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 저자
- 한상근 정윤경 정지은 안중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1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10.31
- 등록일
- 2022.01.26
주제어
진로교육 목표, 진로교육 성취기준, 2022 개정 교육과정, 진로개발 가이드라인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目的) 3 제2절 연구 방법 6 제3절 연구의 제한점 10 제2장 해외 사례와 선행연구_13 제1절 해외의 진로개발 가이드라인 15 제2절 진로발달 이론 36 제3절 국내의 선행연구 45 제4절 학교급별 진로발달의 특징 57 제3장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개정 방향_63 제1절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개정 방향 및 전략 65 제2절 진로교육 목표 개정 75 제3절 진로교육 성취기준 개정 84 제4장 진로교육 전문가 의견 조사_93 제1절 진로교육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95 제2절 1차 진로교육 전문가 의견 조사 97 제3절 2차 진로교육 전문가 의견 조사 100 제4절 3차 진로교육 전문가 의견 조사 114 제5절 소결 115 제5장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연구_119 제1절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안) 121 제2절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와 내용 요소(안) 122 제3절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와 성취기준(안) 125 제6장 정책제언_135 제1절 교육과정 운영 137 제2절 진로교육 연수 및 콘텐츠 개발 141 SUMMARY_145 참고문헌_147 부 록_155 <부록 1> 1차 전문가 의견 조사지 157 <부록 2> 2차 전문가 의견 조사지 171 <부록 3> 3차 전문가 의견 조사지 186 <부록 4> 2015년도 안과 수정안의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 연계표 203 <부록 5> 2015년도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21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환경과 교육정책의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의 ‘2015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을 개정하기 위한 자료를 산출하는 것이다. 국가 수준의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을 개정하여 학교 현장의 교과 및 비교과 진로교육의 기획과 운영에 지침과 준거를 제공하려고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basic data for revising the existing 2015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reflecting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education policy. By revising national-leve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are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comparison department of the school field will be provided. This study was largely carried out through six stages. The sixth stag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 step, analyzing the second stage overseas career education guidelines, establishing a third stage revision plan, collecting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fourth stage, finalizing the fifth stage, and deriving policy suggestions in the sixth stage. Four major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conduct for this study, including literature research, expert advisory council, meetings with officials, and expert opinion surveys. ...
<표 1-1> 개정 방향 정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9 <표 2-1> 미국의 국가 진로개발 가이드라인 체계 16 <표 2-2> 캐나다 블루프린트의 11가지 진로개발역량 19 <표 2-3> 캐나다 블루프린트의 학습과정 20 <표 2-4> 캐나다 블루프린트의 수준별 삶/일 역량 21 <표 2-5> Australian Blueprint for Career Development에서의 진로개발을 위한 능력(Competencies) 23 <표 2-6> 개츠비 기준(8개 성취기준)에 나타난 학교 의무사항 26 <표 2-7> The CDI(Career Development Institute) framework for Careers, Employability and Enterprise Education 29 <표 2-8> 각국의 진로개발역량(목표) 비교표 34 <표 2-9> Ginzberg의 진로발달 단계별 과업 38 <표 2-10> Super의 진로발달 과업 41 <표 2-11> 진로교육 목표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의 진로교육 영역 비교 44 <표 2-12> 내국인 유소년인구 및 학령인구, 2017~2040년 45 <표 2-13>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원칙과 방향 48 <표 2-14> 2012 학교 진로교육 목표 51 <표 2-15>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51 <표 2-16> 2012 학교 진로교육의 성취기준 현황 52 <표 2-17> 2012 진로교육 영역과 2015 진로교육 영역 비교 53 <표 2-18> 2015 개정안의 진로교육 성취기준 현황 54 <표 2-19> 교육과정의 ‘목표’ 진술 방식 55 <표 2-20> 성취기준의 의미와 진술 지침 56 <표 3-1> 「진로와 직업」 선택과목 채택 현황(2020년) 68 <표 3-2>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체계 73 <표 3-3> 2021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개정안의 기호 및 번호 체계 74 <표 3-4> 해외의 진로개발 가이드라인의 목표 75 <표 3-5>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 1차 조사(초안) 76 <표 3-6> 학교급별 각 영역의 세부 목표와 내용 요소 개정 초안 80 <표 3-7>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개념 85 <표 3-8> 자기 이해 영역 목표별 성취기준 초안 87 <표 3-9> 진로탐색 영역 목표별 성취기준 초안 88 <표 3-10> 진로 설계와 실천 영역 목표별 성취기준 초안 91 <표 4-1> 전문가 의견 조사 응답자 현황 96 <표 4-2> 1차 전문가 의견 조사 내용과 결과 98 <표 4-3>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내용과 결과 101 <표 4-4> 학교 진로교육 목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04 <표 4-5> 진로교육의 영역과 목표 구성 체계 개정 방향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06 <표 4-6> 자기 이해 영역의 목표 및 내용 요소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07 <표 4-7> 진로탐색 영역의 목표 및 내용 요소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09 <표 4-8> 진로설계 영역의 목표 및 내용 요소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12 <표 4-9> 3차 전문가 의견 조사 내용과 결과 114 <표 4-10> 2021 개정안의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와 성취기준의 수 115 <표 4-11> 2015 개정안과 2021 개정안의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수 비교 116 <표 4-12> 2015 개정안과 2021 개정안의 진로교육 성취기준 수 비교 117 <표 5-1>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 최종(안) 121 <표 5-2> 진로교육 영역별 목표와 내용 요소 최종(안) 122 <표 5-3>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최종(안) 126 <표 5-4> 중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최종(안) 128 <표 5-5> 일반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최종(안) 130 <표 5-6> 직업계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최종(안) 132 <표 6-1>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 재구조화(안) 139 <표 6-2>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개정에 따른 연수(안) 142 [그림 1-1] 단계별 주요 연구 방법 및 내용 7 [그림 2-1] Ginzberg의 진로발달 단계 38 [그림 2-2] Super의 진로발달 단계 40 [그림 2-3] 진로발달 단계의 변형 CYCLE 43 [그림 2-4] ‘DeSeCo’와 ‘교육 2030’에서 제시한 역량의 의미와 특징 47 [그림 2-5] 교육과정 개정 관련 추진 일정(안) 49 [그림 2-6]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 57 [그림 2-7] 학교급별 진로교육 체계 58 [그림 2-8] 진로교육의 단계별 주요 과제 59 [그림 3-1] 학교급별 주요 진로 발달 과업 71 [그림 3-2] 기존 안(2015)과 개정안(1차 조사용)의 진로교육 영역 비교 79 [그림 3-3] 평가기준 관련 용어의 변화 86 [그림 4-1] 기존 안(2015년)과 최종 확정된 안의 진로교육 영역 비교 103 [그림 6-1]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일정 13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연구 | 2021.04.30~2021.10.29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