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0)
- 저자
- 최지희 이한별 임건주 최현식 한종택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20-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12.27
- 등록일
- 2021.01.26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URC 사업국제협력UNEVOCTVET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사업 내용 6 제3절 사업 추진 절차 및 방법 10 제2장 UNESCO Regional Center와 UNEVOC 현황 분석_13 제1절 URC와 UNEVOC의 개요 및 현황 15 제2절 UNEVOC 네트워크의 관심 주제 및 활동 25 제3절 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의 역할 45 제3장 글로벌 및 아태 지역 TVET 이슈 분석_53 제1절 글로벌 TVET 이슈 분석 55 제2절 아태 지역 TVET 이슈 분석 69 제4장 UNEVOC 네트워크 TVET 정책 우수사례_85 제1절 우수사례 모집 개요 87 제2절 국가별 사례의 주요 내용 93 제3절 우수사례 종합 및 시사점 107 제5장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우수사례 공유 국내 워크숍_111 제1절 워크숍 개요 113 제2절 사전 유관기관 협의회 개최 117 제3절 워크숍 주요 발표 및 논의 내용 138 제6장 결론_167 제1절 요약 169 제2절 향후 과제 171 참고문헌_177 부 록_183 1. 아태 지역 국별 TVET 개혁 및 도전과제 185 2. 아태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설문지 199 3. UNEVOC 네트워크 TVET 정책 우수사례 모집 공고(Call for Paper) 206 4.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우수사례 공유 국내 워크숍 발표자료 213
사업의 주목적은 아태 지역 내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을 촉진하고, 아태 지역의 정책 입안자와 전문가들의 역량 개선 및 정책 사례 전수를 통해 이들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정책 개선에 기여하는 데 있다. 한편, 올해는 예년과 비교해 COVID-19라는 유례없는 팬데믹의 도래로 인해, 특히 글로벌 협력을 포함한 국제사업이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현장 방문과 대면을 통해 이루어지던 국제협력 방식은 화상회의나 웹을 사용하는 워크숍들로 대체되었으며, 국제회의와 연수 등 글로벌 협력의 기존 방식들은 웹 세미나나 웹-현장 방문으로 대체되었다. 특히, COVID-19의 영향은 정보통신 기반이 잘 갖춰지지 않은 개도국들과의 협력 추진에 있어 더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올해 본 사업은 COVID-19의 영향으로 사업의 구체적 목적과 주요 내용에 있어 일부 재정립이 불가피하였다. 본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0)의 구체적 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NESCO-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로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클러스터 센터 간 네트워크 활성화와 공동과제 도출 등을 지원함으로써 회원국 간 긴밀한 협력관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둘째, 한국 및 다른 동아시아?동남아시아 UNEVOC 회원국들의 직업교육훈련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우수사례집을 발간함으로써 아태 지역 정책 입안자와 전문가의 역량을 개발하고 해당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정책 개선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는 코로나19의 발생으로 기존의 현장 워크숍을 통한 회원국 간 TVET 정책과 실행에 관한 국가 간 지식 공유 및 확산이 어려워짐에 따라 비대면 방식으로 이들 국가의 TVET 정책을 지원하고 국가 간 지식 공유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국내의 교육 및 고용 분야 국제협력 사업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워크숍을 개최함으로써 COVID-19로 인한 국제협력 사업의 변화 및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 뉴노멀 시대의 국제협력 신사업모델을 함께 구상하며, 유관기관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그간 각각의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추진해 온 유관기관들이 비대면 시대의 국제협력 우수사례를 서로 벤치마킹함으로써 국제협력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낼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아시아 개도국들과의 더 적극적이고도 전방위적인 국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표 2-1> 지역별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수 18 <표 2-2>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유형 구분 19 <표 2-3>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센터 UNEVOC 센터 20 <표 2-4> UNEVOC 네트워크 센터의 관심 분야 24 <표 2-5> UNEVOC 주제와 사업?활동 간의 연계 38 <표 2-6> UNEVOC 네트워크의 유럽 클러스터 BILT 워크숍 41 <표 2-7> UNEVOC의 TVET 우수사례 44 <표 2-8> 연차별 UNEVOC 클러스터 워크숍 및 주요 논의 주제 46 <표 2-9> 연차별 UNEVOC Global Forum 주요 논의 내용 48 <표 2-10> 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터(개인)의 주요 역할 51 <표 3-1> SDG 중 직업교육훈련 관련 목표(SDG 4, SDG 8) 57 <표 3-2> SDG 직업교육훈련 참여 지표(2017) 58 <표 3-3> 아태 지역 TVET 이슈 종합 69 <표 3-4> 조사응답자 특성 78 <표 4-1> 우수사례집 원고 목록 92 <표 5-1> 워크숍 프로그램 115 <표 5-2> 사전 유관기관 협의회 개최 현황 117 <표 5-3>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18 <표 5-4> 한국산업인력공단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19 <표 5-5>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1 <표 5-6> 한국폴리텍대학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2 <표 5-7> 근로복지공단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2 <표 5-8> 대한상공회의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4 <표 5-9> 한국고용정보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5 <표 5-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7 <표 5-1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8 <표 5-12> 한국교육개발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29 <표 5-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31 <표 5-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33 <표 5-15> 육아정책연구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34 <표 5-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35 <표 5-17> 개도국 고용서비스(PES) 전산망 구축 사업 대상 국가 138 <표 5-18> 개도국 교육지표 개발?협력 사업 마스터플랜 144 <표 5-19> 국가별로 우선으로 요구되는 역량 147 <표 5-20> 국내 협력대학-CLMV 회원대학 매칭 현황 149 <표 5-21> 유네스코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 웨비나 주제 151 <표 5-22> 국제대회 훈련지도 및 컨설팅, 현지 워크숍 등 전문가파견 실적 154 <표 5-23> 수원국 기능경기대회 역량 향상지원 초청연수 지원 실적 154 <표 5-24> 아세안 TEAM 프로젝트(2019~2022) 156 <표 5-25>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온라인 직업교육훈련 사례 160 [그림 1-1] 사업 추진 절차 및 방법 10 [그림 2-1] UNEVOC 네트워크 협력체계 17 [그림 2-2] TVET 학습자의 기업가 역량 개발 27 [그림 2-3] 직종별 남성과 여성의 TVET 참여율 31 [그림 2-4] UNEVOC TVET 리더십 프로그램의 리더십 영역 40 [그림 2-5] UNEVOC 네트워크 포털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소개 페이지 49 [그림 3-1] TVET 정책 이슈의 국가별 중요도 그래프 79 [그림 3-2] TVET 정책 이슈의 기관별 중요도 그래프 80 [그림 3-3] 한국 협력 비교우위 TVET 정책 이슈 81 [그림 3-4] TVET 우수사례 자료집 주제 선호도 82 [그림 4-1] TVET 기관의 원격학습 환경 관리 시스템 99 [그림 5-1] O3 학습모델 체계 15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0)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