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과 전략(2019)
Direction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to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 저자
- 황규희 김안국 이동임 김민석 노용진 엄미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9-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9.12.31
- 등록일
- 2020.04.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3 제2절 논리 체계 및 연구 방법 9 제2장 한국의 스마트 제조 혁신_19 제1절 도입 21 제2절 스마트기술 도입 이전의 자동화 경험과 영향 22 제3절 스마트 제조 43 제4절 소결 56 제3장 스마트 제조 해외 사례_59 제1절 도입 61 제2절 독일의 Industry 4.0 62 제2절 중국의 제조2025 83 제4절 소결 104 제4장 스마트 제조 혁신의 교육훈련 수요 분석_109 제1절 도입 111 제2절 직업정보를 이용한 숙련 수요 분석 112 제3절 직종별 고용 현황 136 제4절 설문 조사 분석 146 제5절 소결 162 제5장 스마트 제조 혁신과 숙련요건 변화: 중소제조기업_165 제1절 도입 167 제2절 분석 틀 171 제3절 사례1: 기업 A 183 제4절 사례2: 기업 B 204 제5절 소결 217 제6장 스마트 제조혁신 대응 재교육훈련 개선 방안_223 제1절 기존 재교육훈련 검토 225 제2절 제조혁신의 핵심으로의 기술인력 재교육 235 제3절 스마트 제조혁신에 대응한 기술인력 재교육 방안 242 제4절 소결 248 제7장 결 론_253 제1절 분석 결과 종합 255 제2절 스마트 제조혁신 대응 재교육 개선 방안: 기술직을 중심으로 259 Summary_263 참고문헌_269 부록_285 1. 설문조사지 287 2. NCS 직종별 훈련비 지원 기준단가 291
본 연구는 스마트공장으로 나타나고 있는 스마트 제조 혁신에서의 재교육훈련에 대하여, 대상의 구분을 식별하며 대상별 재교육훈련 내용, 방식 등의 차별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제도개선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술직, 기능직, 생산직의 직종별 차이에 주목하고자 하며, 각각의 숙련수요 변화 및 고용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의 하나로 각각의 재직자 훈련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스마트 제조혁신에 따른 재교육훈련에 대하여 직종 등의 차이가 고려되어야 할 것인가 - 차별적 대응이 필요하다면, 차별적 내용은 어떻게 대응되어야 할 것인가: 재교육훈련의 내용 등 - 제도적 개선 필요사항은 무엇인가
This study is the second year of the three-years project under the title of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in the Future’. This year’s study focuses on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recent technological changes such as hyper-connectivity, AI, and big data. This year’s second-year study focuses on in-service training and does not include the training of new manpower, which may be the subject of the third year’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assification of subjects, review the differentiation of contents and methods of reeducation training for each subject, and propose system improvement tasks. In particular, we will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chnical, technical, and production occupations, and the changes in skill demand and employment. Through analysis, we will identify the core human resources of smart manufacturing innovation as technical personnel and pay special attention to its re-education and training.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occupation and actual job changes in the industrial field were examined by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y.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표 1-1> 연구구성과 연구방법 13 <표 1-2> 공장 견학 및 연구 관련 세미나 참가 14 <표 1-3> 전문가 포럼 운영 15 <표 2-1> 스마트공장의 구성요소: 기술적 관점 46 <표 2-2> 스마트공장 솔루션의 분류 47 <표 2-3> 스마트 제조의 구성요소 및 정의 49 <표 2-4> 스마트공장 5단계 수준 52 <표 2-5> P사 내부 스마트 기술 교육 55 <표 3-1> 산업혁명의 발전단계 84 <표 3-2> 중국제조2025 내용 86 <표 3-3> 인터넷플러스 내용 89 <표 3-4> 중국 5개년 규획 내용 92 <표 3-5> 제조업인재발전규획지침 내용 94 <표 3-6> 중국의 분야별 대표 인공지능 기업 98 <표 4-1> 새로운 직업정보의 등장 114 <표 4-2> 주요 직종별 숙련수준 116 <표 4-3> 2010년~2019년 유지되는 직업에서의 평균 숙련수준 변화 117 <표 4-4> 기존 직업 대비 신규 직업의 숙련수준 평균 118 <표 4-5> 기술직종에서의 숙련수준 변화 119 <표 4-6> 문제해결 스킬에 따른 기술직종 분포 120 <표 4-7> 설비직종에서의 기존 직업 대비 신규직업의 숙련수준 평균 122 <표 4-8> 설비직의 기능스킬에 대한 직업 분포 123 <표 4-9> 생산직에서의 기존 직업 대비 신규직업의 숙련수준 평균 125 <표 4-10> 정보분석직에서의 기존 직업 대비 신규직업 비교 127 <표 4-11> 기능스킬과 관리스킬에 대한 정보분석직 분포 128 <표 4-12> 사업금융직에서의 기존 직업 대비 신규직업의 숙련수준 130 <표 4-13> 관리직에서의 기존 직업 대비 신규직업의 숙련 131 <표 4-14> 서비스 직종 및 건설직종에서의 기존 직업 대비 신규직업의숙련수준 평균 132 <표 4-15> 직종별 고용 현원과 부족인원 137 <표 4-16> IT 분야 현원 및 부족인원 139 <표 4-17> 제조 분야 기술직의 현원 및 부족인원 141 <표 4-18> 제조 분야 기능직의 현원 및 부족인원 142 <표 4-19> 제조분야 생산직의 현원 및 부족인원 143 <표 4-20> 응답기업 규모 분포 146 <표 4-21> 스마트공장 공급 사업 참여 분야 147 <표 4-22> 스마트 공장 공급업체로서의 애로 요인 147 <표 4-23> 고용변화: 솔루션/서비스 분야(251개 기업) 149 <표 4-24> 고용변화: 설비공급(160개 기업) 149 <표 4-25> 필요역량 변화: 솔루션 서비스 분야(251개 기업) 150 <표 4-26> 필요역량 변화: 설비공급(160개 기업) 151 <표 4-27> 기능인력 수준의 필요역량 변화에 대한 기업의 대응 152 <표 4-28> 조사된 대상자의 현업무 시작 연도 152 <표 4-29> 근로자 조사의 (기능인력) 필요역량 변화 153 <표 4-30> 근로자 조사의 기업에 대한 요구 154 <표 4-31> 근로자 조사의 정부에 대한 요구 154 <표 4-32> 기초 통계 155 <표 4-33> 연령별 현 직무의 변화 인식 158 <표 4-34> 연령별 향후 5년 내 직무 변화 전망 158 <표 4-35> 근무기간별 변화대응방안 159 <표 4-36> 교육훈련 개선 요구 161 <표 5-1> 재무정보 205 <표 6-1> 주요 직업훈련사업(2019년, 고용노동부) 226 <표 6-2> 전문인력 양성 정부재정지원사업 229 <표 6-3>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노동자의 적응훈련 확대’주요 내용 233 <표 6-4>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영역과 기술인력 직무 변화 전망 235 <표 6-5> 캐나다 Professional Development 내용 238 <표 6-6> (건설기술) 특급기술자 교육・훈련 학점인정 기준 241 <표 6-7> 4차산업혁명 관련 정부의 인력공급정책에 대한 평가 243 [그림 1-1] 숙련수요 거시 체계 9 [그림 1-2] 숙련수요에 대한 교육훈련과 채용의 의사결정 체계 11 [그림 1-3] 숙련수요에 대한 신규인력양성과 기존인력 재교육훈련 12 [그림 3-1] 중국제조2025 도해 85 [그림 4-1] 5인 이상 사업체 기준, 전 산업 현원 및 부족률 추이 136 [그림 5-1] 본 장의 분석틀 182 [그림 5-2] 기업 A의 매출액 추이 184 [그림 5-3] 기업 A의 영업이익률 추이 185 [그림 5-4] 생산기능직의 연령별 연봉 분포(기업 B) 208 [그림 5-5] 기업 B의 스마트기술 체계 212 [그림 6-1] 현행 생애단계별 직업능력개발 지원 제도(’18년 기준): 재직단계 22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과 전략(2019) | 2019.01.01~201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