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및 일터혁신과 숙련개발: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n Automation, Workplace Innovation, and Skill development
- 저자
- 김미란 최영섭 유진영 박라인 노용진 권현지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0-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12.27
- 등록일
- 2021.03.1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3 제2절 연구 방법과 사례연구 틀 7 제2장 자동화기술과 일터혁신에 관한 이론적 논의_15 제1절 들어가는 말 17 제2절 자동화의 기술적 특성과 요구되는 과업들 19 제3절 자동화기술 근로자들의 숙련요건과 그 영향요인 25 제4절 자동화기술과 일터혁신 32 제3장 협동로봇 활용에 대한 이론적 논의_35 제1절 협동로봇의 특징과 산업적 전망 37 제2절 협동로봇의 가능성이 제기하는 이론적 문제 41 제3절 작업장 내 인간-로봇의 협동 증진:‘사회기술체계론’의 접근 55 제4장 기술·일터혁신과 숙련개발의 주요 현황_63 제1절 기술혁신과 자동화기술의 활용 현황 66 제2절 일터혁신 현황과 과제 73 제3절 숙련개발에 대한 투자와 기술적 다능공 현황 77 제5장 단조공정의 자동화기술과 일터혁신 사례연구_85 제1절 들어가는 말 87 제2절 기업의 일반 현황 89 제3절 단조공정의 기술적 특성과 작업조직 현황 92 제4절 숙련개발과 인적자원관리 105 제5절 소결 112 제6장 금형공정의 제조기술과 숙련개발 사례연구_119 제1절 들어가는 말 121 제2절 세일금형 123 제3절 I-메탈 142 제4절 소결 161 제7장 협동로봇 도입 사례연구: 일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_167 제1절 사례연구의 주안점 169 제2절 수제화 제작 공방의 협동로봇 활용 사례 170 제3절 부품 제조·가공에서 협동로봇 도입·적용 사례: 신S사 177 제4절 소결 189 제8장 결론_195 제1절 요약 및 논의 197 제2절 직업교육과 훈련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218 SUMMARY_223 참고문헌_227 부록_237
통상적으로 제조업에서의 생산과정은 제조·생산공정, 관련 기술의 특징, 작업방식(또는 작업조직)의 성격 등으로 구성된다. 자동화나 새로운 기술도입 과정에서 생산방식이 변화할 때 직무구성과 숙련사용, 나아가 숙련개발이 어떻게 달라지고, 기술이나 생산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자동화로 대표되는 신기술이 도입될 때 생산과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영과 작업현장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혁신활동과 숙련개발의 상호작용 과정을 깊숙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술변화로 생산방식과 직무요건이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제조업(특히 중소기업)의 숙련개발이 이런 변화에 적절히 조응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훈련·학습의 필요성이 약해져서인지, 아니면 교육훈련 내용이 이런 변화들과 충분히 연계되지 않아서인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how automation technology interacts with workplace innovation and skill development at the workplace level in machine parts manufacturer. Based on the study, we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for skill development.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main issu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mation and skill are whether the optimal use of automation technology allows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workers' skills, and if so, what are the conditions. When the automation technology is introduced, the skill typ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kills for operation of automation technology' and 'skills for setting auto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task type. How these two types of skills are developed is how tasks that use those skills are allocated, that is, how to achieve 'functional integration' that gives automation technology operators 'setting tasks' as well. This is the main question of this case study. ...
<표 1-1> 사례조사의 질문과 면담 대상 12 <표 1-2> 사례조사 대상 유형화 14 <표 3-1> 협동로봇의 정의 38 <표 3-2> 세계의 제조용 로봇 및 협동로봇 시장 현황 39 <표 3-3> 작업 특성별 인간 작업자, 협동로봇, 기존 산업로봇의능력과 제약 43 <표 4-1>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현황 67 <표 4-2> 스마트공장 수준 및 내용 72 <표 4-3> 일터혁신지수 구성 74 <표 4-4> 일터혁신지수의 추이 75 <표 4-5> 일터혁신지수에서 ‘인적자원개발, 작업조직’의 지수 추이 75 <표 4-6> 기업의 교육훈련 실시율과 재직자의 교육훈련 참여율 78 <표 4-7> 총 노동비용 중 교육훈련비 비중:규모별, 한국과 EU 평균 79 <표 4-8> 종업원 1인당 훈련시간 추이 79 <표 4-9> 기술적 다능공의 추이: 제조업, 연령계층별 82 <표 5-1> 근속연수별 숙련형성 과정 99 <표 5-2> 프론텍의 공정 및 과업별 인력 구성 내용 104 <표 6-1> 매출액 추이 124 <표 6-2> 샌드위치패널 제품의 유형: 소재에 따름 147 <표 6-3> 금형 제조업체 사례 요약 162 <표 7-1> 협동로봇 지원 공장·공방의 주요 내용 171 <표 8-1> 금형 제조업체 사례 요약 208 <부표 1> 기계산업 분류 238 <부표 2> 공작기계의 정의와 산업적 성격 240 [그림 1-1] 신기술의 영향 경로에서 일터혁신과 숙련개발 5 [그림 1-2] 기업에서 숙련개발의 다양한 배경·맥락 9 [그림 1-3] 기술도입의 영향 과정과 ‘일터혁신과 숙련개발’의 관계 9 [그림 1-4] 사례연구 분석틀: 기술 및 일터혁신 그리고 숙련의 관계 11 [그림 2-1] 5축 CNC 머시닝센터 내부 21 [그림 2-2] 자동화기술의 숙련요건 영향요인 30 [그림 2-3] 분석틀: 기술 및 일터혁신 그리고 숙련의 관계 33 [그림 3-1] 기존 산업용 로봇과 협동로봇의 이용 사례 38 [그림 3-2] 관심 주제 연관어 분석: 일자리 52 [그림 3-3] 인간 작업자와의 코봇 월트의 소통을 위한손짓과 소통 과정 60 [그림 4-1] 제조공장의 시스템과 자동화기술 69 [그림 4-2] 국가별 로봇 밀집도 현황 70 [그림 4-3] 국내 제조업의 업종별 로봇 도입 추이 71 [그림 4-4] 고성과 작업관행을 가진 일자리의 비중: 작업조직 관행에 한정 76 [그림 4-5]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적 추이: 참여인원, 참여사업장 수, 지원금액 81 [그림 4-6] 핵심 연령층에서 기술적 다능공 추이: 제조업 83 [그림 5-1] 생산품: 너트, 공구 90 [그림 5-2] 너트의 생산과정 93 [그림 5-3] 자동화공정 모형도 94 [그림 6-1] 세일금형의 제품 예시 128 [그림 6-2] 금형생산 프로세스 129 [그림 6-3] 제품: 샌드위치패널용 강판 143 [그림 6-4] I-메탈 공장 143 [그림 6-5] 샌드위치패널의 생산과정 개요 146 [그림 6-6] 패널 생산라인의 공정: 언코일러, 롤포밍, V-커팅, 적재이동 148 [그림 7-1] 신S사의 생산품들 177 [그림 7-2] 신S사의 협동로봇 작업 모습 179 [그림 7-3] 인간과 로봇 간 상호작용·협동의 방식 186 [부그림 1] 규모별, 학력별, 전공별 기술적 다능공의 추이 237 [부그림 2] I-메탈의 조직도 238 [부그림 3] 공작기계 구분 23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술 및 일터혁신과 숙련개발: 사례연구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