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진단 및 개선 방안
Developing and Measuring Innovation Capability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 저자
- 김종우 변숙영 김남희 최수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10.31
- 등록일
- 2022.01.07
주제어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혁신역량 진단 도구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2장 특성화고등학교 운영실태 및 미래환경 변화 분석_11 제1절 특성화고 운영실태 분석 13 제2절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영향실태 분석 36 제3장 특성화고등학교 지원 제도 분석_75 제1절 관련 법령 분석 77 제2절 지원 정책 분석 85 제4장 혁신역량 개념 및 진단도구 적용 사례_115 제1절 혁신역량에 대한 개념 분석 117 제2절 국내 혁신역량 진단 사례 125 제3절 국외 혁신역량 진단 사례 136 제4절 혁신역량 진단에 관한 선행연구 160 제5장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진단도구 개발_173 제1절 혁신역량 진단도구 개발방향 175 제2절 혁신역량 진단도구 개발 180 제3절 혁신역량 진단조사 결과 191 제6장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개선 방안_203 제1절 혁신역량 영역별 개선 방안 205 제2절 정책 제언 217 SUMMARY_221 참고문헌_225 부록_239 [부록 1] 혁신역량 진단도구 문항 수정 전후 비교표 241 [부록 2] 혁신역량 진단조사 설문지(교사용) 249 [부록 3] 혁신역량 진단조사(2차) 분석 결과표 258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노동시장 재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정책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에 대해 탐색한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노동시장 환경변화와 특성화고등학교 학령인구 감소 및 정책환경 변화 등에 대해 탐색한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를 둘러싸고 있는 거버넌스를 고려하여 혁신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s under severe pressure from new challenges such as decreasing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changing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reorganiz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departments and curriculum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however, it is unlikely to achieve the goal as it is being promoted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for teachers, students, facilities, equipment, and finance. The measuring of innovation capability means analyzing processes related to innovation activities and examining whether these activities are adequately planned and practiced for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iesa et al, 1996). Innovation is central to deal with environmental change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ntext. Motivated by this gap, we develop an innovation capability framework within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ector.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innovative capabilitie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derive improvements. In this study,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innovation competency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s very limited, we defined innovation competency as the ability to perform innovation itself. In particular, the previous study focused on the result of innovation targeting the private sector. If this perspective is applied as our study, the process aspect of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s may be missed. Therefore, we have an approach that combines the innovation process and activities. ...
<표 2-1> 고교 유형 개편에 따른 중등 직업교육 체제의 변화 14 <표 2-2> 특성화고 학교 수 17 <표 2-3> 특성화고 학교 수 변동 상황 18 <표 2-4> 특성화고 학교 명칭 변동 상황 19 <표 2-5> 특성화고 계열별 학교 현황 19 <표 2-6> 특성화고 학과 수 현황(2011~2019) 20 <표 2-7> 특성화고 17개 교과(군)별 학과 수 현황(2011~2019) 23 <표 2-8> 특성화고 연도별 학생 수 변화 추이(2011~2020) 25 <표 2-9> 특성화고 17개 교과(군)별 학생 수 변화 추이(2011~2015) 26 <표 2-10> 특성화고 17개 교과(군)별 학생 수 변화 추이(2016~2019) 27 <표 2-11> 입학정원 및 입학자 수 28 <표 2-12> 2000~2019 출생아 수 30 <표 2-13> 지역별 특성화고 입학정원과 입학자 및 충원율 31 <표 2-14> 지역별 입학정원과 입학지원자 및 최종 입학자 32 <표 2-15> 졸업생 수 및 졸업 후 상황 34 <표 2-16>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 및 유지취업률 35 <표 2-17> 특성화고 학업중단자 및 학업중단율 36 <표 2-18>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특징 38 <표 2-19> 분야별 2022년 변화된 미래 모습 42 <표 2-20>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 45 <표 2-21> 3+1 전략투자 주요 성과 47 <표 2-22>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 주요 성과 48 <표 2-23> 혁신인재 양성 강화 정책 49 <표 2-24> 직업별 취업자 전망(대분류) 56 <표 2-25>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직업별 취업자 전망 57 <표 2-26>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구도 전환에 대한 주요 기관별 전망 59 <표 2-2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업세계 변화와 미래 유망직업 62 <표 2-28> 혁신성장 분야별 청년층 핵심직업 및 주요 직무 63 <표 2-29> 30대 글로벌 기업 요구역량 65 <표 2-30> 글로벌 기업이 요구하는 15개 역량과 정의 66 <표 2-31> 미래 시나리오별 8대 혁신성장 분야 미래직업역량 68 <표 2-32> 혁신성장 분야별 미래직업능력 요구도 69 <표 2-33>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디지털 역량 70 <표 3-1> 특성화고(舊 실업계고/전문계고) 관련 정책동향 87 <표 3-2>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주요 내용 90 <표 3-3> 연도별 직업계고 재구조화(중등 직업교육 비중 확대)사업 선정 현황 99 <표 3-4> 도제학교 취업연계 비율 103 <표 3-5> 직업교육 혁신지구 선정 결과 105 <표 3-6> 교육부 특성화고 지원 정책 사업 비교 107 <표 3-7> 정부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지원사업 주요 현황 108 <표 3-8>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 참여 현황 111 <표 3-9> 중소기업 기술사관 육성사업 참여 현황 112 <표 4-1> 혁신의 개념 118 <표 4-2> 혁신역량의 다양한 정의 121 <표 4-3> 조직구성원 개인 단위의 혁신역량 개념 123 <표 4-4> 혁신역량의 구성요소 124 <표 4-5> 기술혁신역량 세부 평가항목 125 <표 4-6> 경영혁신 평가지표 128 <표 4-7> 2021년 일반대학 기본역량 진단지표(안) 131 <표 4-8>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모형(박수정 외, 2018) 132 <표 4-9>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박수정 외, 2018) 133 <표 4-10> 오슬로 매뉴얼(민간영역 혁신역량 진단)의공공부문 적용 139 <표 4-11>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혁신의 차이 143 <표 4-1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혁신 유형의 차이 144 <표 4-13> NESTA의 공공부문 혁신 하위 지표 152 <표 4-14> NESTA의 개방형 혁신준비도 진단도구 156 <표 4-15> 1. 반복(Iteration) 역량의 수준별 세부 지표 163 <표 4-16> 2.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역량의 수준별 세부 지표 164 <표 4-17> 3. 사용자 중심(User centricity) 역량의수준별 세부 지표 165 <표 4-18> 4. 호기심(Curiosity) 역량의 수준별 세부 지표 166 <표 4-19> 5.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역량의 수준별 세부 지표 167 <표 4-20> 6. 혁신적 시도(Insurgency) 역량의 수준별 세부 지표 168 <표 4-21> 싱가포르 Innovation Class 세부 항목과 평가요소 171 <표 5-1>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진단 영역(안) 178 <표 5-2> 전문가 집단 검토를 통한 특성화고 혁신역량 진단도구 하위영역 수정 내용 181 <표 5-3>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진단도구 186 <표 5-4> 전문가 집단 진단조사(1차) 결과: 각 항목별 중요도-수행도 분석 193 <표 5-5> 전문가 집단 진단조사(1차)에서 중요도가 높은 5개 영역 196 <표 5-6> 전문가 집단 진단조사(1차)에서 중요도-수행도 차이가 큰 5개 영역 196 <표 5-7> 직업계고 교사 진단조사(2차) 결과: 중요도가 높은 5개 영역 201 <표 5-8> 직업계고 교사 진단조사(2차) 결과 중요도-수행도 차이가 큰 5개 영역 202 <표 6-1>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개선을 위한 주요 과제 및 추진 주체 216 [그림 2-1] 특성화고 학교 수 변화 추이 17 [그림 2-2] 주요 교과(군)별 학과 수 변동 추이 21 [그림 2-3] 특성화고 학생 변화 추이 24 [그림 2-4] 2000~2019 출생아 수와 특성화고 입학자 현황 29 [그림 2-5] 산업혁명 비교 37 [그림 2-6] 4차 산업혁명과 파급 효과 40 [그림 2-7] 수요자 중심 산업 간 연결․융합(예시) 41 [그림 2-8]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46 [그림 2-9] 2021년 교육부 정책 추진 방향 52 [그림 2-10] 2018~2028년간 산업별 취업자 증감 전망 53 [그림 2-11] 2018~2028년간 제조업종(중분류) 취업자 증가 전망 54 [그림 2-12] 취업자 중기 및 감소 상위 10대 산업 55 [그림 2-13] 2018~2035년 기준전망 및 기준전망 대비 혁신전망의 취업자 변화 58 [그림 2-14]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직업의 기술대체 가능성 유형 61 [그림 3-1]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2019. 1.) 주요 과제 94 [그림 3-2]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 추가・보완과제 96 [그림 3-3]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 4개 유형 101 [그림 3-4] 직업교육 혁신지구사업 모델 104 [그림 3-5] 직업교육 혁신지구 운영사례: 인천광역시 105 [그림 4-1] OECD(2018)의 공공혁신 진단 모델 140 [그림 4-2] 코펜하겐 매뉴얼(2021)의 공공부문 혁신 진단도구 틀 145 [그림 4-3] NESTA(2011)의 공공부문 조직 혁신 프레임워크 147 [그림 4-4] NESTA(2011)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세부 내용 148 [그림 4-5] NESTA(2011)의 ‘혁신행동’의 세부 내용 149 [그림 4-6] NESTA(2011)의 ‘혁신역량’의 세부 내용 150 [그림 4-7] NESTA(2011)의 ‘혁신 관련 맥락적 조건’의 세부 내용 151 [그림 4-8] NESTA(2011)의 공공부문 혁신지표 점수표(예시) 154 [그림 4-9] NESTA의 혁신준비성 도구 프레임워크 155 [그림 4-10] OECD(2017)의 6가지 핵심 혁신 스킬 162 [그림 4-11] 싱가포르 우수기업 인증제도 및 보상제도 개요 170 [그림 5-1] 혁신전략 영역 중요도-수행도 차이 197 [그림 5-2] 혁신활동 영역 중요도-수행도 차이 197 [그림 5-3] 혁신기반 영역 중요도-수행도 차이 198 [그림 5-4] 혁신지원 영역 중요도-수행도 차이 198 [그림 5-5]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진단 예비조사 IPA 결과 20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혁신역량 진단 및 개선 방안 | 2021.01.01~202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