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 및 체험의 노동시장 성과
Labor market outcomes of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 저자
- 유한구 박화춘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26) , 이슈페이퍼(2021-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09.30
- 등록일
- 2021.12.03
주제어
노동시장 성과, 진로야망, 진로교육, 진로체험, 자아개념
Ⅰ.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Ⅱ. 연구 대상 및 결과 4 Ⅲ. 정책 제언 18 Ⅳ. 기대효과 22 참고문헌 24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OECD는 청소년기의 진로교육과 진로 및 직업체험이 NEET, 소득, 역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진로준비도(Career Readiness)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학교교육에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 자료를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자아개념의 효과를 함께 검증하여, 코로나 패데믹 상황에서 교육격차를 줄이는 방안으로 진로교육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소년기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좋은 직업에 대한 기대와 거기에 맞는 교육 기대는 성인기의 노동시장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성별 격차와 사회경제적 배경의 격차를 줄이는데 진로야망은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팬데믹 상황에서 학력 격차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방안으로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과 진로 야망을 키원줄 수 있는 진로 설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진로 개발 모형의 수립과 추진을 제안한다.
In the context of the corona pandemic, the OECD trie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school education while promoting the Career Readiness project that analyzes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al experiences during adolescence on NEET, income, and competency. In this study, by analyzing Korean data and additionally verifying the effect of self-concep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as a way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in the face of the coronavirus pandemic. ...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단기수시)진로교육 및 체험의 노동시장 성과 | 2021.07.01~2021.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