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직업계고 디지털역량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저자
- 전종호 이철현 이영민 이남철 오관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2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3.16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연구의 제한점 11 제2장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역량_13 제1절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역량의 개념 15 제2절 디지털 역량의 개념 및 구성 요소의 정의 71 제3장 디지털 역량 교육 현황_119 제1절 디지털 역량 관련 정부 정책 121 제2절 국내 디지털 역량 교육 현황 125 제3절 해외 디지털 역량 교육 현황 152 제4장 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조사_159 제1절 조사 개요 161 제2절 조사 결과 164 제5장 직업계고 디지털 역량 교육 방안_181 제1절 직업계고 디지털 역량 교육 방안 183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89 제1절 결론 191 제2절 정책 제언 193 SUMMARY_197 부록_207 1. 설문조사지 209 2.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 예시자료 222
디지털 사회는 점차 심화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디지털 역량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역전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개인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역량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특히 직업계고의 경우, 졸업과 동시에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학생들을 교육하기 때문에 디지털 사회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 교육의 중요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직업계고에서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 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세부 추진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디지털 기술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을 반영한 디지털 역량에 대해 재정의(개념과 구성 요소)한다. 둘째, 직업계고에서의 디지털 역량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교육 방안은 교육 내용, 교육 방법, 지원 방안 중심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apidly changing everyday life and business environment to digital environment. ...
<표 2-1>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특징 20 <표 2-2>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특징 21 <표 2-3>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특징: 디지털 전환의 함의 22 <표 2-4> ICT 관련 미래 대표 기술 및 응용 기술 27 <표 2-5> ICT로 인한 미래의 일자리 환경 변화 트렌드와 미래의 직업 변화 트렌드 29 <표 2-6> 인더스트리 4.0 역량 31 <표 2-7> 미래 역량 31 <표 2-8> 8가지 미래 핵심 역량 32 <표 2-9>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33 <표 2-10> 생활 스킬 구성요소로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37 <표 2-11>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41 <표 2-12> JISC의 디지털 리터러시 7요소 모델 42 <표 2-13> 매사추세츠 K-12 디지털 리터러시 및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43 <표 2-14> 매사추세츠 K-12 디지털 리터러시 및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프레임워크의 ‘컴퓨팅 사고’의 개념, 특징 및 하위 요소 44 <표 2-15> 매사추세츠 K-12 디지털 리터러시 및 및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프레임워크의 9-12학년 능력 표준 45 <표 2-16> BC’s 디지털 리터리시 프레임워크 46 <표 2-17> 2018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성취기준 49 <표 2-18> 디지털 역량의 영역 51 <표 2-19> 디지털 역량 12개 영역 52 <표 2-20> DigComp 1.0 프레임워크 54 <표 2-21> DigComp 1.0과 DigComp 2.0의 역량 영역 비교 56 <표 2-22> DigComp 1.0과 DigComp 2.0의 역량 해설 비교 57 <표 2-23> DigComp 2.1의 8단계 숙련 수준 61 <표 2-24> DigComp 2.1의 ‘프로그래밍’ 역량 활용 사례 62 <표 2-25>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의 영역별 요소 63 <표 2-26> European e-Competence 프레임워크 3.0 개괄 64 <표 2-27> European e-Competence 프레임워크 풀버전 중‘A. 계획’의 ‘A.7 기술 동향 모니터링’에 대한 내용 66 <표 2-28> 21세기에 필요한 디지털 스킬 67 <표 2-29>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전환적 주요 특징 71 <표 2-30>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관점의 주요 특징 72 <표 2-31> 4차 산업혁명의 직업 변화 관점의 주요 특징 73 <표 2-32> 4차 산업혁명의 미래 역량 관점의 주요 특징 74 <표 2-33>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 관점의 주요 특징 75 <표 2-34> 디지털 리터러시 종합 78 <표 2-35> 디지털 역량 종합 79 <표 2-36>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초안) 81 <표 2-37> 응답 전문가 수에 따른 CVR의 최솟값 84 <표 2-38> 디지털 역량의 ‘역량 영역’에 대한 CVR 산출 결과 85 <표 2-39> 디지털 역량의 ‘역량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85 <표 2-40> ‘디지털 콘텐츠 및 기기 리터러시’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87 <표 2-41> ‘디지털 콘텐츠 및 기기 리터러시’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87 <표 2-42> ‘디지털 의사소통 및 협력’ 영역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89 <표 2-43> ‘디지털 의사소통 및 협력’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90 <표 2-44> ‘디지털 콘텐츠 생성’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91 <표 2-45> ‘디지털 콘텐츠 생성’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92 <표 2-46> ‘디지털 시민의식’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93 <표 2-47> ‘디지털 시민의식’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94 <표 2-48> ‘디지털 문제 해결’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96 <표 2-49> ‘디지털 문제 해결’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96 <표 2-50> ‘컴퓨팅 사고’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98 <표 2-51> ‘컴퓨팅 사고’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98 <표 2-52> ‘디지털 변화의 직업적 요구 수용’ 영역 세부 역량 CVR 산출 결과 100 <표 2-53> ‘디지털 변화의 직업적 요구 수용’ 영역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00 <표 2-54> ‘ICT 전문가 역량’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01 <표 2-55> ‘ICT 전문가 역량’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01 <표 2-56>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초안)’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01 <표 2-57>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초안)’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02 <표 2-58> 1차 전문가 조사 결과를 반영한 디지털 역량(수정안) 104 <표 2-59> 디지털 역량(수정안)의 ‘역량 영역’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07 <표 2-60> 디지털 역량(수정안)의 ‘역량 영역’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07 <표 2-61> ‘디지털 기기 리터러시’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08 <표 2-62> ‘디지털 기기 리터러시’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08 <표 2-63> ‘디지털 의사소통 및 협력’ 영역의 세부 역량 CVR 산출 결과 109 <표 2-64> ‘디지털 의사소통 및 협력’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09 <표 2-65> ‘디지털 콘텐츠 리터러시’ 영역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10 <표 2-66> ‘디지털 콘텐츠 리터러시’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10 <표 2-67> ‘디지털 시민의식’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11 <표 2-68> ‘디지털 시민의식’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12 <표 2-69> ‘디지털 문제 해결’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13 <표 2-70> ‘디지털 문제 해결’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13 <표 2-71> ‘디지털 변화의 직업적 요구 수용’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14 <표 2-72> ‘디지털 변화의 직업적 요구 수용’ 영역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15 <표 2-73>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수정안)’ 영역의 세부 역량에 대한 CVR 산출 결과 115 <표 2-74>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수정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수정 방안 116 <표 2-75>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최종안) 116 <표 3-1> 2004년 한국 디지털 역량 지수(KDQ) 분류표 129 <표 3-2> 2015 개정 교육과정 – 초등학교 ‘실과’ 과목의 내용체계 134 <표 3-3> 2015 개정 교육과정 – 중학교 ‘정보’(필수) 과목의 내용체계 135 <표 3-4> 2015 개정 교육과정 – 고등학교 ‘정보’ 과목(선택)의 내용체계 136 <표 3-5> 2015 개정 교육과정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및 적용 일정 142 <표 3-6> 중등 ‘정보‧컴퓨터’ 기본 이수 과목(분야) 개정 계획 143 <표 3-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종합교육연수원 연수 이수증 발급 현황(2017. 7.~2018. 2.) 144 <표 3-8> SW 교육 교원 연수 2018년 연수 계획 145 <표 3-9> SW 교육 교원 연수 2019년 연수 계획 146 <표 3-10>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위한 초‧중학교 컴퓨터실 확보 계획 149 <표 3-11>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위한 학생용 컴퓨터 확충 계획 149 <표 4-1>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161 <표 4-2>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문항(교사용) 162 <표 4-3>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문항(학생용) 162 <표 4-4>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문항(기업용) 163 <표 4-5> 응답자(교사)의 일반 특성 164 <표 4-6> 응답자(학생)의 일반 특성 166 <표 4-7> 응답자(기업) 일반 특성 167 <표 4-8> 디지털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용어 인지 정도 168 <표 4-9> 디지털 역량 항목별 인지 정도 169 <표 4-10> 기업: 디지털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필요 정도 170 <표 4-11> 디지털 역량 관련 교수 경험 173 <표 4-12> ICT 활용 교육 현황 174 <표 4-13> 취업 후 디지털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요구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 175 <표 4-14> 교수 방식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의견 177 <표 4-15> 학교에서의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 교사의 요구 177 <표 4-16> 학교에서의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 학생의 요구 178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7 [그림 2-1] 인더스트리 4.0의 개념 18 [그림 2-2] 인더스트리 4.0의 개념 19 [그림 2-3] 인더스트리 4.0의 혁신적 기술이 생산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 주는 10가지 사례 23 [그림 2-4] 주요 디지털 기술의 향후 5년 내 활용도 증가 25 [그림 2-5] 생산 기술 레이더: 비즈니스 리더 및 정책 입안자를 위한 지침 26 [그림 2-6] 디지털 역량의 배경 분야 및 관련 개념 36 [그림 2-7] 12개 디지털 역량의 관계 및 숙련도 53 [그림 2-8]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 도출 전략 75 [그림 3-1] 배움나라 서비스 125 [그림 3-2] 배움나라 강의실 126 [그림 3-3] 국민정보화교육 포털 사업 소개 127 [그림 3-4] 국내 ‘정보’ 교육과정의 변화 132 [그림 3-5]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교육 현황 133 [그림 3-6] SW 교육 핵심 교원 연수의 위치 147 [그림 3-7] SW 교육 핵심 교원 연수 진행 및 교육 내용 148 [그림 3-8] 학교 인터넷망 구성도 150 [그림 3-9] 학교 무선인프라 단계적 확충(안) 150 [그림 3-10] 영국 SWGfL Digital Literacy 교육과정 – 레슨 예시 153 [그림 3-11]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활동 사례 154 [그림 3-12] 아일랜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제1 영역(My digital world) 155 [그림 3-13] 미국 매사추세츠주 DLCS의 학년 그룹(Grade 9~12) 표준 156 [그림 5-1] 디지털 역량 교육의 위상 18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직업계고 디지털역량 교육 연구 | 2019.05.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