 학교나 노동시장, 훈련시장 등에 정보를 전달해 왔다. 통계청이나 고용노동부 등에서 생성되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노동시장 정보는 주요한 정보(key information)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취업자 수, 미취업자 수, 취업률, 산업별?직업별 임금, 노동의 공급과 수요에 대한 지표, 노동력의 특징 등을 들 수 있다. 연구자들 또는 분석가들은 이러한 노동시장 정보를 분석하여 구직자나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학교나 직업훈련기관들은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과 훈련과정을 설계하는 등 일련의 과정에 활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숙련에 대한 수요일 것이다. 노동시장 정보 중 교육이나 직업훈련 등과 중요한 접점으로 어떤 산업이나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이나 숙련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는 것은 늘 중요한 이슈였음에 틀림없다. 숙련수요를 분석하거나 추정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의 요구 사항이 반영되는 분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요’라 하면, 경제학의 관점에서 사용되는 ‘수요량’을 떠올리기가 쉽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숙련에 대한 수요량을 수치적으로 제시하는 관점이 아닌  ‘필요’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어떤 직업 또는 직무에서 필요한 기술이나 요건에 대한 수치 정보뿐만이 아니라, 시각화된 자료로 제공하여 숙련에 대한 수요를 보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 선진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실시간 노동시장의 정보로서 구인광고로 대표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를 활용한 숙련수요의 분석이 가능한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analyzing demand for skills using real-time labor market information in Korea provided by job advertisements.
 It is always considered an important issue to understand the need for the skills or skills required by the industry or profession as an important point of contact when developing policie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among various labor market information. In addition, an analysis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employer is needed to analyze or evaluate these skill needs. In this study, advanced countries introduced cases of analyzing real-time labor market inform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and domestic case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benchmarking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from job advertisements. ...
<표 2-1> 전통적/실시간 노동시장 정보의 특징 	19
<표 2-2> Cedefop 온라인 채용 공석 분석시스템 개발의 주요 마일스톤	21
<표 2-3> 미국의 주별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 활용 사례	30
<표 2-4> 구인공고를 활용한 분석 사례 종합 	43
<표 3-1> ‘사람인’ 오픈API의 요청 변수 목록 	53
<표 3-2> ‘사람인’ 오픈API의 출력 결과 목록 	54
<표 3-3> 해외 각국의 개인정보 규제 강도	60
<표 4-1> ‘사람인’ 정보통신 분야 구인공고의 직종 분포	70
<표 4-2> 워크넷 정보통신 분야 구인공고의 직종 분포	71
<표 4-3> ‘사람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83
<표 4-4> 워크넷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85
<표 4-5> 숙련기술 네트워크의 특성 	91
<표 4-6> 중심성 상위 10개 숙련기술	92
[그림 2-1] 채용 정보와 온라인 채용공고	22
[그림 2-2] 데이터 수집과 처리 과정	23
[그림 2-3] 데이터 처리 과정 	24
[그림 2-4] 피츠버그의 지역 인력수급 분석 방법	28
[그림 2-5] 실행 가능한, 바람직한 직무전환 예시	33
[그림 2-6] 노동시장의 불균형: 학위 소지자의 수요와 공급	35
[그림 2-7] 구인광고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 예시	42
[그림 2-8] 구인광고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예시	42
[그림 3-1] ‘사람인’ 공고 자료의 구성(1): 채용 관련 일반 정보	51
[그림 3-2] ‘사람인’ 공고 자료의 구성(2): 업무, 요구 숙련 관련	52
[그림 3-3] ‘사람인’ 채용공고 API의 출력 결과 예시: ‘Linux’를 포함하는 채용공고 검색 결과	56
[그림 3-4] 워크넷 공고 자료의 구성(1): 기업정보 및 모집요강	58
[그림 3-5] 워크넷 공고 자료의 구성(2): 모집부문 및 자격요건	59
[그림 3-6] ‘사람인’ Open API를 통해 내려받은 정보(예시)	64
[그림 3-7] ‘워크넷’ Open API를 통해 내려받은 정보(예시)	65
[그림 4-1] 구인공고의 경력조건별 분포	74
[그림 4-2] 구인공고의 임금조건별 분포	75
[그림 4-3] 구인공고의 근무지별 분포	76
[그림 4-4] 구인공고의 사업체 규모별 분포	78
[그림 4-5] 구인공고의 고용형태별 분포	79
[그림 4-6] 구인공고의 학력조건별 분포	80
[그림 4-7] 토픽모델링 LDA 그래픽 모델링 	82
[그림 4-8] ‘사람인’ 구인공고 키워드별 점유율	84
[그림 4-9] 워크넷 구인공고 키워드별 점유율	86
[그림 4-10] 네트워크의 예시	87
[그림 4-11] 채용공고 내 숙련기술의 네트워크	90
[그림 4-12] 채용공고 → 데이터로의 변환 	95
[그림 4-13] Neural Tensor Network 모형의 개념	96
[그림 4-14] 한밭대학교 교육품질관리시스템: Linux 숙련과 연관된 직업	100
[그림 4-15] 한밭대학교 교육품질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관리자’와연관된 직업, 업무, 직무	102
[그림 4-16] 한밭대학교 교육품질관리시스템: ‘논리데이터베이스 설계’의상세 업무, 필요 지식, 필요 기술, 학습 내용	103
[그림 5-1] 직업능력개발 통합정보망 인프라(예시)	112
[그림 5-2] 채용공고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113
[그림 5-3] 직업능력개발 활용 데이터 설계(예시)	11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시간 노동시장 정보를 활용한 숙련수요 분석 2019.01.01~2019.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