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안
The study on Career Education System reform method with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저자
- 정윤경 류지은 안유진 곽초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0-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12.27
- 등록일
- 2021.02.0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의 정의 23 제2장 고교학점제 및 진로교육 체제 관련 문헌 고찰_27 제1절 고교학점제 도입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29 제2절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고찰 45 제3절 고등학교 진로교육 기존 현황 고찰 56 제4절 시사점 66 제3장 국내외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사례 분석_69 제1절 국내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사례 71 제2절 해외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사례 107 제3절 시사점 138 제4장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실태 및 요구분석_141 제1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학생, 교사 및 조직 특성 143 제2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활동 및 효과 160 제3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문제점 및 요구사항 170 제4절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의 영역별 주요 쟁점 183 제5절 시사점 199 제5장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_205 제1절 학점제에 따른 전반적인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개편방향 207 제2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17 제3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28 제4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밖 지원체제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39 Summary_251 참고문헌_261 부록_275 1.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9) 주요 결과표 277 2. 면담조사지(교사용) 280 3. 면담조사지(학생용) 288 4. 설문조사지(교사용) 293 5. 설문조사지(학생) 303 6. 설문조사지(학부모) 309 7. FGI 질문지(교사 그룹) 314 8. FGI 질문지(전문가 그룹) 317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진로교육 과제를 도출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High School Credit System (hereafter “HSCS”) allows high school students to selectively learn necessary subjects according to their desired career paths and earn high school diploma simply by completing the standard number of credits. HSCS was introduced amid growing calls for school education to nurture necessary capabilities and provide a broad range of career learning opportunities required for the young generation to cope with future societal changes. This study, which explores how to realign high school’s career education system along with HSCS adoption, was conducted by means of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surveys, focus group interviews, oversea case studies, expert councils and seminars. ...
<표 1-1> 전문가협의회 개최 현황 9 <표 1-2> 교사 및 학생 면담조사 현황 10 <표 1-3>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설문조사 대상 목표표집 12 <표 1-4> 설문조사 주요 내용 13 <표 1-5>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교사 응답자의 특성 15 <표 1-6>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교사의 평균 교직 경력 17 <표 1-7>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학생 및 학부모 응답자의 특성 17 <표 1-8> 해외사례 분석을 위한 해외통신원 및 주요 내용 19 <표 1-9> 초점집단면접(FGI) 개최 현황 20 <표 1-10> 세미나 일정 및 내용 21 <표 2-1>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도입 정책 추진 현황 30 <표 2-2>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연차별 규모 31 <표 2-3>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 유형 34 <표 2-4> 고교학점제지원센터 운영 현황 37 <표 2-5> 고교학점제 진로·학업설계 분야 투자 계획, 향후 5년간 목표치 및 소요 예산 40 <표 2-6> 고교학점제 도입·운영 자료 목록 41 <표 2-7> 고교학점제 관련 주요 선행연구 43 <표 2-8> 학점제 선행연구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 45 <표 2-9> 고등학교 진로교육 세부목표 및 성취기준 수(2015) 47 <표 2-10> 고교학점제의 진로·학업계획과 관련된 고등학교 진로교육세부목표 및 성취기준 48 <표 2-11> 진로교육과 진로지도의 차이점 50 <표 2-12> 고교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의 주요 용어의 개념 55 <표 2-13> 고등학교 진로교육 조직(부서) 유무(2019) 57 <표 2-14>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배치 현황(2019) 58 <표 2-15>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과목 수업 여부 및 운영 방식(2019) 59 <표 2-16>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과목 운영 시기(2019) 60 <표 2-17>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참여 현황 및 만족도 62 <표 2-18>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향후 참여 희망 63 <표 2-19> 고등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고등학교 유형별 비교) 65 <표 2-20>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경험과 진로개발역량 차이 66 <표 3-1> 인천신현고의 고교학점제 진로·학업계획 관련교사 간 역할 74 <표 3-2> 대정고의 고교학점제 진로·학업계획 관련교사 간 역할분장 81 <표 3-3> 금오공고의 고교학점제 진로·학업계획 관련교사 간 역할 89 <표 3-4> 금오공고의 학업계획서(StudyPlan) 작성 내용 92 <표 3-5> 삼일상고의 고교학점제 진로·학업계획 관련 교사 간 역할 99 <표 3-6> 국내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진로교육 체제 사례종합분석표 105 <표 3-7> 컴퓨터 공학 및 정보 기술 관련 과목 목록 109 <표 3-8> 웨스트 고등학교 학교 상담가 업무 분장 115 <표 3-9> 퀸즐랜드주 코스별 개요 122 <표 3-10> 런콘 주립 고등학교 학생 과목 선택지도 안내문 126 <표 3-11> 탐페레 기술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 134 <표 4-1> 교사가 인식하는 희망 교과 선택의 어려움을 겪는 신입생의 평균 비율 144 <표 4-2> 직업계고 학생의 전공 이해와 관련된 교사의 인식 144 <표 4-3> 학생의 고등학교 입학 전 희망 진로목표 유무 145 <표 4-4> 교사의 지도 학생 진로교육 활동 이력 파악 정도 146 <표 4-5> 2019 고교학점제 운영 및 진로·학업계획서 관련 업무 담당교사 148 <표 4-6> 학생 및 학부모의 고교학점제 운영 인식 149 <표 4-7> 진로와 소질·적성에 맞는 교과목 선택 및수강에 대한 인식 150 <표 4-8>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과목 선택의 어려움 151 <표 4-9> 학생이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과목 선택이 어려웠던 이유 151 <표 4-10> 학생이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과목 선택이 쉬웠던 이유 153 <표 4-11> 일반고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 154 <표 4-12>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 154 <표 4-13> 고교학점제 운영에 따른 고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변경 필요성 155 <표 4-14> 고교학점제 운영과 진로교육을 위한 조직 및 협력체계구축 정도 156 <표 4-15>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학업상담 조직의 적절한 구성원 157 <표 4-16>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교사 협업 방안 159 <표 4-17> 진로교육 활동의 주요 운영 시간 161 <표 4-18> 학생의 진로·학업계획서 작성 수월 정도 162 <표 4-19> 고교학점제 운영 인식 정도에 따른 진로·학업계획서작성 수월 정도 차이 163 <표 4-20> 학생의 진로·학업설계에 도움을 준 사람 164 <표 4-21> 고교학점제 운영의 진로 및 학업 수행 효과에 대한학생 인식 165 <표 4-22>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일반고 교사, 학생,학부모 인식 차이 166 <표 4-23>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 학생,학부모 인식 차이 167 <표 4-24>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일반고 교사 집단 간인식 차이 168 <표 4-25>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 집단 간인식 차이 169 <표 4-26>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교육 체제의 한계 및 문제점 171 <표 4-27> 교사가 인식하는 고교학점제 관련 진로교육 보완사항 173 <표 4-28> 교사가 인식하는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중학교 진로교육 보완사항 175 <표 4-29> 학생이 인식하는 진로·학업설계 관련 학교의 우선 지원 사항 177 <표 4-30> 학부모가 인식하는 진로·학업설계 관련 학교의우선 지원 사항 178 <표 4-31>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학업설계 지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항 181 <표 5-1>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현재 모습과바람직한 미래상 208 <표 5-2> 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영역별 개편방향과 정책과제 215 <표 5-3> 고교학점제에서의 교사별 역할 변화 방향 220 <표 5-4> 진로교육 조직 및 인력 개편을 위한 정책 227 <표 5-5> 중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추가(안) 233 <표 5-6> 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추가(안) 234 <표 5-7>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개선(안) 236 <표 5-8> 3개년 진로활동 영역 중점 편성 예시 237 <표 5-9> 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 밖 인적․물적 자원인증제 추진(안) 246 <부표 1>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2019) 277 <부표 2>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2019) 278 <부표 3>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수준(2019) 279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22 [그림 1-2] 학점제 운영 고교의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24 [그림 2-1] 2025년 고교학점제 운영 체계 32 [그림 2-2]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진로·학업상담 절차 35 [그림 2-3] 고교학점제 포털사이트 및 수강신청시스템 39 [그림 2-4]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39 [그림 2-5] 고등학교 진로교육과 고교학점제 학생 진로·학업설계 지도 간의 관계 48 [그림 2-6] 체제 접근을 활용한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델 52 [그림 2-7] IPO 모델 53 [그림 2-8] 학점제 운영 고교의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54 [그림 3-1] 인천신현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73 [그림 3-2] 인천신현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78 [그림 3-3] 대정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80 [그림 3-4] 대정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85 [그림 3-5] 금오공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88 [그림 3-6] 금오공고 진로·학업계획서 작성 지도 흐름도 91 [그림 3-7] 금오공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95 [그림 3-8] 삼일상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97 [그림 3-9] 삼일상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104 [그림 3-10] 컴퓨터 공학 및 정보 기술 관련 학습경로 110 [그림 3-11] 호주 퀸즐랜드주 고교 졸업 학점 취득요강(QCE eligibility) 121 [그림 3-12] 런콘 주립 고등학교 학생 진로경로 안내도 125 [그림 3-13] 핀란드의 학습자 지원 체계 129 [그림 5-1]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안) 20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안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