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 연구 : 해외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Innovation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Lessons from Overseas Cases
- 저자
- 이지연 박화춘 이진솔 권효원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2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3.03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3절 용어의 정의 17 제4절 연구의 한계 20 제2장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_23 제1절 국내 진로교육 현황 선행연구 25 제2절 국외(OECD, ICCDPP, 미국) 선행연구 54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88 제3장 해외 진로교육의 4개 핵심 분야_95 제1절 노르웨이: 진로교육의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지도 콘텐츠 101 제2절 스웨덴: 진로담당인력 전문성과 역량 함양 127 제3절 영국: 진로교육 전달방식 160 제4절 노르웨이‧스웨덴‧영국의 소외계층 진로교육 189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207 제4장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_215 제1절 혁신을 위한 지향 가치(철학) 228 제2절 혁신을 위한 4개 핵심 분야별 방안 및 세부 전략 233 제3절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모형 244 제4절 결론 및 제언 249 SUMMARY_251 참고문헌_257 부록_285 1. 콜로키움 종합 정리 자료: 우선 지향 가치별 4개 핵심 분야 혁신 방안과 추진 전략 287 2.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지향 가치 및 혁신 방안의 타당화 설문조사 도구 297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해외 진로교육·진로지도에 관한 전문가 심층인터뷰 및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대한민국의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지향 가치(철학), 정책 방안과 추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강조된 OECD(2018a) 다음의 4개 핵심 영역을 우선 분야로 선정하여 국가별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을 제안하고자 한다. 4개 핵심 영역은 ①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진로교육·진로지도 콘텐츠, ② 진로담당인력의 자격 및 양성체계, ③ 진로교육 전달방식, ④ 소외계층 진로교육이다. 이러한 4개 핵심 영역별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에 기초한 미래 관점의 진로교육의 지향 가치, 정책 방안, 추진 전략 등이 포함된 혁신적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outline primary directions, including core values, specific strategies, and political suggestions to help achieve inno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for Korea. The immense need for developing high quality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are discussed with an emphasis on innovative model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to support the national political project ‘Innovation in Public Schools and Classrooms, Restoration of the Educational Bridge for Ho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uch innovative models by finding best practices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through reviewing oversea cases that can be adapted for career-educational contexts in Korea. Not only will these help prevent failures of future career development policies but also present in-depth recommendations for innov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in four particular areas: ...
<표 1-1> 한국 진로교육 정책의 주요 변화 개요 4 <표 1-2> 교육ㆍ노동 부문의 진로서비스 개혁을 위한 성공 및 장애 요인 요약 6 <표 1-3> 해외 출장 관련 내용 13 <표 1-4> 4차례 콜로키움 운영 개요 14 <표 1-5> 국제 워크숍 16 <표 2-1>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27 <표 2-2> 부처별 대학‧대학생 진로교육 지원 정책 및 서비스 28 <표 2-3> 진로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 현황(’19. 10. 기준) 30 <표 2-4> 진로전담교사 기본이수과목(분야) 35 <표 2-5> 교육대학원 진로진학상담 부전공 재교육 과정 개설 현황 35 <표 2-6> 진로체험 유형별 기준 39 <표 2-7> 사이버 진로상담의 접근방식 및 특징 44 <표 2-8>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별 세부 발전 방안 51 <표 2-9> 우리나라 진로교육 혁신 방안 52 <표 2-10> OECD 보고서에 제시된 4개 핵심 영역별 특징적 사례 정리 60 <표 2-11> ICCDPP 국제 심포지엄 연혁(1차~9차) 64 <표 2-12> ICCDPP 국제 심포지엄 대주제 및 세부 주제 개요(1차~9차) 66 <표 2-13> 조지아주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진로교육 콘텐츠 73 <표 2-14> 미국 연방정부 및 조지아주가 제시한 K-12를 위한 직업군 75 <표 2-15> 미국 조지아대학교 커리어센터 진로지도 콘텐츠 예시 76 <표 2-16> 조지아대학-에센스 시 간의 지역 연대 프로그램 내용 79 <표 2-17> 조지아주 진로전담인력에 대한 개요 81 <표 2-18> 조지아대학교의 Pre-K-12 학교 상담사 석사 학위 과정 개요 82 <표 2-19> 조지아대학교의 고등교육기관 진로 컨설턴트 석사 학위 양성 과정 84 <표 2-20> 조지아주 ICT를 활용한 진로지도 전달방식 86 <표 2-21> 한국의 진로교육 현황에서 살펴본 S-W-O-T 요소 분석 종합 89 <표 2-22> 진로개발에 대한 혁신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인식 틀 92 <표 3-1> 노르웨이의 ‘교육선택’ 진로교육과정 과목들의 세부 내용 104 <표 3-2> 노르웨이 직업교육훈련 진로교육 과목 108 <표 3-3> 지역 진로센터 주도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내용 111 <표 3-4> 노르웨이의 온라인 진로지도‧상담 서비스 제공 웹 포털 사이트 117 <표 3-5> 노르웨이 온라인 진로지도 웹 포털 사이트 내용 118 <표 3-6> 노르웨이 대학교 주도 진로지도 포털 웹사이트 사례 120 <표 3-7> 노르웨이 Folk high school 주요 프로그램 내용 122 <표 3-8> 노르웨이의 이민자 및 난민 대상 개별 역량 구현화(VISKA: Visible Skills of Adults) 프로젝트 125 <표 3-9> 노르웨이 VPL 5단계별 세부 진로지도 내용 126 <표 3-10> 스웨덴의 진로담당인력 역량 프레임워크 기준 131 <표 3-11> 교육청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진로담당인력 유형 및 역할 136 <표 3-12> NICE 진로담당인력 유형별 6개 핵심역량 요소 142 <표 3-13> CEDEFOP 진로지도 담당자 역량 지표 143 <표 3-14> IAEVG의 진로담당인력 핵심역량 및 전문역량 요소 146 <표 3-15> 스웨덴 진로교육‧진로지도(상담) 분야 학위과정(과목) 149 <표 3-16> 스웨덴 교육청/공공고용서비스 제공 진로담당인력 연수 내용 예시 153 <표 3-17> 스웨덴 심화된 전문성 함양을 위한 5개 연수 유형 요약 155 <표 3-18> 학교감사위원회 진로담당인력 역량 평가 내용 157 <표 3-19> CEC의 주요 학교-기업-지역사회 지원 사업 163 <표 3-20> 8개 성취기준에 나타난 학교 의무사항과 전달방식 165 <표 3-21> 초등학교 진로연계학습(CRL) 교육과정 주요 활동 170 <표 3-22> 영국 전 학년 진로교육과정 예시 171 <표 3-23> 국가 인증 민간기관에서 개발된 교과통합(연계) 진로교육 자료(사이트) 예시 174 <표 3-24> 초‧중등학교에서의 진로지원 활동 유형 180 <표 3-25> 학교 안 진로교육과정 운영 시 고려해야 할 6가지 항목 182 <표 3-26>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의 맞춤형 진로지도(상담) 필수 기준 및 사례 185 <표 3-27> 국가 수준에서의 대학생, 성인(평생학습자)을 위한 지원체계 188 <표 3-28> 노르웨이의 새로운 청년보장제도(New Youth Effort) 정책 프레임워크 내용 191 <표 3-29> 재소자를 위한 진로지도‧상담 서비스 디지털 설문조사 결과 194 <표 3-30> 재소자 대상 직업 활동 개선을 위한 국가범죄예방의회 권장 사항 200 <표 3-31> CEC 제공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사례 204 <표 3-32> 재소자 대상 근거기반의 진로교육‧훈련 제공을 위한 목표와 지원 사항 206 <표 3-33> 해외 4개 핵심 분야 분석을 통한 12가지 지향 가치(철학) 및 근거 예시 208 <표 4-1> 타당성 확인을 위한 설문조사 응답자 분포 221 <표 4-2> 진로교육 지향 가치(철학)의 중요도 및 시급성 222 <표 4-3> 4개 핵심 영역별 진로교육 혁신 방안의 중요도 및 시급성 224 <표 4-4> 미래 진로교육 혁신을 가장 저해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요인 227 <표 4-5> 미래 진로교육 혁신을 위한 7대 가치‧16개 방안 ‧실천 전략 종합 246 [그림 1-1] 연구의 기본 틀 10 [그림 1-2] 연구 내용 및 방법 11 [그림 2-1] 다문화‧탈북‧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연도별 수 비교 47 [그림 2-2] ICCDPP IS 1차∼8차 주제 분석을 통한 3개 이슈 68 [그림 2-3] 진로발달 경로 모델: 예. 간호사 75 [그림 3-1] 4개 핵심 영역별 세부 분석 내용 및 해당 사례 국가 98 [그림 3-2] 「진로교육의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지도 콘텐츠」8개 분석 분야 102 [그림 3-3] 노르웨이 직업훈련학교 3개 주요 과목 106 [그림 3-4] 노르웨이 공교육 시스템 107 [그림 3-5] 노르웨이의 지방자치단체 진로센터 분포(2018년 기준 총 47개) 110 [그림 3-6] 18개 지역 총괄 진로센터 및 47개 세부 지역 진로센터 110 [그림 3-7] 노르웨이 진로지도‧상담 분야 주 집행 기관과 협력 연계 경로 114 [그림 3-8] 노르웨이 VISKA 프로그램의 VPL 5단계 진로지도의 핵심 내용 126 [그림 3-9] 스웨덴 진로담당인력 역량 프레임워크 설정 담당 기관 129 [그림 3-10] 스웨덴 교육시스템 139 [그림 3-11] 학교 시스템에서의 진로교육 업무 영역과 담당인력 140 [그림 3-12] NICE그룹의 진로담당인력 유형 및 담당자 역량 요소 141 [그림 3-13] 진로담당인력의 종합 역량 요소 및 가치 147 [그림 3-14] 스웨덴 진로담당인력 양성체제 148 [그림 3-15] 2018년 상‧하반기 개츠비 성취기준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평가 결과 167 [그림 3-16] 개츠비 성취기준에 근거한 4가지 전달방식 유형 168 [그림 3-17] ICT를 활용한 영국의 대표적 진로정보 전달방식 177 [그림 3-18] Skills Norway‧노동복지청(NAV) 권장 사항 195 [그림 3-19] 스웨덴 재소자 대상 직업 활동 주요 3요소 199 [그림 3-20] 영국 학교 밖 청소년 감소를 위한 3대 정책 201 [그림 3-21] 재소자 대상 근거기반의 진로교육‧훈련 제공을 위한 단계별 목표 205 [그림 4-1]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 타당화 과정 218 [그림 4-2] 진로교육 지향 가치(철학)의 중요도 및 시급성 223 [그림 4-3] 4개 핵심 영역별 진로교육 혁신 방안의 중요도 및 시급성 226 [그림 4-4] 생애 전반의 진로과업별 진로개발역량을 지원하는 진로교육모형 24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의 진로교육 혁신 방안 연구 : 해외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2019.05.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