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시대의 인적자원개발 혁신
National HRD Innovation In The Non-face-to-face era
- 저자
- 김승보 한애리 최영섭 엄미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0-2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1.03.31
- 등록일
- 2021.06.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내용 9 제3절 연구 방법 11 제2장 비대면 시대의 개념과 인적자원개발_13 제1절 코로나19 사태와 비대면의 일상화 15 제2절 비대면화의 흐름과 개념 24 제3절 비대면 시대와 인적자원개발의 과제 33 제3장 초중등 영역에서의 비대면, 경험과 과제_51 제1절 원격교육의 시행과 비대면 교육의 의의 53 제2절 FGI를 통해 본 비대면 교육의 경험 57 제3절 초중등 영역에서의 비대면화 이슈와 쟁점 78 제4절 정책과제 및 소결 91 제4장 고등교육에서의 비대면, 경험과 과제_99 제1절 의의 및 현황 101 제2절 비대면화가 고등교육에 미치는 영향 전망 112 제3절 고등교육 비대면화의 쟁점과 과제 124 제4절 정부 대응의 개선 133 제5장 노동시장에서의 비대면, 경험과 과제_141 제1절 개요 143 제2절 비대면화가 일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 146 제3절 비대면화가 일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172 제4절 소결 및 인적자원정책 시사점 192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안_197 제1절 논의 요약 및 이슈 199 제2절 정책방향 및 과제 205 SUMMARY_225 참고문헌_229 부록_251
...이제, 비대면 시대를 맞이하여 인적자원개발 정책에 있어서도 비대면 시대에 걸맞은 혁신적 내용 및 방향성 모색이 시급하다. 우선, 우리 사회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확산의 범위와 강도, 변화 양상 등을 살펴보고, 비대면 확산으로 인한 변화가 지난 몇 년 동안 우리 사회를 지배해왔던 제4차 산업혁명 담론과는 어떠한 유사점이 있는지 그리고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격적인 비대면화의 확산은 비대면 요소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기대와 우려, 긍정과 부정의 양 측면이 동시에 교차하고 있는 만큼, 비대면의 특성이 현재의 인적자원개발 방식 및 시스템에 대해 미치는 파급과 영향을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화로 인한 일자리 지형의 변화, 재택근무 활성화 여부에 따른 일-생활 영향 및 노동 여건의 변화, AR·VR 등 디지털에 기반한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따른 새로운 학습공간의 확대 및 학습방식의 변화, 선택의 폭이 넓어진 학습 커리큘럼 등과 같은 인적자원개발의 양상 및 인적자원개발 주체들의 구성과 관련한 변화상을 포함한 새로운 인적자원개발 혁신 방향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대면 시대로의 전환에 따른 제도적 법적 규제 및 콘텐츠 현황과 개편 문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공급자의 역할 변화 및 일자리 문제 등도 비대면 시대에 따른 인적자원개발의 주요한 이슈로서 탐색되어야 한다. 한편, 온·오프라인의 심리적 거리 양극화, 디지털 문해력 문제, 협업과 팀워크보다는 개인주의적 탐닉과 대면 기피증 가능성 등 비대면화 확산이 불러올 인적자원개발의 그늘진 부분도 조망하여 해결 방안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The impact of contactless or contact-free generalization brought about by the Corona 19 epidemic situation is not just a “passive non-face-to-face” that emphasizes indirect or round about contact with relationships such as “social distancing.” This is because the situation needs to be looked at as a historical opportunity for “active non-face-to-face” that emphasizes the “connectivity” of human relation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storage media such as printing, telecommunication, and computers. In particular, the current trend of non-face-to-face, combined with the technological found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erving as a new opportunity to accelerate the trend of digital-based ‘new non-face-to-face’. The culture of digital access is replacing the contact-oriented culture, and the concept of digital-based prosumer is encroaching on the consumer-centered system. In addition, one-way globalization flows are changing due to the search and reflection of new digital-based glocalization directions. ...
<표 1-1>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6 <표 1-2>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 요약 11 <표 2-1> 대상 영역별 제한사항(2단계) 16 <표 2-2> 운영제한 대상 다중이용시설의 방역수칙(2.5단계) 22 <표 2-3>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사물인터넷)의 특성 35 <표 2-4> Legatum 번영지수 G7국가 및 한국의 순위(2014~2020) 49 <표 3-1> FGI 대상 및 일시 57 <표 3-2> FGI 질문 내용(학부모용) 58 <표 3-3> FGI 질문 내용(교사용) 59 <표 3-4> FGI결과에 따른 이슈 정리 76 <표 3-5> OECD 주요국 학생 원격교육 준비현황 84 <표 3-6> 협력원격수업 유형(예시) 86 <표 4-1> 고등교육 부문에 대한 투자 현황 국제비교 106 <표 4-2> 전세계 지역별 코로나19가 교육 및 학습에 미친 영향 109 <표 4-3> 코로나19 전 상위20개 대학 온라인 동영상 강의 비중 109 <표 4-4> 국내 대학 및 전문대학의 2020년도 2학기 수업운영 현황 111 <표 4-5> 과실연(2021)이 제시한 비대면화가 가져올 대학의 변화 방향 113 <표 4-6> 2021년도 시행 예정 대학역량진단평가의 일반대학 진단지표 115 <표 4-7> 대학 수업의 시간, 공간과 관련한 규정 및 개정내용(예시) 131 <표 4-8> 코로나19 이후 교육당국의 주요정책 133 <표 4-9> 한국형 뉴딜에서 고등교육 비대면화 관련 사업 135 <표 4-10> 우리나라 교육전산망 추진 경과 138 <표 5-1> 기업규모 및 유형별 재택근무 운영 여부 150 <표 5-2> 유연근무 유형별 현재 활용 연도별 추이 151 <표 5-3> 현재 재택근무 활용 여부에 대한 속성별 한계효과(marginal effects) 152 <표 5-4> 향후 유연근무 유형별 활용 희망 비중 156 <표 5-5> 향후 재택근무 희망 여부에 대한 속성별 한계효과(marginal effects) 157 <표 5-6> 1인당 ICT 투자액 추정 결과 169 <표 5-7> 기업규모별 제조업생산지수(매출액 기준) 전년동기대비 증감율 170 <표 5-8> 비대면화 지원 산업의 구분 174 <표 5-9> ICT 산업의 취업유발효과 분석 178 <표 5-10> 8대 비대면 유망 분야 183 <표 6-1> 비대면 시대 대비 인적자원개발 혁신 어젠다 208 [그림 2-1] GDP 변화 추이(G7국가 및 한국) 19 [그림 2-2] 전달매체 발전과 비대면화 25 [그림 2-3] 저장매체 발전과 비대면화 26 [그림 2-4] 소매액 대비 전자상거래 매출액 및 비중 추이(우리나라) 28 [그림 2-5] 소매액 대비 전자상거래 매출액 및 비중 추이(미국) 28 [그림 2-6] 비대면 시대의 도래와 일과 학습의 변화 36 [그림 2-7] 코로나19 이후 업무방식 변화(감소비율) 46 [그림 3-1] 학교급별 자녀의 원격수업 도움받는 곳 80 [그림 3-2] 국내 이러닝산업 시장규모 89 [그림 4-1] 학습피라미드(the Learning Pyramid) 103 [그림 4-2] 연령별 평생교육 참여율(2007~2019) 105 [그림 4-3] 전공별 전면 온라인 교육이 수행되는 비중 차이 108 [그림 4-4] COVID 기간 미국 대학의 온라인교육 채택 108 [그림 4-5] 거점대학 제공형 모델 사례 118 [그림 4-6] 코로나19에 따른 유학생의 국제적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120 [그림 4-7] 코로나19 시기 유학생들의 대안선택 120 [그림 4-8] 코로나19가 유학(study abroad)계획에 미친 영향 121 [그림 4-9] 연도별 국내 유학생 수 추이 123 [그림 4-10] 애프터 코로나 대응 관련 대학에 가장 필요한 것 126 [그림 4-11] 코로나19 속 2학기 맞는 대학 총장들 설문 결과 128 [그림 5-1] 유럽국가의 근로자 속성별 재택근무 가능 취업자 비중 (%) 155 [그림 5-2] 유럽 은행의 코로나19 이후 1주일 중 재택근무 비중 예상 (%) 159 [그림 5-3] 국가별 재택근무 친화성 비교 결과 160 [그림 5-4] WFH amenability index across countries. 161 [그림 5-5] 매출액 대비 ICT 투자 비중 10% 이상 기업 비중 168 [그림 5-6] 매출액 대비 ICT 투자 비중 (평균) 168 [그림 5-7] 국내·외 로봇시장 매출액 현황 17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비대면 시대의 인적자원개발 혁신 | 2020.05.01~2021.03.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