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온라인 진로상담의 빅데이터 분석

저자
김봄이 정윤경 반가운 김영빈
분류정보
기본연구(2020-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2.27
등록일
2021.03.0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온라인 진로상담진로상담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8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5
제2장 국내 진로상담 체계와 정책 단계별 동향 분석_19
제1절 진로상담의 정의 및 유형	21
제2절 진로상담 체계와 정책 동향	27
제3절 진로교육 정책 단계별 진로상담 분석	42
제4절 소결	50
제3장 해외 진로상담 체계 사례와 정책 동향 분석_53
제1절 ICT 기반의 진로교육 전달방식 사례	55
제2절 학교 진로상담 체계와 지역사회의 연계 사례	61
제3절 진로담당 인력의 상호연계 사례	67
제4절 소결	70
제4장 온라인 진로상담의 빅데이터 분석_73
제1절 분석 대상 및 방법	75
제2절 온라인 진로상담 호소문제 기초 현황 분석	88
제3절 온라인 진로상담 호소문제의 주요 특징과 정책별 변화 분석	106
제4절 소결	124
제5장 결론 및 제언_127
제1절 요약 및 결론	129
제2절 온라인 진로상담의 발전 방안	136
참고문헌_149
...본 연구에서는 그 중요성이 보다 강조되고 있는 온라인 진로상담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 20여 년 동안 축적된 온라인 진로상담의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온라인 진로상담의 접근방식 및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커리어넷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온라인 진로상담의 내담자 상담 내용과 상담자의 응답 내용의 텍스트 정보를 축적하여 왔는데, 이는 현재 약 22만 건에 달한다. 커리어넷의 온라인 진로상담 데이터는 규모뿐만 아니라 내용 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데이터로 청소년에서부터 현재 성인에 이르기까지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은 우리 사회 청소년들의 고민과 갈등이 녹아 있는 대표적 서술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한다면, 기존의 통계수치로는 확인할 수 없는 보다 구체적인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담 내용에 사용된 텍스트를 통해 학생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소하여 나가고 있는지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리어넷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커리어넷 온라인 상담 이용자(내담자)의 상담문제 및 응답 내용의 핵심 키워드와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진로상담의 접근방식은 무엇인지,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안은 어떠한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여 년 동안의 온라인 진로상담 데이터를 진로교육 정책별로 5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커리어넷을 기반으로 축적된 질적 상담 데이터를 내담자의 학교급별?성별?시기별 진로문제 유형과 특징을 탐색하고, 상담자의 응답 내용을 주요 핵심 키워드별로 조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향후 진로교육 정책 및 온라인 진로상담의 기술과 전략 개발에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특히 국가 진로교육 정책이 실질적인 정책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어떠한 진로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학생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소하여 나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다면 이는 향후 진로교육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 1-1> 우리나라 고교 졸업자의 대학진학률 현황	9
<표 1-2> 우리나라 고등교육 이수율	10
<표 1-3> 우리나라와 OECD 청년 고용지표 및 순위(2008~2018)	10
<표 2-1> 진로교육 정책 주요변화 개요	30
<표 2-2> 커리어넷 진로상담의 주요 목표 및 사업 내용	35
<표 2-3> 커리어넷 연도별 회원수 및 진로상담 건수	39
<표 2-4> 진로교육 정책의 진로상담 관련 주요 내용	40
<표 2-5> 한국 진로교육 정책의 시기별 주요 변화 개요	43
<표 3-1> 코로나 19에 대응한 온라인 교육 현황	56
<표 3-2> 해외 국가들이 제공하는 온라인 진로교육 포털사이트	58
<표 3-3> 조지아 주의 진로지도 전달방식	64
<표 4-1> 커리어넷 진로상담 데이터	76
<표 4-2> 최종 분석 데이터	77
<표 4-3> 분석 데이터 항목	78
<표 4-4> 온라인 진로상담 게시글 형태소 분석 결과 예시	80
<표 4-5>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스	87
<표 4-6> 주요 진로교육 정책 단계별 진로상담의 양적 특성	91
<표 4-7> 성별 온라인 진로상담 이용 현황	92
<표 4-8> 학교급별 온라인 진로상담 이용 현황	93
<표 4-9> 상담유형별 온라인 진로상담 이용 현황	94
<표 4-10> 학교급별 온라인 진로상담 주요 키워드 비교	97
<표 4-11> 기타 분류 상담 내용 예시	99
<표 4-12> 성별 온라인 진로상담 주요 키워드 비교	100
<표 4-13> 상담유형별 온라인 진로상담 주요 키워드 비교	103
<표 4-14> 온라인 진로상담 주요 키워드(2000~2019)	107
<표 4-15>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주요 키워드	112
<표 4-16>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하위 주제	123
<표 5-1> 온라인 진로상담의 기술과 전략 개발의 발전 방향	147
[그림 1-1] 2018년 OECD 주요국의 청년 고용률 및 경제활동참가율	11
[그림 1-2] 직무만족률 국제 비교	12
[그림 1-3] 직장 내 스킬활용 국제 비교	13
[그림 2-1] 진로교육 발전 단계	28
[그림 4-1] 분석 데이터 예시	77
[그림 4-2] 텍스트 마이닝 분석 과정	79
[그림 4-3] 빅데이터 분석 과정(research process)	86
[그림 4-4] 커리어넷 진로상담 연도별 상담글 수	89
[그림 4-5] 온라인 진로상담 최종분석 데이터	90
[그림 4-6] 온라인 진로상담 키워드 맵(2000~2019)	109
[그림 4-7]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키워드 맵(2000~2003)	116
[그림 4-8]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키워드 맵(2004~2008)	118
[그림 4-9]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키워드 맵(2009~2011)	119
[그림 4-10]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키워드 맵(2012~2015)	121
[그림 4-11] 정책 단계별 온라인 진로상담 키워드 맵(2016~2019)	12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온라인 진로상담의 빅데이터 분석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