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2018년 기준 탄소배출 상위 11개국 18
<표 2-2> 2014~2018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19
<표 2-3>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최종안 총괄표 22
<표 2-4>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주요과제 및 추진일정 23
<표 2-5> ILO의 정의로운 전환 가이드라인 31
<표 2-6> 정의로운 전환의 주요 정책과제와 정의의 유형 34
<표 2-7> 정의로운 전환의 네 가지 기둥과 핵심요소 35
<표 2-8>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 방안 40
<표 2-9> 환경산업별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2018~2019년 46
<표 2-10> 전체 종사자 규모별 환경부문 종사자 수 47
<표 2-11> NDC 상향 조정에 따른 2030년 GDP·고용 영향 비교 53
<표 2-12> ‘정의로운 전환’ 종사자 취약층 규모와 실태 54
<표 2-13>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성별·연령별 분포 58
<표 2-14>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최종학력 분포 59
<표 2-15>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종사상지위 분포 60
<표 2-16>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기간제 여부 및 계약기간 61
<표 2-17>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근로시간 분포 61
<표 2-18>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월소득 62
<표 2-19>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근속기간 63
<표 2-20>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기업규모 63
<표 2-21>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노조 유무 및 가입률 64
<표 2-22> 고탄소·저탄소 업종별 고용보험 가입 및 직업훈련 경험 여부 65
<표 2-23> 10가지 주요 녹색스킬의 목록 68
<표 3-1> EU 탄소배출 감축에 따른 산업단위에서의 고용 영향, 2030년 90
<표 3-2> 그린뉴딜 정책을 만드는 연방정부의 의무 137
<표 3-3> 2009년 ‘미국 경기회복 및 재투자법’ 중 그린뉴딜 관련 주요 지원 140
<표 3-4> 그린뉴딜 대표 일자리 141
<표 3-5> ARRA와 관련된 재생 가능한 에너지 일자리 142
<표 3-6> 그린뉴딜 목표 146
<표 3-7> 바이든 대통령의 저탄소·친환경 정책 공약 149
<표 3-8> 미국의 그린뉴딜 정책 중점 추진 분야와 바이든 정부의 추진계획 150
<표 3-9> ‘기반 투자 및 일자리 법’ 관련 재정 규모 152
<표 4-1> 고용유지지원금 지원대상 및 내용 186
<표 4-2> 무역조정 지원제도의 근로자 지원내용 196
<표 4-3>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고용·노동 정책의제 도출 207
<표 5-1>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제도, 고용위기지역 지정제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제도 비교 220
<표 5-2>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제도 지원내용 222
<표 5-3>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제도 대비 고용위기지역 및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추가 혜택 요약 224
<표 5-4>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개요 226
<표 5-5> 충남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의 고용창출 목표 228
<부록 표 1> 산업별 탄소유발계수(2018년 기준) 295
<부록 표 2> 업종별 성별·연령 분포 296
<부록 표 3> 업종별 최종학력 분포 298
<부록 표 4> 업종별 종사상지위 분포 299
<부록 표 5> 업종별 기간제 여부 및 계약기간 301
<부록 표 6> 업종별 근로시간 분포 303
<부록 표 7> 업종별 월소득 304
<부록 표 8> 업종별 근속기간 306
<부록 표 9> 업종별 기업규모 307
<부록 표 10> 업종별 노조 유무 및 가입률 309
<부록 표 11> 업종별 고용보험 가입 및 직업훈련 경험 여부 311
[그림 1-1] 사회경제적 시나리오별 지표면 온도 변화 5
[그림 2-1] 한국 정부의 탄소배출 감축 목표 21
[그림 2-2]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네 가지 접근과 기구별 포지셔닝 30
[그림 3-1] EU 지역의 녹색 및 디지털 경계에서의 고용 88
[그림 3-2] EU 산업별 탄소배출 비중과 고용 비중 89
[그림 3-3]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에 따른 고용창출(2019/2030년 비교) 91
[그림 3-4] 파리기후협정 이행의 국가별 순고용 효과(2030년) 92
[그림 3-5] 디지털전환 관련 고용 위험(좌)과 경제의 녹색화 관련 고용 위험(우)의 비교 93
[그림 3-6] 녹색 일자리와 비녹색 일자리의 스킬 구성 비교 94
[그림 3-7] 교육수준별 성인학습 참여율 96
[그림 4-1] 정의로운 전환과 고용·노동 정책의제 164
[그림 4-2] ILO의 녹색 일자리(green jobs) 개념도 168
[그림 4-3] EU의 직업과 고용의 질 171
[그림 4-4]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173
[그림 4-5]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의 2019년 12월 이후 고용 추이 184
[그림 4-6] 고용전환의 유형에 따른 지원정책 189
[그림 4-7] 우리나라 화석연료보조금 추이(2001~2016년) 199
[그림 5-1] 시도별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중립 전환 영향 현황 214
[그림 5-2]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개요 219
[그림 5-3] 충남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의 비전, 목표, 전략, 과제 체계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