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의 전문직 직업연구
Research on Profession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저자
- 장주희 방혜진 이윤진 이진솔 한상근 이승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0-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12.27
- 등록일
- 2021.02.19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의 정의와 연구의 범위 18 제2장 선행연구_21 제1절 인공지능과 직업 변화 23 제2절 전문직의 미래 전망 32 제3절 조사 대상 직업의 인공지능 도입에 관한 선행연구 41 제3장 인공지능 도입과 직무 변화_67 제1절 인공지능 도입과 의사 직무의 변화 69 제2절 인공지능 도입과 자산운용가 직무의 변화 80 제3절 인공지능 도입과 기자 직무의 변화 90 제4절 소결 102 제4장 인공지능 도입과 교육훈련_107 제1절 인공지능 도입과 의사의 교육훈련 109 제2절 인공지능 도입과 자산운용가의 교육훈련 120 제3절 인공지능 도입과 기자의 교육훈련 129 제4절 소결 143 제5장 인공지능과의 협업과 전문직의 전망_149 제1절 의사와 인공지능의 협업과 향후 전망 151 제2절 자산운용가와 인공지능의 협업과 향후 전망 166 제3절 기자와 인공지능의 협업과 향후 전망 177 제4절 소결 192 제6장 인공지능 정책 현황과 과제_197 제1절 인공지능 정책 동향 199 제2절 정책과제 211 SUMMARY_235 참고문헌_237 부 록_255 1. 직무조사를 위한 조사지(기자) 257 2. FGI 질문지(자산운용가) 265 3. 델파이 조사 질문지(의사) 269 4. 델파이 조사 결과 요약 280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이 우리나라 산업에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사례를 전문직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인공지능이 직업세계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직 중에서도 인공지능이 선도적으로 도입된 직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범위 및 주요 연구 대상 직업의 선정 근거에 관하여는 제1장 3절에서 밝혔음.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의 도입이 의사, 자산운용가(펀드매니저), 기자의 일자리와 직무에 미친 영향,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가능성, 향후 전문직의 전망 등의 연구를 현장 중심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의 변화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그동안 축적된 직업정보, 통계자료를 활용한 연구였으며, 실제 사례를 심층적으로 검토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학부모와 학생들의 선호 직업인 전문직을 둘러싼 직무환경과 기술의 변화가 가져올 전문직의 미래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다루어 봄으로써 국민들의 진로선택과 진로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AI), among many technological advanc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s many jobs in terms of increased automation. It is foreseen that not only manual and/or routine jobs but also professions which require a long period of professional education, certain professional license, and professional work ethics, will be increasingly replaced with or supported by machines. This study focused on changes of professions caused by the use of AI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ases of professions which adopted AI to reveal how AI affects the world of work, foresee the the changes in the professions in the furue, and make suggestions for better preparation for the era of AI through new policies in the field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
<표 1-1> 서면조사지의 구성 9 <표 1-2> 조사 대상 직업별 직무조사 참여자 12 <표 1-3> FGI 질문지의 구성 13 <표 1-4> FGI 참여자의 특성 13 <표 1-5> 심층면담 대상 및 주요 내용 14 <표 1-6> 델파이 조사 참여자의 특성 16 <표 1-7> 인공지능 관련 최근 3년간 뉴스에 많이 언급된 전문직 20 <표 2-1> 인공지능의 수준에 따른 분류 26 <표 2-2> 프레이와 오스본이 제시한 직업의 컴퓨터 대체 가능성 29 <표 2-3> 인간이 기계로 대체될 가능성이 낮은 직업 31 <표 2-4> 전문 의사와 일반 의사의 직업분류 및 정의 41 <표 2-5> 전문 의사와 일반 의사의 주요 업무 43 <표 2-6> 국내 병원의 왓슨 도입 현황 46 <표 2-7> 자산운용가 직업분류 및 정의 48 <표 2-8> 자산운용가의 주요 업무 49 <표 2-9> 자산운용가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의 차이점 52 <표 2-10> 글로벌 온라인 특화 자산관리회사(로보어드바이저)의 유형 54 <표 2-11>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가입자 수 추이(업종별) 55 <표 2-12> 기자 직업분류 및 정의 56 <표 2-13> 신문기자의 직무 및 세부 업무 57 <표 2-14> 로봇 자동화 기사 작성 기술 5단계 61 <표 2-15> 국내외 기사 자동화 작성 사례 62 <표 3-1> 의사의 인공지능 관련 업무 72 <표 3-2> 의사의 인공지능 활용 현황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74 <표 3-3> 의사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향후 전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77 <표 3-4> 향후 인공지능 도입이 필요한 의사의 업무 78 <표 3-5> 자산운용가의 인공지능 활용 현황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87 <표 3-6> 인공지능 도입 및 활용 사례 91 <표 3-7> 인공지능 도입 현황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95 <표 3-8> 인공지능 도입과 직무 변화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2 <표 4-1> 인공지능 활용에 따라 의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술기, 태도의 변화(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2 <표 4-2>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의사 임용 관련 변화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4 <표 4-3> 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의사의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8 <표 4-4> 인공지능 활용에 따라 자산운용가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변화(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4 <표 4-5>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자산운용가 채용 관련 변화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6 <표 4-6> 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자산운용가의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9 <표 4-7> 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기자의 지식, 기술, 태도 변화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34 <표 4-8> 인공지능 도입 후 기자 채용 시 고려하는 능력 및 자격 변화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37 <표 4-9> 인공지능 도입 이후 기자의 교육훈련 방향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43 <표 5-1> 인공지능 도입 이후 의사의 전망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5 <표 5-2> 의사의 일 중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비율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6 <표 5-3> 의료 분야 인공지능 전망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8 <표 5-4> 자산운용가의 일 중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비율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8 <표 5-5> 인공지능 도입 이후 자산운용가의 전망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71 <표 5-6> 기자의 일 중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비율에 대한 인식(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78 <표 5-7> 인공지능 도입 전망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0 <표 5-8> 인공지능 도입 이후 전문직으로서 기자의 전망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3 <표 5-9> 기자와 인공지능의 관계 전망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6 <표 5-10> 인공지능 도입이 언론산업과 기자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인식(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9 <표 6-1> 「인공지능 국가전략」에서 제시한 전략 및 실행과제 200 <표 6-2> 직무 및 일자리 변화 관련 「인공지능 국가전략」의 추진과제 주요 내용 203 <표 6-3>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인공지능 관련 과제 205 <표 6-4> 「전국민 인공지능・소프트웨어교육 확산 방안」의 중점 추진과제 207 <표 6-5> 인공지능 시대 교육정책의 3대 방향 210 <표 6-6> 보건・의료 분야 공공 빅데이터 현황 215 <표 6-7> 진로체험 유형별 참여 현황 233 <표 6-8> 인공지능 관련 진로체험의 주요 활동 233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7 [그림 2-1] 인간과 기계의 노동시간 비율 변화(2018~2022년) 27 [그림 2-2] 전문적인 영역에 진출하는 인공지능 38 [그림 2-3] 로보어드바이저의 서비스 절차 52 [그림 2-4] 국내 첫 머신러닝 AI 날씨 기사 64 [그림 3-1] 자산운용가의 업무에 인공지능이 활용되는 영역 86 [그림 3-2] 분기별 실적 기사 작성 Y사 사례: 인공지능 활용 전후 직무 변화(직무조사 결과) 97 [그림 3-3] 로또 당첨 기사 작성 Y사 사례: 인공지능 활용 전후 직무 변화(직무조사 결과) 98 [그림 6-1] 인공지능 시대의 전문직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212 [그림 6-2]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송갑석 의원 등 15인)」에서 공공데이터의 형식을 규정하는 조문 21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공지능 시대의 전문직 직업연구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