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직업교육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 연구(2020)

A Study on a Paradigm Shift Regarding Managing Teachers of New Industri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20)
저자
안재영 김대영 김종욱 임해경 이미란 김한성
분류정보
기본연구(2020-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2.27
등록일
2021.02.2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8
제3절 연구의 범위	21
제2장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정책과 산업 및 직업교육훈련기관 현황_27
제1절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정책	29
제2절 신산업분야 주요 산업 현황	40
제3절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주요 현황	55
제3장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요구와 변화_65
제1절 미래 직업교육훈련 변화에 대한 고찰	67
제2절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요구 및 변화에 대한 인식	80
제3절 소결	95
제4장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에 대한 요구와 변화_101
제1절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영역의 탐색	103
제2절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특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110
제3절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의 이슈와 요구	144
제4절 소결	171
제5장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_175
제1절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과 개편 방향	177
제2절 결론 및 제언	194
SUMMARY_213
참고문헌_220
부 록_231
[부록 1] 교원운영 영역별 개편 방향, 세부 방안, 고려사항 및 선결과제	233
[부록 2] 델파이 조사지(1~3차)	236
[부록 3] 설문조사지	274
[부록 4]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281
연구내용
○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정책과 산업 및 직업교육훈련기관 현황 분석
○ 신산업분야 관련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요구 및 변화 분석
○ 신산업분야 관련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에 대한 요구 및 변화 분석
○ 신산업분야 관련 직업교육훈련 교원운영의 패러다임과 교원운영 영역별 개편 방향 제시
Drastic changes in industries, economies, societies, education, etc. are expected to come about as a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is also enforcing policies to revitalize new industries as well as to foster diverse human resources. In order for these policies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chang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effected, especially in the management of teach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and issue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new industries that have come about as a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y doing so, present a paradigm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eacher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s well as a direction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 management by each area.
...
<표 1-1> 전문가 면담 및 검토 개요	9
<표 1-2> 교원 FGI 개요	10
<표 1-3> 교원 FGI 질문 내용	11
<표 1-4> 델파이 위원	13
<표 1-5> 델파이 조사 절차	15
<표 1-6> 델파이 전문가 패널 수에 따른 CVR의 최솟값(p=.05)	15
<표 1-7> 조사 도구의 구성	19
<표 1-8> 설문조사 응답자 수	20
<표 1-9> 신산업분야 DNA(Data, Network, AI) 선정에 대한 전문가 검토 의견(전문가 검토 1차)	22
<표 2-1> 주요 부처의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정책(2018~2020년)	36
<표 2-2> 빅데이터 관련 인력 현황	46
<표 2-3> 5G 관련 분야별 기술 수준	48
<표 2-4> 5G 관련 내수 및 수출 시장 규모	49
<표 2-5> Network 분야를 포함한 신SW 사업의 분야별・학력별 인력	51
<표 2-6> AI 관련 국내외 시장 규모	52
<표 2-7> AI 관련 세계 주요국 시장 규모 비교	52
<표 2-8> AI 관련 전문인력 현황	54
<표 2-9> AI 관련 전문인력 수요 전망	54
<표 2-10> 신산업분야 관련 학과 및 훈련과정 개설 현황	56
<표 2-11> 직업계고 신산업분야 관련 학과 개설 현황	56
<표 2-12> 전문대학 및 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관련 학과 개설 현황	57
<표 2-13> 직업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관련 훈련과정 개설 현황	59
<표 2-14> 신산업분야 관련 교육과정 편성 현황	60
<표 3-1> 미래사회 요구 역량 비교표	68
<표 3-2> 미래 학교 교육의 세 갈래	75
<표 3-3> 직업교육훈련 요구 변화 종합	79
<표 3-4>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유형적 특성	85
<표 3-5>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변화’에 대한 동의 정도	91
<표 3-6>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변화’에 대한 동의 정도(교원 집단별)	92
<표 3-7>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요소’에 대한 어려움 정도	93
<표 3-8>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요소’에 대한 어려움 정도(교원 집단별)	94
<표 3-9>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변화	98
<표 4-1> 교원운영 영역에 대한 탐색	107
<표 4-2>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 자격기준(중등학교, 정교사)	111
<표 4-3>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자격증 표시과목	112
<표 4-4> 교원자격 무시험검정 합격 요건(2016학년도 이후 입학자)	114
<표 4-5> 직업계고 담당 교과목별 교원 수(2019년)	115
<표 4-6> 전문대학 교원의 자격기준	119
<표 4-7> 폴리텍대학 교원의 자격기준	120
<표 4-8>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시행령」에 따른 기능대학의 교원 자격기준	120
<표 4-9> 전문대학 교원 신규채용 절차	122
<표 4-10> 전문대학 교원 수	123
<표 4-11> 2019년 최종학위 전공 분야별 교원 현황	123
<표 4-12> 전문대학 교원 대상 직무연수 과정 운영 현황	124
<표 4-13>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기준	128
<표 4-14>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훈련과정별 훈련시설・입학자격 등에 관한 기준	130
<표 4-15>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등의 보수교육 의무화 관련 법령	132
<표 4-16> 현행 교원 평가와 미래형 평가 방안 비교	141
<표 4-17> 교원 FGI 결과(직업계고 교원)	151
<표 4-18> 교원 FGI 결과(전문대학/폴리텍대학 교원)	157
<표 4-19> 교원 FGI 결과(직업훈련기관 교원)	164
<표 4-20>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담당 교원 역량’의 중요도, 능력정도, 교육요구도	166
<표 4-21>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담당 교원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교원 집단별)	167
<표 4-22>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문제점’에 대한 심각성	169
<표 4-23>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문제점’에 대한 심각성(교원 집단별)	170
<표 4-24>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특성의 비교	173
<표 5-1>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초안)	178
<표 5-2>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주요 의견 및 수정 결과(델파이 1차)	178
<표 5-3>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타당도 분석 결과(델파이 2차)	180
<표 5-4>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동의 정도	181
<표 5-5>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동의 정도(교원 집단별)	181
<표 5-6>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의 영역별 개편 방향’에 대한 의견 및 수정 결과(델파이 1차)	182
<표 5-7>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의 영역별 개편 방향과 세부 방안(델파이 1차 결과 반영)	184
<표 5-8>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의 영역별 개편 방향’에 대한 타당도 분석 결과(델파이 2차)	185
<표 5-9>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의 영역별 개편 방향 및 세부 방안’에 대한 의견 및 수정 결과(델파이 2차)	186
<표 5-10>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의 영역별 개편 방향과 세부 방안(델파이 2차 결과 반영)	188
<표 5-11>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의 영역별 세부 방안’에 대한 타당도 분석 결과(델파이 3차)	190
<표 5-12>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교원 제도 개편 방향’에 대한 동의 정도	192
<표 5-13>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 교원 제도 개편 방향’에 대한 동의 정도(교원 집단별)	193
[그림 1-1] 1~3년 차 연구 프레임	7
[그림 1-2]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설문조사 대상 선정 절차	17
[그림 2-1] 2019년 세계 주요국의 SW 산업 시장 규모 	41
[그림 2-2] 국내 SW 산업 총 종사자 현황	42
[그림 2-3] 2020 IT 트렌드	43
[그림 2-4] 세계 빅데이터 시장 전망	45
[그림 2-5] 국내 빅데이터 관련 필요 인력 추이	47
[그림 2-6] 5G 관련 한국과 세계 시장 전망	48
[그림 2-7] IoT 관련 세계 시장 전망	50
[그림 2-8] AI 기술로드맵	53
[그림 3-1] Topology of Future Skills 	69
[그림 3-2] 미래사회의 3대 역량과 11대 세부 역량	71
[그림 3-3] The World Economic Forum Education 4.0 Framework	72
[그림 3-4] Future of the Classroom Emerging Trends	73
[그림 3-5] 미래 학교 모습	76
[그림 3-6] Dashboard of labor market performance for Korea	78
[그림 4-1]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으로의 변화 내용과 교원운영 영역	109
[그림 4-2] 교원연수 운영 주체별 분류	116
[그림 5-1] 연구의 구조	195
[그림 5-2]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	197
[그림 5-3]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과 개편 방향	206
[그림 5-4]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교원운영 영역별 개편 방향	20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직업교육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 연구(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