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9)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 (2019)
- 저자
- 박천수 나현미 김성남 류지영 박동찬 장현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1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2.24
요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 정의 및 연구 범위 15 제2장 직업지표 선행연구와 조사 설계 19 제1절 선행연구 21 제2절 해외 직업지표 사례 38 제3절 조사 설계 64 제3장 직업지표 분석 79 제1절 입직요건과 소득 82 제2절 직무특성과 근무여건 100 제3절 직무능력과 직업가치 117 제4절 고용안정과 일자리 전망 128 제5절 통합지표 141 제4장 대상별 재직자 추천 직업 151 제1절 고졸자 취업 154 제2절 인문・자연계열 대졸자 취업 167 제3절 경력단절 이후 취업 182 제4절 장년층 취업 195 제5장 직업지표 이슈 분석 207 제1절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직업 변화 210 제2절 재직자 소득만족에 미치는 요인 분석 239 제3절 양성평등과 직무특성 및 직무성과 259 제6장 정책 제언 283 제1절 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 강화 286 제2절 근로시간제 개선 및 양성평등 제고 297 제3절 직업세계 변화 이해 및 생애진로개발 기회 확대 303 SUMMARY 309 참고문헌 313 부록 325 1. 직업지표 조사지 327 2. 조사 대상 직업과 조사 시기 342
본 연구는 3년간 조사된 원자료를 세부 직업별 직업지표별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정보로 제공하고, 맞춤형 진로선택 및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제언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직업선택을 지원하며, 국민들의 일자리 정착과 기업의 구인난 해소, 그리고 경제성장 기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올해 보건복지·서비스·농림·단순노무 분야의 직업들에 대한 직업지표 조사를 진행하였다. 올해 조사 결과에 2017~2018년 2년간 조사된 자료를 합하여 우리나라 전체 세분류 직업에 대한 직업지표 1기 원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완성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자료를 가공하여 현재 직업지표 구성을 완료하고, 10년 후 선행지표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전체 직업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취업 및 직업생활과 관련한 이슈를 분석하고 정책 제언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직업지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보도 자료를 작성·배포하고, 아울러 원자료를 직업단위로 가공해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에 탑재하여 진로선택과 직업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Occupational indicators that reflect the continuously changing demographic and economic structure are of great import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professional world and to properly grasp future prospects and trends. Occupational indicators are basic materials that constitute high-level job information required in the field of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employment support as important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d executing related policies.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each occupation, we hope to support individual occupation selection, improve the employment and productivity of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
<표 1-1> 직업지표 3.0 1기 연차별 추진 실적 9 <표 1-2> FGI 참석자 및 일정 13 <표 2-1> 직업지표 연구 시기별 조사 내용 22 <표 2-2> 기초연구(2006년) 설문 구성 24 <표 2-3> 직업지표 연구 1.0 연도별 설문 구성과 변경 26 <표 2-4> 직업지표 연구 2.0 연도별 설문 구성과 변경 28 <표 2-5> 직업지표 연구 1.0 연도별 이슈 및 쟁점 32 <표 2-6> 직업지표 연구 2.0 연도별 이슈 및 쟁점 34 <표 2-7> 직업지표 연구 3.0 1기 이슈 및 쟁점(2016∼2018년) 37 <표 2-8> 기존 직업지표 연구의 해외 사례 분석 내용 38 <표 2-9> 미국 직업전망핸드북에서 제공하는 직업정보(직업지표) 42 <표 2-10>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제공하는 학생 및 교사용직업정보 43 <표 2-11> 영국의 최고 직업 25선(글래스도어 선정) 49 <표 2-12> 기초 직업지표 개요 66 <표 2-13> 대상별 맞춤 직업지표 문항 68 <표 2-14> 층화변수별 할당 방법 70 <표 2-15> 2019년 직업 중분류/지역별 할당과 조사 결과 차이 72 <표 2-16> 2019년 응답자의 특성․경력별 분포 74 <표 2-17> 계층별 조사 결과와 직업별 요구 학력 분포 75 <표 2-18> 직업지표의 신뢰도 분석 결과 76 <표 3-1> 직업 대분류별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83 <표 3-2> 학력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84 <표 3-3> 전공과 자격증(면허)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86 <표 3-4> 외국어능력과 직업훈련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87 <표 3-5> 직업 대분류별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상태) 88 <표 3-6>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 상위 10순위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90 <표 3-7> 직업 대분류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93 <표 3-8> 소득수준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94 <표 3-9> 경력인정과 소득만족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95 <표 3-10> 직업 대분류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상태) 96 <표 3-11> 직업 세분류 및 소득 분야별 상위 10순위 직업(현재 대비 10년 후 상태) 98 <표 3-12> 직업 대분류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01 <표 3-13> 융합성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03 <표 3-14> 변화속도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04 <표 3-15> 감정노동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05 <표 3-16> 직업 대분류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06 <표 3-17> 융합성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07 <표 3-18> 변화속도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08 <표 3-19> 감정노동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09 <표 3-20> 직업 대분류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10 <표 3-21> 업무유연성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12 <표 3-22> 일-가정 균형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13 <표 3-23> 직업 대분류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기준) 114 <표 3-24> 업무유연성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15 <표 3-25> 일-가정 균형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전망기준) 116 <표 3-26> 직업 대분류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18 <표 3-27> 대인관계 능력과 공감능력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19 <표 3-28> 직업 대분류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기준) 121 <표 3-29> 대인관계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22 <표 3-30> 창의성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22 <표 3-31> 직업 대분류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24 <표 3-32> 사회공헌과 소명의식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25 <표 3-33> 직업 대분류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기준) 126 <표 3-34> 추천의향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27 <표 3-35> 직업 대분류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29 <표 3-36> 고용유지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30 <표 3-37> 평생직업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31 <표 3-38> 직업 대분류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기준) 132 <표 3-39> 고용유지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33 <표 3-40> 평생직업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다른 직업 대비) 134 <표 3-41> 직업 대분류별 일자리 전망 영역 직업지표(현재수준) 135 <표 3-42> 일자리 수 변화 지표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37 <표 3-43> 남북관계 개선 후 취・창업 기회 문항 상위 10순위 직업(현재수준) 138 <표 3-44> 직업 대분류별 일자리 전망 영역 직업지표(10년 후 전망기준) 140 <표 3-45> 일자리 수 변화 지표 상위 10순위 직업(10년 후 전망기준) 141 <표 3-46> 직업지표 연구 3.0 1기 직업 대분류별 통합지수 143 <표 3-47> 현재지표 통합지수 상・하위 10순위 직업 146 <표 3-48> 10년 후 변화지표 통합지수 상・하위 10순위 직업 147 <표 3-49> 10년 후 상태지표 통합지수 상・하위 10순위 직업 148 <표 4-1> 고졸 취업자의 연도별 산업별 분포 155 <표 4-2> 고졸 취업자의 직업별 분포 156 <표 4-3> 고졸자 직업 분석 관련 문항 157 <표 4-4> 고졸자 추천 상위 20순위 직업 158 <표 4-5> 고졸자 추천 직업의 직업지표 영역별 특성 160 <표 4-6> 고졸자 추천 직업의 위험성 및 자영업 적합성 161 <표 4-7> 고졸자 추천 직업의 필요학력 163 <표 4-8> 고졸자 추천 직업의 학력에 따른 차별 정도 164 <표 4-9> 2018년 전공계열별 학생 현황 168 <표 4-10> 인문계열 대졸자가 취업하기 쉬운 자연과학・공학・제조 분야 직업 170 <표 4-11> 대졸자 직업과 인문계열 대졸자 추천 상위 20순위 직업 비교 171 <표 4-12> 자연계열 대졸자가 취업하기 쉬운 인문・사회과학・예술 분야 직업 172 <표 4-13> 대졸자 직업과 자연계열 대졸자 추천 상위 20순위 직업 비교 173 <표 4-14> 자연과학・공학・제조 분야 추천 직업 174 <표 4-15> 서비스 분야 추천 직업 175 <표 4-16> 경영・사회과학・언론・교육 분야 추천 직업 176 <표 4-17> 보건 및 복지 분야 추천 직업 177 <표 4-18> 인문계열 대졸자 취업용이 직업의 필요 준비 사항 178 <표 4-19> 자연계열 대졸자 취업용이 직업의 필요 준비 사항 179 <표 4-20> 인문・자연계열 대졸자의 전공교차 취업 준비 방법 180 <표 4-21> 경력단절의 유형 및 관련 문항 184 <표 4-22> 경력단절 이후 해당 직업에 복귀하기 쉬운 상위 20순위 직업 185 <표 4-23> 경력단절 이후 일정한 교육 이수 후 타 분야로 취업하기 쉬운 상위 20순위 직업 186 <표 4-24> 졸업 후 상당기간 직업생활을 한 적 없는 사람이 취업하기 쉬운 상위 20순위 직업 187 <표 4-25> 경력단절 이후 추천 직업의 직업지표 영역별 특성 189 <표 4-26> 경력단절여성 추천 상위 20순위 직업 191 <표 4-27> 경력단절여성 추천 직업의 필요학력 192 <표 4-28>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일자리 직업 193 <표 4-29> 장년층 추천 직업 관련 문항 197 <표 4-30> 장년층 추천 상위 20순위 직업 198 <표 4-31> 장년층 취업용이성 상위 20순위 직업 199 <표 4-32> 장년층 고용안정성 상위 20순위 직업 200 <표 4-33> 장년층 추천 직업의 필요학력 201 <표 4-34> 장년층 추천 직업의 직업지표 영역별 특성 202 <표 5-1>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10년 후 수행업무 변화- 직업군별 219 <표 5-2>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10년 후 수행업무 변화-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220 <표 5-3>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가 큰 직업- 30순위 222 <표 5-4>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 변화가 작은 직업- 30순위 223 <표 5-5>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10년 후 일자리 수 변화- 직업군별 225 <표 5-6>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10년 후 일자리 수 변화-인구통계학적 특성별 226 <표 5-7>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수가 증가하는 직업- 30순위 228 <표 5-8> 10년 후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수가 감소하는 직업- 30순위 230 <표 5-9>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수 변화 인식과 직업적 특성 요인 간의 상관관계 234 <표 5-10> 현재 소득만족과 10년 후 소득만족 전망 249 <표 5-11> 계층별 소득만족 영향(7점 척도) 252 <표 5-12> 소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4 <표 5-13> 분석에 사용된 변인 및 정의 266 <표 5-14> 분석에 사용된 변인의 기초통계량 267 <표 5-15> 직업군별 양성평등 인식 수준–현재 269 <표 5-16> 양성평등 인식 수준 상・하위 10순위 직업-현재 270 <표 5-17> 직업군별 양성평등 인식 개선 수준-10년 후 271 <표 5-18> 양성평등 인식 개선 수준 상・하위 10순위 직업- 10년 후 272 <표 5-19> 양성평등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274 <표 5-20> 양성평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의 관계 276 <표 5-21> 양성평등 인식 수준과 소득만족의 관계 277 <표 6-1> 대학 취업과 창업 지원정책 289 <표 6-2> 경력단절여성의 일자리 관련 지원정책 292 <표 6-3> 장년층의 일자리 관련 지원정책 295 <표 6-4> 주 52시간 근로상한제 298 <표 6-5> ‘평등하게 일할 권리와 기회의 보장’ 과제의 내용 및 추진기관 301 <표 6-6> 초・중등학교 진로교육 관련 정책 및 제도의 관계 305 [그림 1-1] 직업지표 연구 개요와 2019년 연구 8 [그림 1-2] 연구 추진 단계별 연구 방법 11 [그림 2-1] 직업지표 연구 3.0 설문 구성 30 [그림 2-2] 영국의 연간 수입이 높은 직업군(단위: 천 파운드) 48 [그림 2-3] 호주 직업전망 사이트의 스킬 매치 Tool 53 [그림 2-4] 호주 직업전망 사이트의 커리어 퀴즈 Tool 54 [그림 2-5] 호주 전문직의 윤리성과 정직성 조사 결과(로이 모건) 56 [그림 2-6] 독일 연방고용센터의 직업별 로봇 대체 가능성(변호사 사례) 58 [그림 2-7] AZUBI.DE의 개인 적합 직업 및 훈련 안내 61 [그림 2-8] 직업지표 연구 3.0 연차별 조사 개요 64 [그림 2-9] 지표임금 평균과 JOB MAP 평균임금 77 [그림 3-1] 직업지표 연구 3.0 1기 통합지수 142 [그림 3-2] 직업지표 연구 3.0 1기 학력별 통합지수 144 [그림 4-1] 대학교 전공계열별 취업률 168 [그림 5-1] 과학기술 발전이 직업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시기 216 [그림 5-2] 과학기술 발전이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기- 직업군별 217 [그림 5-3]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수행업무-일자리 수 변화교차 분석 231 [그림 5-4] 2011년∼2017년 성별 소득만족 243 [그림 5-5] 2011년∼2017년 연령별 소득만족 244 [그림 5-6] 2011년∼2017년 직종별 소득만족 245 [그림 5-7] 2009년∼2017년 학력수준별 소득만족 246 [그림 5-8] 10년 후 소득만족 전망(다른 직업과 비교) 250 [그림 6-1]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 28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9) | 2019.01.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