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19)
- 저자
- 최지희 문한나 김민규 김영은 최현식 한종택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9-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1.2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URC 사업국제협력TVETUNEVOC
제1장 서론_1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사업 추진 체계 6 제3절 주요 사업 내용 7 제2장 국제 TVET 환경 분석_21 제1절 글로벌 TVET 환경의 변화와 대응 23 제2절 아시아 지역 TVET 환경의 변화와 대응 30 제3장 2019 URC 사업 운영 현황_55 제1절 URC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현황 57 제2절 과년도 URC센터 운영 실적(~2018) 64 제3절 ‘19년도 URC센터 운영 실적 69 제4장 URC 사업의 주요 성과_123 제1절 유네스코 지역 클러스터 운영 활성화 125 제2절 아태지역 TVET 네트워크의 핵심적 수요 파악 134 제3절 아시아 TVET 주제 우선순위 분석 143 제5장 사업의 향후 개선 방안_153 제1절 요약 및 정리 155 제2절 향후 과제 159 참고문헌_165 부록_169 1. 2019 East/Southeast Asia UNEVOC Network Workshop 가이드북 171 2. 2019 East/Southeast Asia UNEVOC Network Workshop 만족도조사 설문지 192 3. ASEAN Cooperation Project(2019~2022) 계획서 194
첫째, 한국의 우수 직업기술교육훈련 정책 사례의 전수를 통해 아태지역 개발도상국이 자국의 정책을 개선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이들 개발도상국들이 청년실업, 노동시장 수요와 교육훈련 부문과의 미스매치, 산업부문의 저성장 등의 문제를 숙련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경제 및 사회발전의 성공적인 경험과, 특히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성공적 제도들을 공유함으로써 UNESCO 회원국 정부들이 이를 정책수립에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문제해결 방안 모색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지역 내 국가 간 네트워킹을 추진함으로써 한국의 직업기술교육훈련 우수사례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며, 지역 내 정보 공유 및 TVET 분야 국제협력을 촉진한다. 본 사업의 목적은 지역 내 개별국가의 발전뿐만 아니라 아태지역의 공동 발전과 협력에 있으므로, 국가 간 네트워킹을 통해 한국뿐만 아니라 아태지역 국가들에서의 TVET 제도 발전과 성공 사례 등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의 발전과 협력을 도모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교육의 위상을 높이고, 동시에 한국이 아태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선진적 모델로서 위치를 점하고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한국적 모델을 파급하는 기회로 삼는다. TVET 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은 그 자체적 성과도 크지만, 개발도상국들에서 TVET 부문이 지니는 중요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의 협력의 결과로 얻어지는 한국의 위상과 정치 외교적인 부문에서의 성과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최근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사우디 2030』사업에서도 TVET 분야는 5개 주요 정책영역으로 주요 분야를 점하고 있으며,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사업 추진을 통해 각국의 산업수요와 노동시장 수요를 파악하고 이들의 수요에 맞는 인적자원개발 모델을 교환함으로써 한국의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의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외교 및 산업통상 부문에서도 지역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표 1-1> 연차별 워크숍 및 사업 추진 내용 9 <표 1-2> 2019년도 East and Southeast Asia Cluster Network Workshop 개요 10 <표 1-3> 2019년도 본원 MOU 체결 현황 14 <표 1-4> 설문 구성 17 <표 2-1> 지역별?유형별 직업훈련 지원사업 수 26 <표 2-2> 아세아 각국 정부의 TVET 마스터플랜상의 TVET 개혁 과제 34 <표 2-3> 아태지역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조사 35 <표 2-4> TVET의 매력도 향상 그룹토의 및 발표 정리표 42 <표 2-5> 4차 산업혁명 및 미래기술 수요 그룹토의 및 발표 정리표 46 <표 2-6> 친환경 직업교육훈련 그룹토의 및 발표 정리표 49 <표 3-1> UNESCO와의 협력관계 현황 59 <표 3-2> UNESCO-UNEVOC의 글로벌 TVET 네트워크 60 <표 3-3> 향후 Cluster coordinator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계획 61 <표 3-4> UNEVOC East and Southeast Asia 클러스터 소속 센터 현황 62 <표 3-5> 최근 6년간 UNEVOC vs. KRIVET 간 협력 현황 64 <표 3-6> 최근 10여 년간 본원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운영 현황 66 <표 3-7> 워크숍 추진 절차 70 <표 3-8> 워크숍 방향 관련 UNEVOC 본부와의 협의 내용 71 <표 3-9> 2019년도 URC 워크숍 개최 개요 73 <표 3-10> National Forum on TVET Reform 일정표 80 <표 3-11> UNESCO-UNEVOC Global Forum 일정표 85 <표 3-12> 직능원-TVTC MoU 기반 Implementation Program 88 <표 3-13> 직능원-NITTTR Bhopal 양해각서 주요 내용 90 <표 3-14> Action Plan of MOU(2019~2021) 98 <표 3-15> 아세안 이동성을 위한 한-아세안 직업기술교육훈련 사업 ASEAN-ROK TVET for ASEAN Mobility-TEAN) 개요 116 <표 3-16> 아세안 사무국과 1차 협의 주요사항 118 <표 3-17> 파라과이 KSP 정책자문사업 개요 122 <표 4-1> 본원 주최 워크숍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27 <표 4-2> 본원 주최 워크숍에 대한 내용적 측면의 만족도 128 <표 4-3> 본원 주최 워크숍에 대한 운영적 측면의 만족도 129 <표 4-4> 본원 주체 워크숍의 구체적인 운영목표 및 기대성과 133 <표 4-5> 아태지역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수요조사 설문지 136 <표 4-6> 아태지역 TVET 미래 유망직종 조사 140 <표 4-7> 요인분석표 144 <표 4-8> 진술문의 요인가(Factor Q-Sort Values for Each Statement) 145 [그림 1-1] 사업추진 체계도 7 [그림 1-2] 아세안 TVET 이슈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Q 설문지 18 [그림 1-3] 아세안 TVET 이슈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체크판 19 [그림 1-4] 사업 수행 체계도 20 [그림 2-1] 아시아 국가의 낮은 직업교육 및 훈련 참여율(2018) 30 [그림 2-2] 아태지역 교육 유형별 수료율 32 [그림 2-3] 노동시장에서의 현재 보유한 교육 및 기술 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결과 33 [그림 2-4] 주요 아시아 국가 TVET 현황 37 [그림 2-5] 주요 아시아 국가 교육시스템 현황 38 [그림 3-1] UNEVOC 네트워크의 협력 체계 58 [그림 3-2] 직능원-TVTC MOU 체결식 87 [그림 3-3] UTHM 관계자 면담 93 [그림 3-4] 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스터디 투어 93 [그림 3-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홍보 부스 운영 94 [그림 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MyRIVET MOU 체결식 95 [그림 3-7] PECIPTA’19 한국 사례 발표 95 [그림 3-8] 몽골 VETP MOU 체결식 97 [그림 3-9] 세계은행(World Bank)-에콰도르 방문단 인천해사고등학교 스터디 투어 100 [그림 3-10] 월드뱅크 파트너십 기관 소개 책자(한국편) 102 [그림 3-11] 말레이시아 직업교육훈련 유관기관 협력 104 [그림 3-12] 인도네시아 행정연구원 연수단 방문 104 [그림 3-13] 5th High Official Meeting on SEA-TVET 참여 106 [그림 3-14] 1st Indonesi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ummit 2019 참여 108 [그림 3-15]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 대표단 방문 109 [그림 3-16] 독일 기술혁신연구원 및 베르맨 대학교 연구진 방문 110 [그림 3-17] 부탄 교육부 차관단 방문 111 [그림 3-18] 부탄 교육부 감사서신 112 [그림 3-19] 부탄 노동인적자원부 및 세계은행(World Bank) 면담 113 [그림 3-20] 사우디아라비아 TVTC 부사장 외 임원단 방문 114 [그림 3-21] 아세안 사무국 1차 회의 119 [그림 4-1] UNESCO-UNEVOC의 공식 웹사이트 메인 화면에 탑재된 직능원 행사 개최 소식(2019년) 132 [그림 4-2] 2019 East/Southeast Asia UNEVOC Network Workshop 언론보도자료(2019년) 132 [그림 4-3] 아태지역 TVET 네트워크 수요조사 연구수행 과정 135 [그림 4-4] 국제협력 프로젝트 수행 시 가장 선호하는 분야 138 [그림 4-5] 국제협력 프로젝트 수행 목적 139 [그림 4-6] 아태지역의 한국 TVET 분야 학습 선호도 140 [그림 4-7] Connectivity 4차 산업혁명 시대 유망분야 141 [그림 4-8] Design 4차 산업혁명 시대 유망분야 14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19) | 2019.01.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