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과 전략(2020)
Direction and Strateg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in the Future Environment
- 저자
- 유한구 김안국 조희경 주인중 엄미정 차성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0-1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12.27
- 등록일
- 2021.04.0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7 제3절 연구방법 10 제2장 고등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_15 제1절 시대와 수요에 따른 고등교육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 17 제2절 산업혁명에 따른 고등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 25 제3절 고등교육의 변화 양상 36 제3장 미래 환경변화와 한국의 고등교육_43 제1절 우리나라 고등교육 현황 45 제2절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고등교육의 대응 58 제3절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고등교육의 대응 설문 결과 67 제4절 시사점 93 제4장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모형의 변화_97 제1절 역량중심 교육을 통한 변화에 대응 99 제2절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122 제3절 교수 학습 모형의 변화 141 제4절 시사점 163 제5장 평생계속교육 기제로서의 고등교육_169 제1절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대학의 평생계속교육 수요증대 171 제2절 우리나라 대학의 평생계속교육 – 제도 및 현황 182 제3절 우리나라 대학 평생계속교육의 한계 및 문제점 211 제4절 소결: 요약 및 대학평생계속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 217 제6장 결론 및 제언_225 제1절 결론 227 제2절 제언 235 SUMMARY 241 참고문헌 251 부록 265
이 연구에서는 기술진보와 인구구조 변화로 대표되는 미래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인력의 공급 기관인 고등교육의 변화 양상과 이에 대한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의 대처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특히 교육내용과 방법의 혁신과 계속교육 훈련기관으로서의 고등교육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higher education reform according to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To this end, firs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irection of change in higher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it has changed to the elite education stage, the public education stage, and the universal education stage based on the number of higher education beneficiaries. Second, the survey was focused on how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ope with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Third,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future environmental change, especial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earch for the futur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reviewed. Fourth, it analyzed the response pla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the re-educational training arising from the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표 2-1> 고등교육성장 유형에 따른 대학의 기능 변화 22 <표 2-2> 산업혁명 발전단계 26 <표 2-3> 산업혁명 자동화와 연결성의 발전과정 27 <표 2-4> 직업군별 순고용(net employment) 증감(2015~2020년) 30 <표 2-5> 핵심 직무 관련 역량 요구 정도(2020) 32 <표 2-6> 21세기에 필요한 기술(skills) 33 <표 2-7> 2020년에 가장 중요할 10가지 업무 능력 34 <표 2-8> 미국의 연합대학 사례 37 <표 2-9> 마이크로 대학 유형 예시 38 <표 3-1> 보건계열 관련 학과 설치 현황(2015) 50 <표 3-2> 전문대학 학사학위 과정 운영 현황(2019) 50 <표 3-3> 국내 100대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역량 순위 55 <표 3-4> 4차 산업혁명이 강조하는 인재의 특성 55 <표 3-5> 고등교육기관 현황 및 조사대상 59 <표 3-6> 설문의 주요 내용 60 <표 3-7> 기술 진보의 영향과 대응 설문문항 62 <표 3-8> 역량모형과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문항 63 <표 3-9> 교수학습방법의 혁신에 대한 설문문항 65 <표 3-10> 평생계속교육 대비에 대한 설문문항 66 <표 3-11> 고등교육기관 설문조사 응답 결과 67 <표 3-12> 대학 교수 및 학생 설문조사 응답 결과 68 <표 3-13> 기술진보의 영향과 대응 정도 71 <표 3-14> 역량모형 도입 여부(대학) 72 <표 3-15> 역량모형 도입 여부(교수 학생) 73 <표 3-16> 역량모형 도입 수준(대학) 73 <표 3-17> 역량모형 도입 수준(교수 학생) 74 <표 3-18> 학생에 대한 역량 평가 여부 76 <표 3-19> 학생 역량관리시스템 운영 78 <표 3-20> 혁신적 교수학습방법의 도입 79 <표 3-21> 문제중심학습의 도입과 활용 80 <표 3-22> 혼합학습의 도입과 활용 80 <표 3-23> 프로젝트수업의 도입과 활용 81 <표 3-24> 교수학습센터의 설치 81 <표 3-25> 교수학습센터의 혁신적 교수학습방법의 활용 82 <표 3-26> 학습관리시스템의 도입과 활용 83 <표 3-27> 온라인 교육기반 86 <표 3-28>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인식 86 <표 3-29> 공개강좌의 운영과 활용 87 <표 3-30> 평생교육원 설치 및 운영방식 88 <표 3-31> 직장인 대상 평생계속교육 계획 89 <표 4-1> 사회 및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필요 역량 101 <표 4-2> 노스웨스트 미주리 주립대학의 역량 평가 예 111 <표 4-3> 알버노 대학의 수준별 역량(예시) 113 <표 4-4> 시드니 대학교 졸업생의 역량 114 <표 4-5> Mapping the curriculum framework tograduate qualities 115 <표 4-6>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의 일반교육 역량 119 <표 4-7> 대학별 역량중심 교육과정 내용 120 <표 4-8> 시대별 지식생성과 특성 126 <표 4-9> 자유교육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과 역량기반 접근 128 <표 4-10>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관리 체계(안) 130 <표 4-11>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의 역량 132 <표 4-12> 공통역량 – 문제해결력(요구분석 및 솔루션 제안 역량)역량 내용(예시) 133 <표 4-13> 직무세부역량 - 변화관리 역량 내용(예시) 133 <표 4-14> 역량요소별 교과목 적용 매트릭스(예시) 135 <표 4-15> 역량교육 실행 프로그램 개발 내용 140 <표 4-16> 미국심리학회의 학습자중심 원리 143 <표 4-17> 문제중심학습의 진행과정 146 <표 4-18>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과 체험의 사례 159 <표 5-1>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영역과 기술인력 직무 변화 전망 178 <표 5-2> 대학 평생교육 재정지원사업 추진 185 <표 5-3> 대학중심의 후학습 제도 현황 188 <표 5-4> 중소기업 계약학과 개설대학 (2020년 기준) 192 <표 5-5> 평생교육단과대학지원 사업과 대학의평생교육지원사업의 추이 198 <표 5-6> 2018년도 대학의 평생교육지원사업 현황 199 <표 5-7> 주제구분별 프로그램수의 추이 204 <표 5-8> 대학의 고용노동부 직능 사업 참여 유형 205 <표 5-9>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에 참여한 대학별훈련과정수 206 <표 5-10> 대학 참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교육훈련과정 범주 207 <표 5-11> 대학이 참여한 훈련시간별 훈련과정수의 분포 208 <표 5-12> 재직자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대학연계형 훈련 현황(2019년 8월말 기준) 210 <표 5-13> 대학연계형 일학습병행의 훈련종료 수료 및 중도탈락률(2019년 2월 훈련종료과정 기준) 211 [그림 1-1] 우리나라 고등교육 경쟁력 6 [그림 1-2] 연구절차 12 [그림 3-1] 해방이후 학생수 변화추이 46 [그림 3-2] 해방이후 학교급별 취학율 변화 47 [그림 3-3]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학생수 변화 49 [그림 3-4] 2018년 연령별 인구규모 52 [그림 3-5]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53 [그림 3-6] 외국인 유학생 현황 54 [그림 3-7] M대학 인재상 및 핵심역량 57 [그림 3-8] 인적자원 양성의 현재수준과 미래 필요성(학계) 58 [그림 3-9] 역량모형 구성의 고려 요인(5점 만점) 75 [그림 3-10] 역량모형의 교육과정에 대한 적용(5점 만점) 76 [그림 3-11] 학생 역량 평가 방식 77 [그림 3-12] 학습관리시스템의 도입 수준 83 [그림 3-13] ICT 및 스마트 기술의 적용여부와 적용계획 85 [그림 3-14] 정부 지원 없이 평생교육 과정 운영 89 [그림 3-15] 평생교육 및 계속교육 수요에 대한 대응 90 [그림 3-16] 평생교육 수요 대응의 장애요인 91 [그림 3-17] 평생교육 수요 대응을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 92 [그림 3-18] 평생교육 수요 대응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93 [그림 4-1] 혼합형 학습의 영역과 요소 148 [그림 4-2] 프로젝트수업과 문제중심수업의 비교 150 [그림 4-3] 교수자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설계 과정과 학습자의프로젝트 수행과정 152 [그림 4-4] C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방향 154 [그림 4-5]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의 IC-PBL 155 [그림 4-6] Learning-X 학습관리시스템 158 [그림 4-7] 가상현실을 재가방문 간호학 실습 교수학습설계 162 [그림 4-8] 재가방문 시뮬레이션 실행화면 162 [그림 4-9] J대학 정보통신공학과 교육과정 로드맵 167 [그림 5-1] 1991-2016년의 숙련별 일자리 변화와 2025년까지의전망(단위. 천명) 173 [그림 5-2] 증가하는 숙련과 감소하는 숙련.2004년과 2017년의 비교 174 [그림 5-3] 자동화와 관련한 구조적 변화의 Lilien 지수.2005-2015년 181 [그림 5-4] 산업인력양성사업의 지원목적 및 지원방식별추진현황 190 [그림 5-5] 중소기업 계약학과 사업의 구조 192 [그림 5-6] LINC+ 사업의 구조 196 [그림 5-7] 주제구분별 비형식 학습기관 프로그램 수 추세 202 [그림 5-8] 연도별 대학연계형 훈련 실시 신고인원 현황 21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과 전략(2020)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