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구상 연구
A Study on Conceiving New Future Vocational Schools
- 저자
- 옥준필 김영생 류지은 오관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3.16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5 제2장 미래 사회의 변화와 직업교육_9 제1절 미래 사회의 변화 동향과 전망 11 제2절 미래 직업교육의 특징 및 방향 전망 45 제3절 소결 65 제3장 국내·외 미래형 직업학교 사례_73 제1절 국내 미래형 직업학교 사례 76 제2절 국외 미래형 직업학교 사례 100 제3절 소결 144 제4장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모델 구상과 구현 전략_153 제1절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구상의 방향과 지향점 155 제2절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모델 구상에 대한 전문가 의견 162 제3절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모델과 구현 전략 192 SUMMARY_209 참고 문헌_217 부록: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구상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지_225
이 연구는 미래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미래 지향적인 직업학교 시스템과 다양한 직업교육 접근 모델을 탐색하고 구상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직업학교의 ‘개선’ 차원의 접근에서 벗어나 ‘미래 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접근, ‘대안’적이고 ‘융합’적인 접근 관점에서 다양한 미래형 직업학교 모델과 구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10여 년 후인 2030년경의 미래 시점을 전망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교육 단계의 직업학교 모델을 주 포커스로 하되, 중등 이후의 고등교육 단계와 직업능력개발훈련, 평생교육을 연계하거나 포괄하는 융합적인 구상을 통해 다양한 직업학교 모델과 구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다 미래 지향적인 직업학교 모델을 정립하여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현재 직업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직업교육 및 직업학교의 문제를 보다 미래 지향적이고 혁신적인 관점에서 진단하고 접근하여 직업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 연구를 계기로 새로운 미래의 직업학교 시스템과 직업교육 모델을 탐색하고 구상하며 재구조화의 관점에 바람직한 미래형 직업학교 모델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conceive and design vocational schools in a more forward-looking and convergent perspective for vocational education which can provide substantial help so that young people can prepare themselves to get jobs that’s right for them after graduating, enter into society, and continue to grow and devel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ceive, and present models for vocational schools and approaches to vocational education which are newly tried as a way to address rapid changes in future society. Departing from approaches focused on improving existing vocational school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vocational school models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more forward-looking, innovative, alternative, and convergent perspective, foreseeing the future society of about 2030. Various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including literature and materials analysis, case analysis, expert survey and interview, expert council, and expert seminar....
<표 2-1> 전국 출생아 수 및 증감률 32 <표 2-2> 다문화 가족 변화 추이 34 <표 2-3> 2019년 재외 동포 현황 35 <표 2-4> 우리나라 직업교육(중등) 정책 변화 동향 46 <표 2-5> 광복 70년 직업교육(중등) 정책 중 우수 사례: 델파이 조사 48 <표 2-6> 고등학교에서 특성화고등학교 비중 추이 50 <표 2-7> 마이스터고등학교 학교 수 및 학생 수 추이 51 <표 3-1> IBM P-TECH 교과과정 개요 77 <표 3-2>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전공 교육과정 경로(1~5학년) 79 <표 3-3> 풀무학교 2019년 2~3학년 전문교과 교육과정 편성 88 <표 3-4> 풀무학교 2019년 1학년 전문교과 교육과정 편성 89 <표 3-5> 성공적인 직업생활 활동 분야 90 <표 3-6> 풀무학교 전공과정 생태농업과 교과과정 92 <표 3-7> 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 전공 학과별 주요 특징 96 <표 3-8> 국내 미래형 직업학교 사례 개요 99 <표 3-9> P-TECH 각 기관의 역할 103 <표 3-10> 업무 능력 커리큘럼 105 <표 3-11> IBM P-TECH 교과과정 개요 107 <표 3-12> NTHS 졸업 요건 111 <표 3-13> HTH(고등학교) 교육과정 120 <표 3-14> 오토브레너 학교 교육과정 124 <표 3-15> 오토브레너 학교 BGT 커리큘럼 125 <표 3-16> 오토브레너 학교의 BGT 성과(2013) 127 <표 3-17> 생산학교 참가자 현황 140 <표 3-18> 외국의 직업학교 사례 개요 143 <표 3-19> 국내·외 관련 직업학교의 주요 특징 145 <표 4-1> 미래 직업교육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63 <표 4-2> 미래 직업교육 시나리오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64 <표 4-3> 인문·직업 통합형(융합형) 직업학교 모델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66 <표 4-4> 기업 주도의 3+2 연계형(5년제) 직업학교 모델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73 <표 4-5> 일반고 학생을 위한 직업진로고(커리어스쿨) 직업학교 모델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79 <표 4-6> 직업을 통한 대안교육형 직업학교 모델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84 <표 4-7> 글로벌 직업학교 모델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88 [그림 2-1] OECD 장기 잠재 성장률 전망 21 [그림 2-2] 주요국의 경제성장 전망 22 [그림 2-3] 국가 채무 추이 24 [그림 2-4] 국가 채무 비율 비교(GDP 대비, %) 24 [그림 2-5] 장래인구 추계(2017~2067년) 26 [그림 2-6] 연령별 인구 구조(1960~2067년) 27 [그림 2-7] 연령별 인구 구성비(1960~2067년) 27 [그림 2-8] 생산연령인구(1960~2067년) 28 [그림 2-9] 생산연령인구 연령 구조(2017~2067년, 중위) 29 [그림 2-10] 주요 국가별 인구 고령화 속도 29 [그림 2-11] 전국 월별 출생 추이 32 [그림 2-12] 국내 체류 외국인 현황 37 [그림 2-13] 다문화 출생 추이(2008~2017년) 38 [그림 2-14] 전체 학생 수와 다문화 학생 수 변화 추이 39 [그림 2-15] 주요 국가의 인구 대비 이민자 비중 42 [그림 2-16] 대륙별 이주민 증가 현황(2000~2017년) 43 [그림 2-17] 직업계고 취업률 및 진학률 변화 추이(2010~2018년) 52 [그림 2-18] 특성화고등학교 정원 미달률 53 [그림 3-1]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전공 교육과정 경로(1~5학년) 78 [그림 3-2] 한국 아우스빌둥 스케줄 83 [그림 3-3] 아우스빌둥 학습 모델 84 [그림 3-4] 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 교육 프로세스 95 [그림 3-5] IBM P-TECH 교육 체계 104 [그림 3-6] IBM P-TECH 고등학교 증가 현황 108 [그림 3-7] 매너 뉴테크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112 [그림 3-8] HTH 학교 115 [그림 3-9] HTH 학교 전시 및 수업 모습 118 [그림 3-10] HTH 학교의 메이커 스페이스와 메이커 교육 121 [그림 3-11] 베를린 학교 시스템(좌)과 OSZ 직업 김나지움 시스템(우) 129 [그림 3-12] OSZ 시뮬레이션 컨베이어 벨트 130 [그림 3-13] 덴마크 생산학교의 재정 지원 체계 133 [그림 3-14] 사례 분석에 따른 미래 직업학교 유형 151 [그림 4-1]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구상의 방향과 지향점 157 [그림 4-2]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구상 16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새로운 미래 직업학교 구상 연구 | 2019.01.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