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미래 환경 변화에의 대응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Measures for the Substantiality of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Respond to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저자
최동선 김남희 류지은 이상훈 임언 안현용 임정훈
분류정보
기본연구(2021-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0.31
등록일
2022.01.07
주제어
평생직업교육, 직업교육훈련, 고등교육기관, 성인학습자, 역량개발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7
제2장  미래 환경 변화와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_17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의미 탐색	19
제2절 미래 환경 변화와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필요성	43
제3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체제_75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변천 과정	77
제2절 현재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전달체계	104
제3절 주요 국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동향	13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64
제4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분석_171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에의 인식 조사 분석	173
제2절 성인(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분석	193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44
제5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내실화 방안_251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위상 제고	253
제2절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	261
제3절 지역사회 및 산업계와의 연계 기반 구축	265
Summary_271
참고문헌_281
부록_305
<부록 1> 설문조사지	307
...요약하면, 평생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 특히 직업능력향상교육 또는 직업?진로 및 경력개발을 위한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에 고등교육기관이 적극 대응해야 하는 환경에 놓여 있으며, 이에 다양한 정규/비정규 과정, 특히 노동시장 및 직업세계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성인학습자의 직업?진로?경력개발을 위한 평생직업교육에 대한 고등교육기관의 역할과 기능은 중요한 영역의 하나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관련 정부 재정지원 사업 또는 선취업-후진학 등의 특정 정책에 국한된 최근의 논의를 확장하여 고등교육, 평생교육, 직업교육의 융합/연계를 위한 방안 모색도 요구되는 것이다. 아울러 비단 현재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개선하는 데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전개될 다양한 환경 변화에 고등교육기관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직업교육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직업교육 실태의 분석과 수요 조사 등을 토대로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t al., further emphasize the realization of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 Above all, the meaning of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becoming important not only to expand knowledge creation based on the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of universities but also to actively respond to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sures of substantiality to cope with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based on analysis and demand survey of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 a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methods as follows: (1) literature analysis, (2) a survey of 1,500 incumbent (adult learners) aged 25 to 55, (3) an FGI for 15 adult learners, (4) an FGI for 12 university officials and 3 industry officials, and (5) an expert and research team council. ...
<표 1-1> 조사 표본 설계안	9
<표 1-2> 설문조사 내용	10
<표 1-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1
<표 1-4> 성인 재직자 초점집단면접(FGI) 참여 대상자	13
<표 1-5> 성인 재직자 대상 초점집단면접(FGI) 조사내용	13
<표 1-6> 대학 및 산업계 관계자 초점집단면접(FGI) 참여 대상자	15
<표 1-7> 대학 및 산업체 관계자 대상 FGI 조사내용 개요	16
<표 2-1> 직업교육의 광의/협의의 개념 구분	20
<표 2-2> 연도별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적 및 예산	31
<표 2-3> 직업훈련 참여기관별 유형	33
<표 2-4> 고등교육기관의 직업능력개발 사업 참여 현황	34
<표 2-5> 연도별 주요 트렌드 변화	44
<표 2-6> 일자리의 미래 – 새롭게 출현하는 일자리	52
<표 2-7> 산업분야별 신기술 채택률	53
<표 2-8> 일자리 대체율 상위・하위 10대 직업	54
<표 2-9> 신기술 채택의 장애요인	56
<표 2-10> 인구감소로 인한 우리 사회 위험 요인 전망	62
<표 2-11> 대학과 전문대학의 계열별 학과 수 및 입학정원	66
<표 2-12> 디지털 전환에 따른 고등교육기관의 새로운 시나리오	67
<표 2-13>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변화	72
<표 2-14> 우리나라 성인(만25세 이상 ~ 64세 미만)의 고등교육 이수율 변화	73
<표 3-1> 태동기에 도입된 평생직업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81
<표 3-2> 확대기에 도입된 평생직업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전형 및 과정	85
<표 3-3> 확대기에 도입된 평생직업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87
<표 3-4> 최근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활성화 방안(2020-2021)	102
<표 3-5> 대학 중심의 후학습 경로 현황	111
<표 3-6> 재직자특별전형 운영 현황	115
<표 3-7> 전공심화 과정 운영 규모 추이	115
<표 3-8> 최근 5년간 학점은행제 등록 학습자 수	119
<표 3-9> 최근 5년간 독학학위제 과정별 시험 실시 현황	120
<표 3-10>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126
<표 3-11>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참여 대학 현황(2020년 기준)	128
<표 3-12>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대학, 학과 인원 등 세부 현황	130
<표 3-13>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학사 유연화 현황	130
<표 3-14>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2021학년도 신입생 구성 현황	131
<표 3-15> 후진학 선도형 사업의 주요 추진 내용	133
<표 3-16> 후진학선도형 사업 권역별, 연도별 사업 참여 대학	134
<표 3-17> 후진학선도형 사업 운영 총괄 현황	136
<표 3-18> 후진학선도형 교육과정 영역별 운영 현황	136
<표 3-19> 「WIOA」 하에서의 미국 노동부와 교육부의 정책 목표 및 핵심 프로그램	141
<표 3-20> 미국의 연도별 연령대별 고등교육기관 등록자 변천	143
<표 3-21> 전미교육통계센터의 성인학습자 식별 기준	144
<표 3-22> 전통성 수준에 따른 대학 유형별 학생 분포(1999~2000년 기준)	145
<표 3-23> 2011-2012년 등록 대학생의 비전통적 특성	146
<표 3-24> 독일의 2021 성인 계속교육 전략	154
<표 3-25> 독일 무형식 계속 훈련 참여자의 고용 형태별 비율(2012-2018)	157
<표 3-26> 핀란드 응용과학대학의 학사학위 과정 과목 구성	161
<표 3-27> 핀란드 응용과학대학의 전공별 취득 학점, 수업 연한, 세부 전공 및 주요 과목	163
<표 4-1>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개발 필요도	197
<표 4-2>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개발 필요도: 연령대・직종・기업규모별 차이	198
<표 4-3> 고등교육기관의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 개발 교육 운영 시 도움 정도	199
<표 4-4> 고등교육기관의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개발 교육 운영 시 도움 정도: 연령대・직종・기업규모별 차이	200
<표 4-5> 학위과정 형태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경험 여부	202
<표 4-6> 비학위과정 형태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경험 여부	203
<표 4-7> 학위과정 참여 목적	205
<표 4-8> 가장 최근에 참여한 비학위과정 프로그램	206
<표 4-9>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직무 관련 정도	207
<표 4-10>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만족도	208
<표 4-11>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에 만족 또는 만족하지 않는 이유	209
<표 4-12>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기관 유형	211
<표 4-13>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직업생활 도움 정도	212
<표 4-14>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참여 경험의 직업 관련 도움 정도	213
<표 4-15> 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214
<표 4-16> 선호하는 운영 형태	217
<표 4-17> 학위과정을 선호하는 이유	218
<표 4-18> 비학위과정을 선호하는 이유	218
<표 4-19> 참여 의사가 없는 이유	219
<표 4-20>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참여 결정 시 주요 고려 요인	220
<표 4-21>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예측 성과	223
<표 4-22> 참여하고 싶은 고등교육기관 재직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	227
<표 4-23> 프로그램별 적절한 운영기관	228
<표 4-24> 프로그램별 적절한 운영 방식	231
<표 4-25> 대학/전문대학의 온라인 기반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가 평생직업교육 참여 기회 확대에 도움되는 정도	231
<표 4-26>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내용 구성 방식	234
<표 4-27> 소속 기업의 교육훈련 지원 정도	240
<표 4-28> 소속 기업의 교육훈련 지원 정도: 연령대・직종・기업규모별 차이	241
<표 5-1>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평생교육법」 개정 의견	258
<표 5-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개정 의견	258
<표 5-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통계조사 현황	260
<표 5-4> 시도 수준 평생직업교육 관련 협의체 현황	267
<표 5-5> 산업별 협의체(SC/ISC) 운영 현황	270
[그림 2-1] 평생교육통계에서 직업능력 향상교육이 차지하는 비율	28
[그림 2-2]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 체계의 변화	30
[그림 2-3]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 현황(2019년 기준)	36
[그림 2-4] 고등교육기관(전문대학 및 대학 과정) 변화 추이	37
[그림 2-5]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분야 특허출원 통계(2010~2019)	46
[그림 2-6]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형태	49
[그림 2-7] 2018, 2020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 전망 비교	52
[그림 2-8] OECD 국가의 자동화 위험에 처한 직업 비율	55
[그림 2-9] 워크넷 구인 동향(2020. 1.~2020. 12.)	58
[그림 2-10]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재택 및 원격근무 현황	59
[그림 2-11] 주요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변화	60
[그림 2-12] 국내 출생아 수 변화 추이(1990~2020)	60
[그림 2-13]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의 변화	61
[그림 2-14] 고등교육기관 취학적령인구 및 취학적령학생 추이	72
[그림 3-1] 전환기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사업	90
[그림 3-2] 고등교육 수요 변화와 평생직업교육 변천 과정	97
[그림 3-3]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법체계	105
[그림 3-4] 산업체 위탁교육 운영 추이	117
[그림 3-5]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관련 변화 추이	125
[그림 3-6] 미국 입학 연도별 6년 내 고등교육 이수율	140
[그림 3-7] 미국 대학 유형별 연령대별 2년제 등록자 비율	148
[그림 3-8] 미국 대학 유형별 연령대별 4년제 등록자 비율	149
[그림 3-9] 독일 평생직업교육 참여율(1991-2018)	156
[그림 3-10] 독일 시민교육 교육프로그램 영역별 과정 개설 비율	158
[그림 4-1] 직업 관련 목적 비형식교육 참여율	204
[그림 4-2]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참여율	204
[그림 4-3]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유형	210
[그림 4-4]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형태	211
[그림 4-5] 성인학습자의 향후 직업능력 향상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 비율	215
[그림 4-6] 의사결정 나무 개수에 따른 예측오차 비율 변화	222
[그림 4-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관련 중요도 상위 10개 요인	223
[그림 4-8]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예측 주요 요인별 부분 의존성 도표	22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미래 환경 변화에의 대응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2021.01.01~202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