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분야 한국형 국가역량체계(KQF) 적용 방안
How to Apply the 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 to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 저자
- 정향진 김상진 김윤아 강일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2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2.18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 필요성 3 2. 연구 목적 6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연구 내용 7 2. 연구 방법 및 절차 8 제2장 국내외 KQF 관련 정책 동향_11 제1절 국내 동향 13 1. KQF 관련 연구 동향 13 2. KQF 관련 법 및 정책 추진 현황 19 제2절 주요국 NQF 관련 동향 22 1. 관련 동향 22 2. 시사점 25 제3장 교육 분야 KQF 적용 절차 및 도구 개발_27 제1절 KQF 적용 배경 29 제2절 절차 및 도구 개발(안) 31 1. 절차(안) 31 2. 도구(안) 34 제4장 교육 분야 KQF 적용 사례 개발_37 제1절 개발 개요 39 1. 사례 개발 직종 선정 근거 및 선정 39 2. 사례 개발 직종 교육훈련 현황 41 3. 사례 개발 직종 NCS, 자격 및 일학습병행제 현황 46 제2절 개발 결과(안) 53 1. NCS 포함 산업체 현장 요구 역량 추가 및 재구조화 53 2. 학교급 및 재직자 대상 교육목표 진술 60 3. 학교급 및 재직자 대상 교과목 연계․심화(안) 도출 78 4. 일학습병행, 자격 및 현장 경력(안) 도출 87 제5장 사례 개발을 통한 KQF 적용 방안_91 제1절 KQF 적용의 주안점 93 제2절 KQF 적용을 위한 정책 및 인프라 98 SUMMARY_102 참고문헌_107
본 연구의 목적은 KQF가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메타프레임으로서 작동될 수 있도록 KQF 기반 교육목표 설정 및 교과목 편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KQF 수준별 설명지표를 기반으로 학교급별 교육목표를 도출하고, 학교급별 연계를 고려한 연계·심화 교과목 및 절대 교육 시간을 개발하여 학교급별 및 재직자 간의 중복을 배제한 교육의 효율을 모색한다. 둘째, 이를 통해 학교급별 또는 학습근로자 및 재직자 대상 교육목표·성취도의 질을 관리하고, 통합적 역량 및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KQF 적용 사례를 개발한다. 셋째, 사례 개발을 통하여 KQF 적용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정책과 인프라가 필요한지 탐색하고, 평생교육 및 제도적 측면에서의 KQF 활용·확산 방안을 제안한다.
The 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 or KQF is a multi-level competency standard built on the exist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t combines education background, certifications, on-the-job experience, and training records. KQF classifies components of knowledge, skills, autonomy, responsibility in 8 level categories, and presents indicators that describe the components’ requirements for each level. The Minister of Education notified about KQF under Article 6 of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and Article 9.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Feb. 15, 2019). The proposed Act defines the basic concepts of KQF. A research project to revise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will start in the second half of 2019, whose findings will be used to draft an accurate measure on how to implement the Act. Under the noti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relevant Industrial Skills Council (ISC) is recommended to use the framework for KQF, the only finalized component available at the moment, in the development of a Sectoral Qualification Framework (SQF). ...
<표 2-1> 한국형 국가역량체계(KQF) 기본틀 및 가이드라인(안) 17 <표 2-2> KQF 설명지표 18 <표 2-3> NQF 적용 목적에 따른 결과 23 <표 3-1> 도구 1: NCS 포함 산업체 현장 요구 추가 역량 34 <표 3-2> 도구 2: KQF 설명지표 적용 교육목표 34 <표 3-3> 도구 3: 학교급 및 재직자 대상 교과목 심화․연계(안) 35 <표 3-4> 도구 4: 학교급 수준 절대 교육 시간 35 <표 3-5> 도구 5: KQF 수준별 학교급, 교육 및 현장 경력(안) 35 <표 4-1>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42 <표 4-2> 석․박사 융․복합 교육과정 사례 43 <표 4-3> 재직자 교육과정 사례 44 <표 4-4> 3D프린팅/프린터 개발 관련 NCS 분류체계 46 <표 4-5> ‘3D프린팅/프린터 개발’ 관련 자격(검정형) 49 <표 4-6> ‘3D프린팅/프린터 개발’ 관련 자격(과정평가형) 50 <표 4-7> 3D프린터 개발 관련 일학습병행 훈련과정(L3) 51 <표 4-8> 개발 결과(안) 구성 53 <표 4-9> 3D프린팅/프린터 개발 분야 NCS 기반 산업체 현장요구 역량 매핑 54 <표 4-10> 도구 1: 3D프린팅/프린터 개발 분야 NCS 기반 산업체 현장 요구 역량 56 <표 4-11> NCS와 본 연구의 산업체 현장 요구 역량 연계(1) 57 <표 4-12> NCS와 본 연구의 산업체 현장 요구 역량 연계(2) 58 <표 4-13> NCS와 본 연구의 산업체 현장 요구 역량 연계(3) 58 <표 4-14> 도구 2-1: KQF 설명지표 적용 3D프린팅/프린터 개발고등학교 수준 교육목표 61 <표 4-15> 도구 2-2: 3D프린팅/프린터 개발 전문대학 수준 교육목표 63 <표 4-16> 도구 2-3: 3D프린팅/프린터 개발 대학․대학원 및 재직자 수준 교육목표 66 <표 4-17> 도구 3: 학교급 및 재직자 대상 교과목 심화․연계(안) 79 <표 4-18> 도구 4-1: 고등학교 수준 절대 교육 시간 83 <표 4-19> 도구 4-2: 전문대학 수준 절대 교육 시간-디자인 84 <표 4-20> 도구 4-3: 전문대학 수준 절대 교육 시간-공학 85 <표 4-21> 도구 4-4: 대학․대학원 및 재직자 수준 절대 교육 시간 86 <표 4-22> 도구 5: KQF 수준별 학교급, 교육 및 현장 경력(안) 89 <표 5-1> 교육목표 진술문의 구조 96 [그림 1-1] 본 연구의 절차도 10 [그림 2-1] KQF 4수준 배치 사례 16 [그림 3-1] 교육 분야 KQF 적용 절차(안) 33 [그림 5-1] 교육 분야 KQF 설명지표의 교육목표 적용 방법 95 [그림 5-2] 기술, 지식, 자율성․책임성 간의 구조 9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교육 분야 한국형 국가역량체계(KQF) 적용 방안 | 2019.05.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