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 관련 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Industry
- 저자
- 박동 김수원 권효원 계진아 황갑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10.31
- 등록일
- 2022.01.21
주제어
진로교육, 진로교육산업, 진로심리검사, 진로교육산업 실태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5 제3절 연구 범위와 한계 11 제2장 진로교육 산업 생태계 관련 이론적 논의_15 제1절 진로교육 산업의 개념과 범위 17 제2절 진로교육 산업 생태계 관련 선행연구 20 제3절 코로나 사태와 진로교육 산업의 변화 28 제4절 분석을 위한 기본 틀 35 제3장 진로교육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_37 제1절 진로교육 산업의 현황 39 제2절 진로교육 산업이 당면한 문제점 54 제4장 미국의 진로교육 산업 현황과 시사점_61 제1절 미국의 진로기술교육 현황 63 제2절 미국의 진로기술교육 직업군 및 산업체 분류 67 제3절 시사점 83 제5장 진로교육 산업 실태조사 및 분석_87 제1절 실태조사 개요 89 제2절 진로교육 산업 실태 분석 92 제3절 시사점 127 제6장 진로교육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_131 제1절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진로교육 산업분류 신설 133 제2절 ‘진로교육 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135 제3절 진로교육 산업체에 대한 정부 지원 강화 138 제4절 개인맞춤형·산업맞춤형 진로교육의 병행 추진 139 제5절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 제고 방안 마련 141 SUMMARY_145 참고문헌_151 부 록_161 <부록 1> 산업체 대상 설문조사지 163
...진로교육 산업 분야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해온 것이 사실이다. 「진로교육법」 시행(2015년), 자유학기(학년)제의 정착, 소프트웨어 교육의 실시(2018년), 유·초·중·고 인공지능 교육 도입(2021), 코로나로 인한 인공지능 및 에듀테크 활용 급증 등으로 진로교육 및 체험 관련 산업의 범위와 규모가 날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 진로교육 분야는 아직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진로교육 산업체의 전체 수도 매우 적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진로교육 및 체험 관련 산업의 경우 신생 기업들이 대다수인데다 코로나 사태까지 중첩되면서 상당한 경영상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현황 파악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관련 분야 기초자료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진로교육 산업체의 실태 파악을 위해 관련 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궁극적으로 새로운 산업으로서의 전환 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새로운 발전이 예상되고 있는 우리나라 진로교육 산업의 현황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향후 비대면 시대에 이들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초·중·고 학생 및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eer education industry in Korea, which is in the early stage but is expected to develop in the future, and seeking ways to develop these industries in the non-face-to-face era,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youths in vulnerable classes. As the Corona 19 situation continues for a long time, face-to-face career education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s in great difficulty. Especially, as online opening and remote classes become common, offlin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re virtually suspended. With the advent of such non-face-to-face era, private-public industri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ace various difficulties, but the specific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these are not confirmed. ...
<표 1-1> 설문조사 개요 8 <표 1-2> 전문가 자문회의 및 세미나 개최 현황 10 <표 2-1> 진로교육 생태계 관련 주요 선행연구 26 <표 3-1> 진로교육 산업체의 주요 서비스 41 <표 3-2> 「진로교육법」상 진로교육의 정의 42 <표 3-3> 진로교육 산업의 유형 43 <표 3-4> 시·도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수 44 <표 3-5> 진로체험지원센터 주요 업무 45 <표 3-6> 진로체험지원센터 설립 형태 45 <표 3-7> 진로교육원 주요 서비스 46 <표 3-8> 한국잡월드 주요 서비스 47 <표 3-9> 중·고등학교 내 진로심리검사 실시 방식의 비율 48 <표 3-10> 학교 진로교육 예산 투입이 가장 많은 부문의 비율 49 <표 3-11> 학생의 학교 외 진로활동별 참여 현황 50 <표 3-12> 한국표준산업분류: 교육 서비스업 53 <표 3-13> 한국표준교육분류 및 학과정보 연계: 진로 관련 학과 중심 57 <표 3-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58 <표 4-1> 미국 진로기술교육법 개정 연혁 65 <표 4-2> 미국의 진로기술교육 직업군 및 진로경로 68 <표 4-3> 미국 표준직업분류(SOC) 23개 대분류 집단 72 <표 4-4> O*NET 및 표준직업분류(SOC) 비교: 진로교육 관련 분야 74 <표 4-5> O*NET 및 표준직업분류(SOC) 내 진로교육 관련 분야 고용·직업 현황 75 <표 4-6> 북미산업분류체계(NAICS) 및 표준산업분류(SIC) 대분류 집단 77 <표 4-7> 북미산업분류체계(NAICS) 교육 서비스업 중분류 및 사업체 개수 78 <표 4-8> 북미산업분류체계(NAICS)의 교육 서비스 산업 부문 79 <표 4-9> 진로교육 관련 사업체 80 <표 5-1> 조사 대상별 표본 수 89 <표 5-2> 모집단 구성 90 <표 5-3> 주요 조사 내용 91 <표 5-4>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소속 업종 [복수응답 100% 환산] 93 <표 5-5> 진로교육 산업 분야 중 집중 분야 [복수응답 100% 환산] 93 <표 5-6> 진로교육 산업 분야 담당 직원의 평균연봉 수준 96 <표 5-7> 현재 직장 생활의 안정감 98 <표 5-8> 산업체의 자체 홈페이지 보유 여부 100 <표 5-9> 회사가 현재 당면한 가장 큰 애로 사항 102 <표 5-10> 코로나 사태 이후 진로체험 또는 교육 수요 변화 103 <표 5-11> 진로체험 또는 진로교육 산업 분야의 전망 예측 105 <표 5-12> 진로교육 산업의 여타 산업과 비교한 수익창출 106 <표 5-13> 진로교육의 신기술 변화 대응의 적절성 107 <표 5-14> 진로교육 산업 부문 내 민간-공공 부문간 협력 정도 111 <표 5-15> 코로나 19 사태가 향후 진로교육 산업에 미칠 영향 112 <표 5-16> 신기술(인공지능, 비대면 콘텐츠, VR/AR,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발전이 진로교육 산업의 발전에 미칠 영향 113 <표 5-17> 현행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 114 <표 5-18> 현재 정부의 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인지도 115 <표 5-19> 현재 정부의 진로교육 산업 지원의 충분성 여부 116 <표 5-20> 현행의 학생 개인맞춤형 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만족도 117 <표 5-21> 정부의 비대면 진로교육 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 정도 119 <표 5-22> 진로교육 관련 민간-공공 부문의 협력 강화 필요성 공감 120 <표 5-23> 진로교육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복수응답 100% 환산) 120 <표 5-24> 전문적 운영을 위한 지역별 진로체험거점센터 운영 인식 122 <표 5-25> ‘진로교육 만족도’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123 <표 5-26> ‘진로교육 산업분야 전망 인식’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124 <표 5-27> ‘개인맞춤형 진로교육 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125 <표 5-28> ‘정부의 진로교육 정책지원의 충분성 인식’ 영향요인 회귀분석 결과 126 [그림 1-1]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7 [그림 2-1] 진로교육 산업 생태계 분석을 위한 기본 틀 36 [그림 4-1] 교육 지원 서비스업 산업 시장 규모(2015-2020) 82 [그림 5-1] 재직 회사 대표의 연령대 94 [그림 5-2] 회사 전체 직원 수 95 [그림 5-3] 진로교육 산업 분야 담당 직원의 정규직/비정규직 여부 95 [그림 5-4] 현재의 직장에 대한 만족감 99 [그림 5-5] 회사의 발전에 있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항 101 [그림 5-6] 회사가 앞으로 중점 추진할 시장 개척 방법 [복수응답 100% 환산] 104 [그림 5-7] 학교 내외의 청소년 대상 진로심리검사의 적절성 108 [그림 5-8] 학교 내외의 청소년 대상 진로상담의 충분성 109 [그림 5-9] 학교 내외의 청소년 대상 진로수업의 적절성 109 [그림 5-10] 학교 내외의 청소년 대상 진로체험의 충분성 110 [그림 5-11] 정부 지원이 필요한 사항 [복수응답 100% 환산] 11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진로교육 관련 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 2021.01.01~202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