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 진로·취업 지원 컨설팅 효과성 분석 및 표준모델 개발 연구

Research on college career employment consulting effect analysis and standard model development
저자
유한구 채창균 송선혜
분류정보
기본연구(2020-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31
등록일
2020.10.28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7
제2장  대학 진로·취업 현황_11
제1절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참여 효과	14
제2절 대학 진로·취업 유형 분류	41
제3절 유형별 대학 진로·취업 현황	50
제4절 소결	69
제3장  대학별 진로·취업 모형 개발_73
제1절 전문대학 진로·취업 모형 	75
제2절 4년제 대학 진로·취업 모형	93
제3절 소결	112
제4장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추진 방안_119
제1절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개요	121
제2절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절차	126
제5장  결론_147
제1절 요약	149
제2절 향후 추진 방안	153
SUMMARY_155
참고문헌_159
부록_163
1. 대학관계자 면담 설문지	165
2. 해외대학 우수 사례	168
○ 우리나라가 저성장 국면으로 들어가면서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문대학 및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이 지속되고 있음.
- 전체 실업률은 2013년 3.1%에서 2019년 3.8%로 증가하였고, 청년 실업률은 2013년 8.0%에서 2019년 8.9%로 증가하여 청년층의 실업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음(e-나라지표, 2020. 4. 1.).
- 청년층 실업의 대부분은 전문대학 및 대학 졸업자의 취업이 어려운 점이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음.
○ 대졸자 취업난의 원인은 ‘좋은 일자리’의 부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이와 함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진로 및 취업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도 지적되고 있음.
- 우리나라 대학과 전문대학의 진로교육 실태를 분석한 연구에서 대학의 진로교육 지원 조직의 일원화와 이를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진로교육 계획의 수립과 시행을 제안하고 있음(이강주 외, 2015).
- 대부분의 대학은 취업지원센터, 학생생활상담소 등의 조직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지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진로교육이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음(이강주 외, 2015).
○ 체계적인 진로 및 취업 교육의 수행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2016년에 ‘대학 진로지도 및 취·창업 지원 시범대학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2017년과 2019년에도 대학 취업지원 컨설팅 사업을 수행하였음.
- 2016년 시범사업에서는 총 21개 대학에 대하여 컨설팅을 진행하였고, 2017년에는 23개 대학, 2019년에는 8개 대학을 대상으로 컨설팅 사업을 진행하였음.
- 2017년 3개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은 컨설팅 사업에 처음 참여하는 대학이었으며, 이들 대학에 대한 컨설팅의 주요 목적은 ‘진로·취업 종합지원계획’의 수립을 통한 체계적인 진로·취업 지원 체계의 수립이었음.
○ 기존 컨설팅 사업의 수행 결과와 기존의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교의 특성에 맞는 진로 및 취업 지원 모형의 구축과 이를 통한 실질적인 취업지원 방안의 도출이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됨.
- 우리나라 대학과 전문대학의 진로교육 실태를 분석한 연구에서도 대학의 진로교육 개선방안으로 대학 내 다양한 진로 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으나, 개별 대학의 고유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프로그램 간 상호 연계성이 미흡한 경우가 많아 대학별 진로교육 역량 및 수준에 따른 초기 진로역량개발 교육부터 취·창업 역량 강화 등에 이르기까지 ‘맞춤형 종합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
- 교육부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중심으로 대학의 신청을 받아 맞춤형 컨설팅을 2016년부터 진행해 왔으며. 3년 차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그간 컨설팅 참여 대학의 진로 및 취·창업 분야 역량 개발 효과 분석 등 사업 진단에 근거한 향후 사업 방향 제시, 표준 컨설팅 모델 개발 등의 연구가 필요함.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컨설팅 사업을 통해 제시된 학교 유형별 진로 및 취업 지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기초로 학교 특성을 반영한 유형별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음.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college career/employment consulting conducted by KRIVE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derives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each college type and a consulting promotion plan to effectively conduct college career and employment consulting in the future. ...
<표 2-1> 선행연구 결과	17
<표 2-2> 분석 변수 및 변수 처리	23
<표 2-3> 참여 대학과 비참여 대학 비교	25
<표 2-4> 이중차분 회귀분석 분석 결과	27
<표 2-5> 분석 대상 대학교	29
<표 2-6> 분석 변수 및 변수 처리	32
<표 2-7> 참여 대학과 비참여 대학 비교(대학)	35
<표 2-8> 참여 대학과 비참여 대학 비교(학생)	36
<표 2-9> 이중차분 추정 결과(대학)	39
<표 2-10> 이중차분 추정 결과(학생)	40
<표 2-11>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모델 적합도	44
<표 2-12> 잠재계층 집단의 변화함수와 구성 비율(4년제 대학 및 전문대)	45
<표 2-13> 4년제 대학 모델 적합도	46
<표 2-14> 잠재계층 집단의 변화함수와 구성 비율(4년제 대학)	47
<표 2-15> 전문대 모델 적합도	48
<표 2-16> 잠재계층 집단의 변화함수와 구성 비율(전문대)	49
<표 2-17> 분석 변수 및 변수 처리	52
<표 2-18>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예산 및 지원 인력(4년제 및 전문대)	54
<표 2-19>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교과목 수 및 수강인원(4년제 및 전문대)	55
<표 2-20>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프로그램 수 및 참여 인원(4년제 및 전문대)	56
<표 2-21>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예산 및 지원 인력(4년제 대학)	57
<표 2-22>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교과목 수 및 수강인원(4년제 대학)	58
<표 2-23>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프로그램 수 및 참여 인원 (4년제 대학)	59
<표 2-24>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예산 및 지원 인력(전문대)	60
<표 2-25>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교과목 수 및 수강인원(전문대)	61
<표 2-26>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창업 프로그램 수 및 참여인원(전문대)	62
<표 2-27> 4년제 대학 및 전문대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 요인 	63
<표 2-28> 4년제 대학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 요인 	65
<표 2-29> 전문대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요인	68
<표 3-1> PISA 읽기 저성취자 학생 비율	76
<표 3-2> PISA 수학 저성취자 학생 비율	76
<표 3-3> 사립학교 재정수입 구조(2018)	78
<표 3-4> 전문대학 학사학위 과정 운영 현황(2019)	79
<표 3-5>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미래 핵샘역량 전망	80
<표 3-6> IT 분야 산업별 역량체계	87
<표 3-7> 진로·취업 지원 계획의 수립	90
<표 3-8> 진로 및 취업 지원 조직	90
<표 3-9> 진로 및 취업 자원 및 예산	91
<표 3-10> 역량개발 인증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92
<표 3-11> 산학협력 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	92
<표 3-12> 4년제 대학 학과 구조의 다양성	94
<표 3-13> 4년제 대학 규모의 다양성	95
<표 3-14> 4년제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모형	96
<표 3-15> 희망 직업에 따른 전공 교과 선정(학과 중심)	100
<표 3-16> 희망 직업에 따른 전공 교과 선정(직업 중심)	106
<표 3-17> 희망 직업에 따른 전공 교과 선정(직업 및 기업 중심)	110
<표 3-18> 학문 중심 학과 구조 대학의 모형 비교	113
<표 3-19> 직업 중심 학과 구조 대학의 모형 비교	114
<표 3-20> K대학 학과 개편	116
<표 4-1> 대학 작성 및 제출 자료	130
<표 4-2> 컨설팅 기본 모형	137
<표 4-3> 재학생 진로개발 역량조사 내용	138
<표 4-4> 진로개발 준비도 세부 문항 	139
<표 4-5> 진로교육 만족도 및 진로교육 요구 문항표	140
<표 4-6> 재학생 역량진단(K-CESA) 조사 내용	142
<표 4-7>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질문 영역 및 항목	143
<표 4-8> 대학 작성 및 제출 자료	145
[그림 1-1] 연구 절차	9
[그림 2-1] 2017년 진로실태조사 설문 문항	31
[그림 2-2] 학교 보정취업률의 잠재계층 분류(4년제 대학 및 전문대)	45
[그림 2-3] 학교 보정취업률의 잠재계층 분류(4년제 대학)	47
[그림 2-4] 학교 보정취업률의 잠재계층 분류(전문대)	49
[그림 3-1] 중학교 학생의 진로경로	77
[그림 3-2] 전문대학의 진로 및 심리 상담 프로세스 사례	83
[그림 3-3] 전문대학의 취·창업 지원 프로세스 사례	83
[그림 3-4] 기초학력 진단 프로세스(전문대학기초학습지원센터)	84
[그림 3-5] 대학생의 학교생활 참여 유형	97
[그림 3-6] 대학생의 취업선호 유형 및 특성	98
[그림 4-1]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흐름	123
[그림 4-2]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진단요소 	124
[그림 4-3] 대학 진로·취업 컨설팅 구성  	126
[그림 4-4] 컨설팅 단계별 세부 내용	12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대학 진로·취업 지원 컨설팅 효과성 분석 및 표준모델 개발 연구 2020.03.01~2020.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