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19)
A Study on Support and Utilization of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 저자
- 손유미 송창용 민숙원 오혁제 김민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2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3.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8 제2장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결과 분석_11 제1절 K-CESA 진단 참여 대학과 학생 현황 13 제2절 K-CESA 진단 결과 18 제3절 K-CESA 진단 참여 학생 설문조사 41 제3장 미래 노동시장과 핵심역량_53 제1절 핵심역량 관련 선행연구 55 제2절 OECD 미래 교육 및 기술 2030 74 제3절 프랑스 사례 81 제4절 독일 사례 97 제5절 소결 109 제4장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신규 문항 개발_115 제1절 문항 개발의 개요 117 제2절 문항 개발의 과정 120 제3절 예비조사 128 제4절 본조사 136 제5절 문항 개발 결과 144 제5장 K-CESA 지원과 활용 사례_149 제1절 대학별 핵심역량 현황 분석 151 제2절 K-CESA 진단 자료 표준화 158 제3절 K-CESA 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학술대회 177 제4절 K-CESA 서포터즈 운영 182 제6장 결론_185 제1절 요약 187 제2절 정책 제언 189 SUMMARY_195 참고문헌_199 부록_205
본 연구는 10년 동안 수행될 계속과제로, 올해는 4년차 연구에 해당한다. 새로운 문항을 개발하고, 진단참여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지금까지 3년차 연구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4년차 연구에서는 미래노동시장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해외사례 탐색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특히 올해 연구에서는 핵심역량 데이터의 표준화 작업을 완성하여 향후 핵심역량에 대한 정확하고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져 학술적 가치는 물론 정책적 함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is an assessment tool for essential skills of students in collegiate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ustainability and usability of the K-CESA. This study has been proceeded as the ten-year plan, and the forth year of 2019 is conducted based on K-CESA medium and long-term fundamental plan and the results from study year of 2016, 2017 and 2018.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cas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2) Trends and issues of future capabilities and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polic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field studies. The places for the field studies were France(July 9, 2019 ~ July 14, 2019) and Germany(October 7, 2019 ~ October 12, 2019). The case of France is focused on higher education policy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And in the case of Germany, research was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how labor market capacity related to ‘Industry 4.0’ is reflected in education. ...
<표 2-1> K-CESA 진단 참여 대학 현황(2016~2019) 14 <표 2-2> K-CESA 진단 참여 학생 현황(2016~2019) 17 <표 2-3> 핵심역량별 K-CESA 점수(2016~2019) 20 <표 2-4> 참여 학생 특징별 K-CESA 점수(2016~2019) 22 <표 2-5> 자기관리역량 점수(2016~2019) 24 <표 2-6> 대인관계역량 점수(2016~2019) 27 <표 2-7>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2016~2019) 30 <표 2-8> 글로벌역량 점수(2016~2019) 33 <표 2-9> 의사소통역량 점수(2016~2019) 36 <표 2-10> 종합적 사고력 점수(2016~2019) 39 <표 2-11> 2019년 설문조사 참여 학생 분포 42 <표 2-12> 설문조사 문항 43 <표 2-13> 출신 고등학교 유형 44 <표 2-14>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K-CESA 점수 45 <표 2-15> 입학 전형 방법 46 <표 2-16> 입학 전형 방법별 K-CESA 점수 46 <표 2-17> 진로계획 47 <표 2-18> 진로계획별 K-CESA 점수 47 <표 2-19> 학점 평균 48 <표 2-20> 학점별 K-CESA 점수 48 <표 2-21> 가정 경제 사정 49 <표 2-22> 가정 경제 사정별 K-CESA 점수 50 <표 2-23> 학비 조달 방법 51 <표 2-24> 학비 조달 방법별 K-CESA 점수 51 <표 3-1> 미래인재 핵심역량 61 <표 3-2> 영역별 핵심역량 중요도 63 <표 3-3> 글로벌 기업이 요구하는 15개 역량과 정의 65 <표 3-4> 전통적 직업기초능력 66 <표 3-5> 미래 직업기초능력 67 <표 3-6> 4차 산업혁명 대비 요구역량 70 <표 3-7> 학습 나침반 구성 요소 77 <표 3-8> 미래역량 구성 요소 78 <표 3-9> 프랑스 교육부 역량좌표–심리학과, 교육학과 사례 87 <표 3-10> 파리 5대학(Descartes) 심리학과와 교육학과 목표 역량 89 <표 3-11> 선행연구별 미래 핵심역량 제시 내용 110 <표 3-12>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영역 111 <표 3-13> 국내외 문헌연구 및 면담 결과에 따른 미래 핵심역량 112 <표 4-1>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의 하위영역별 전형적 수행과제 121 <표 4-2>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검사 예비조사 분석 대상 128 <표 4-3> 예비조사 선다형 문항 전체 기술통계(N=143) 129 <표 4-4>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정 결과 131 <표 4-5> 선다형 검사 하위영역별 검사 신뢰도 133 <표 4-6> 선다형 검사 문항 제거 시 신뢰도 134 <표 4-7> 검사 문항별 답지반응분포 및 문항 난이도,변별도(N=143) 135 <표 4-8>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예비조사 문항 선별 결과 및제외 사유 137 <표 4-9> 본조사 선다형 문항 전체 기술통계(N=583) 139 <표 4-10> 선다형 검사 하위영역별 검사 신뢰도 140 <표 4-11> 본조사 문항별 답지반응분포 및 문항 난이도,변별도(N=583) 140 <표 4-12>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모형의 적합도 지수 143 <표 4-13> 본조사 문항 요인계수 143 <표 5-1> 분석 대상 대학 154 <표 5-2> 전국 대학 핵심역량 수 155 <표 5-3> 핵심역량별 활용 학교 수(상위 10개 역량) 156 <표 5-4> K-CESA 핵심역량 활용 학교 수 157 <표 5-5> K-CESA 핵심역량 일치율 158 <표 5-6> 표준화 데이터 구축 방안 요약 162 <표 5-7> 국내 대학 재학생 수와 진단 참여 표준화 데이터 구축을위한 변수 163 <표 5-8> 대학 재학생 및 진단 참여자 분포 166 <표 5-9> 학년별 남학생 표본 학생 수 168 <표 5-10> 학년별 여학생 표본 학생 수 169 <표 5-11> 4개 영역 이상 참여한 결과 요약 171 <표 5-12> 4개 영역 이상 참여 학생 중 re-sampling 결과 요약 172 <표 5-13> 4개 영역 이상 참여 학생 중 모집단 복원가중치적용 결과 173 <표 5-14> 표준화 데이터(K-CESA 진단 자료) 변수 174 <표 5-15> 표준화 데이터(대학알리미 자료) 변수(기준 2018년) 175 <표 5-16> K-CESA 서포터즈의 구성 183 [그림 2-1] 자기관리역량 점수(2019) 25 [그림 2-2] 대인관계역량 점수(2019) 28 [그림 2-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2019) 31 [그림 2-4] 글로벌역량 점수(2019) 34 [그림 2-5] 의사소통역량 점수(2019) 37 [그림 2-6] 종합적 사고력 점수(2019) 40 [그림 3-1] 35개 핵심 직무기술 59 [그림 3-2] 21세기 가장 핵심적인 16가지 기술 60 [그림 3-3]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역량 72 [그림 3-4] OECD 학습 나침반 첫 번째 단계 75 [그림 3-5] OECD 학습 프레임 두 번째 단계 76 [그림 3-6] 독일 자유대의 ABV 과정 101 [그림 4-1]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요인 모형 142 [그림 5-1] 대학의 핵심역량 현황(예시) 153 [그림 5-2] K-CESA 학술대회 진행 절차 17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19) | 2019.01.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