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성화고 학생의 미래 경쟁력을 위한 보통교과 교육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저자
임언 김지영 유진영 신동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20-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2.27
등록일
2021.03.04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2장
보통교과 관련 담론_9
제1절 직업계고 보통교과의 의미와 선행 연구 결과	11
제2절 교과의 가치와 기능에 대한 다양한 관점	17
제3절 직업교육에서의 인문교육	29
제4절 포스트휴머니즘	35
제5절 소결	48
제3장
직업계고 보통교과 교육에 관한 학생, 교사, 근로자의 인식_57
제1절 학생 및 교사 설문조사 개요	59
제2절 보통교과 교육의 목적과 실태에 관한 학생 인식	64
제3절 직업계고 보통교과 교육에 관한 교사 인식	80
제4절 근로자의 일반역량 중요성 인식	101
제5절 소결	115
제4장
직업계고 보통교과 교육 국내외 사례_121
제1절 해외 사례	123
제2절 국내 사례	146
제3절 소결	174
제5장
결론 및 제언_181
제1절 주요 결론	183
제2절 정책 및 후속 연구 제언	193
참고문헌_199
Summary_209
부 록_213
1. 보통교과 인식 조사 설문지(교사용)	215
2. 보통교과 인식 조사 설문지(학생용)	223
3. 근로자 역량 관련 인식 조사(근로자용)	229
4. 부표	23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보통교과 교육을 둘러싼 이슈들을 검토하고 보통교과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이 경쟁력을 갖추는데 도움이 되도록 고교 직업교육이 내실화되기 위해서는 보통교과가 얼마나 강조되어야 하며,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가를 모색하는 데 있다.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re is a wide gap between schools, and even within a single school, students vary greatly in terms of basic academic ability and career goals. There are not a few students who want to change their career goals because they lack basic academic ability or their majors do not match. However, there is little support for th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General subjects such as Korean,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etc., which can help strengthen students' basic competencies and broaden their career options, are considered insignificant subjec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ssues and current status related to general subjec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general subjects should be operated to enhance future competitiveness of students.
...
<표 2-1> 학교에서의 ‘보통교과’ 용어 사용 빈도	14
<표 2-2> 직업계고 보통교과 운영 시나리오	16
<표 2-3> 상황 의존적 지식과 상황 독립적인 지식	25
<표 3-1> 학생 및 교사 인식 조사의 주요 설문 내용	59
<표 3-2> 표본 규모: 표본 학교 수 및 학교당 표본 수	61
<표 3-3> 특성화고등학교 표본 배분	61
<표 3-4> 마이스터고등학교 표본 배분	62
<표 3-5> 학교 유형별 응답자 현황	63
<표 3-6> 학생 응답자 특성별 분포	64
<표 3-7> 보통교과를 배울 필요성	65
<표 3-8> 보통교과를 배우는 이유	67
<표 3-9> 보통교과 학습이 어려운 정도	68
<표 3-10> 중학교 때와 비교해서 시험문제의 어려움 정도	70
<표 3-11> 기초학력 수준	72
<표 3-12> 기초학력 보충 수업 참여 의향	74
<표 3-13> 희망하는 기초학력 보충 수업 형태	75
<표 3-14> 고교 졸업 직후 진로계획	76
<표 3-15> 취업 후 대학진학 계획	77
<표 3-16> 전공 관련 학과 진학 의향	78
<표 3-17> 졸업 후 현재 전공 관련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 의향	78
<표 3-18> 교사 응답자 성별 영역별 분포	80
<표 3-19> 교사 응답자 특성별 분포: 연령, 최종학력, 학교 설립유형	81
<표 3-20> 교사의 응답자 특성: 교직경력, 직업계고 재직기간	82
<표 3-21> 이상적인 고교 직업교육 방향 교사 인식	83
<표 3-22> 고교 직업교육 목적의 중요도 교사 인식	85
<표 3-23> 고교 직업교육에서 보통교과 교육이 필요한 이유	88
<표 3-24> 고교 직업교육 목표 달성에 보통교과가 필요한 정도	89
<표 3-25> 교수학습의 어려움	91
<표 3-26> 이상적인 전문교과와 보통교과 수업 시수 비율	93
<표 3-27> 수업하는 학생 중 기초학력 부족 학생 비율	94
<표 3-28> 진학 지도와 수능 준비 지원 필요성	95
<표 3-29> 직업계고 보통교과 교사 근무 환경 차이에 대한 인식	96
<표 3-30> 직업계고 보통교과 교사의 특징	98
<표 3-31> 보통교과 용어 변경 필요성	100
<표 3-32> 보통교과 용어에 대한 적절한 대체 용어	100
<표 3-33> 응답자 특성	102
<표 3-34> 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수준 또는 직업자격(복수응답)	103
<표 3-35> 직업에서 중요한 능력과 태도	104
<표 3-36> 인성의 중요성	105
<표 3-37> 책임감과 끈기의 중요성에 대한 직종 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106
<표 3-38> 지적능력 및 학습태도의 중요성	107
<표 3-39>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	108
<표 3-40> 시민의식 및 유연성의 중요성	111
<표 3-41> 자기관리의 중요성	112
<표 4-1> 부르크도르프 직업학교의 전공영역 및 세부 전공영역	129
<표 4-2> 캐나다 온타리오주 중등교육 필수교과별 학점	141
<표 4-3> 사례 학교 기본 정보	147
<표 4-4> 교육과정 편성 통계(2018년 입학생 기준)	150
<표 4-5> 실용국어, 실용영어, 실용수학 편성 현황(2018년 입학생 기준)	152
<표 4-6> 수학 교과 시간 배당 및 수행평가 비율	153
<표 4-7> 수학 교육과정 편성 현황	155
<표 4-8> 충청남도교육청 2020 직업교육 사업 목록	159
<표 5-1> 특성화 보통교과 교육 개선 방안	194
[그림 3-1] 보통교과를 배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 비율	66
[그림 3-2] 보통교과를 배우는 이유별 중요성	68
[그림 3-3] 보통교과 학습의 어려움 정도	69
[그림 3-4] 중학교와 비교한 시험 난이도 학생 인식(특성화고)	71
[그림 3-5] 중학교와 비교한 시험 난이도 학생 인식(마이스터고)	72
[그림 3-6] 과목별 기초학력 부족 학생 인식	73
[그림 3-7] 졸업 후 전공 분야에서 일하고 싶지 않은 학생 비율	79
[그림 3-8] 이상적인 고교 직업교육 방향 교사인식 학교유형별, 전공별 차이	84
[그림 3-9] 고교 직업교육 목적 교사 인식, 학교유형별, 전공별 차이	86
[그림 3-10] 보통교과 교사의 특징_학교유형별 전공별 차이	98
[그림 3-11] 인성의 중요성	106
[그림 3-12] 지적능력 및 학습태도의 중요성	108
[그림 3-13]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	109
[그림 3-14] 시민의식 및 유연성의 중요성	112
[그림 3-15] 자기관리의 중요성	113
[그림 3-16] 직업생활에 요구되는 일반적 역량 및 직무전문성 필요(중요) 비율	114 
[그림 5-1] 보통교과 현황에 작용하는 정책, 학생, 교사 요인 및 대응 방안	192
[그림 5-2] 고교 직업교육과 보통교과 교육 개선 방안	19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특성화고 학생의 미래 경쟁력을 위한 보통교과 교육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