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2
<표 2-1> 주요 산업별 정규직 및 임금 현황(2020년) 18
<표 2-2> 주요국 제조업 노동생산성 현황 20
<표 2-3> 제조업 경쟁력지수(CPI) 순위 추이 20
<표 2-4> 제조업 사업체 규모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2019년 기준) 21
<표 2-5> 직종별 이직자 수 및 이직률 22
<표 2-6> 생산성 지표 22
<표 2-7> 기업규모별 평균임금(제조업) 23
<표 2-8> 기업규모별 평균임금(고졸) 24
<표 2-9> 연령별 인력 구성 25
<표 2-10> 경제활동인구 연령별 인력 구성(2019) 25
<표 2-11> 기업규모별 평균 연령(제조업) 26
<표 2-12> 중소기업의 판매 형태별 판매 비율 변화 26
<표 2-13> 중소기업 R&D 관련 지표의 변동 추이 27
<표 2-14>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수출 비율 변화 추이 28
<표 2-15> 연구개발비 29
<표 2-16> 고령화에 따른 산업구조 변화 35
<표 2-17> 제조업 강국인 미국, 독일, 일본의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 프레임워크 37
<표 2-18> 제조업에 대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의 접근 방향 40
<표 2-19> 스웨덴 성장 정책 분석국의 디지털 성숙도 구성 44
<표 3-1> 중소기업 인력 지원 사업 현황 51
<표 3-2> 중소기업 특성화고 취업(산학) 맞춤반 취업률 52
<표 3-3> 기술사관 육성 사업 지원 현황 53
<표 3-4> 중소기업 계약학과 지원 현황 54
<표 3-5> 대학연계 중소기업 인력 양성 사업 지원 현황 55
<표 3-6> 기업연계형 중소기업 연구개발 인력 양성 사업 지원 현황 56
<표 3-7> 연도별 훈련 제공 사업장 수, 훈련 실시 기관 및 과정 수 62
<표 3-8> 연도별 훈련과정별 훈련 제공 사업장 수, 훈련기관 및 과정 수 63
<표 3-9> 연도별 사업장 규모별 훈련 제공 사업장 수, 훈련기관 및 과정 수 65
<표 3-10> 연도별 훈련과정별 훈련 제공 사업장, 훈련기관 및 훈련과정 수 66
<표 3-11> 연도별 참여 훈련생 수 및 수료생 수 68
<표 3-12> 연도별 사업장 규모별 훈련 참여 인원 68
<표 3-13> 연도별 훈련과정별 훈련 참여 인원 70
<표 3-14> 연도별 훈련 인원 및 지원금 지급 규모 71
<표 3-15> 연도별 훈련과정별 훈련 인원 및 지원금 지급 규모 73
<표 3-16> 연도별 훈련 유형별 훈련 인원 및 지원금 지급 규모 74
<표 3-17> 연도별 훈련 유형별 사업체 규모별 훈련인원 및 지원급 지급 규모 75
<표 3-18> 연도별 훈련 참여자의 훈련 종료 후 취업률 76
<표 3-19> 연도별 훈련과정별 3개월 이내 취업률 77
<표 3-20> 연도별 사업체 규모별 훈련 참여자의 훈련 종료 후 취업률 78
<표 3-21> 연도별 훈련과정별 사업체 규모별 취업률 79
<표 3-22> 연도별 훈련과정별 6개월 이내 취업률 81
<표 3-23> 연도별 훈련과정별 사업체 규모별 취업률 82
<표 3-24> 2020년 훈련 참여자의 KECO 대분류별 훈련 종료 후 취업률 83
<표 3-25> 2020년 훈련 참여자의 KECO 대분류별 기업규모별 훈련 종료 후 취업률 85
<표 4-1> 퇴직 위험에 대한 콕스비례위험 모형 추정 결과 91
<표 4-2> 재취업 위험에 대한 콕스비례위험 모형 추정 결과 93
<표 4-3> 이전 일자리와 새 일자리의 고용 대체 가능성 94
<표 4-4> 재취업 일자리의 컴퓨터 대체 확률에 대한 선형회귀분석 추정 결과 94
<표 4-5> 중소기업-제조업의 고용 대체 가능성 범주에 따른 일자리 비율 95
<표 4-6> 이전 일자리와 새 일자리의 고용 대체 가능성 96
<표 4-7>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활동들의 구분 101
<표 4-8> 최근 3년간 기술 및 조직의 변화 102
<표 4-9> 컴퓨터 기술의 사용 수준: 규모별 103
<표 4-10> 과업수행에서 자동화기계의 사용: 생산직 104
<표 4-11> 과업 수와 반복 업무의 구성 106
<표 4-12> 숙련 형성 기간의 분포: 생산직, 규모별 107
<표 4-13> 인지적 능력 요건: 생산직, 규모별 108
<표 4-14> 작업 활동 강도: 직종/규모별 109
<표 4-15> 숙련 불일치와 숙련 노후화에 대한 인식: 직종/규모별 110
<표 4-16> 복잡한 문제 발생 빈도 111
<표 4-17> 주관화와 객관화 점수: 직종별, 규모별 112
<표 4-18> ‘주관화하기’에 대한 추정 결과: 직종별 114
<표 5-1> 1인당 교육훈련비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133
<표 5-2> 1인당 교육훈련 시간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135
<표 5-3> 교육훈련 시행 여부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136
<표 5-4> 중분류 정리 139
<표 5-5> 업종별 수정 모집단 현황 140
<표 5-6> 표본 선정 현황 140
<표 5-7> 설문조사 주요 문항 142
<표 5-8> 응답자 기본 특성 143
<표 5-9> 인력구조 현황 144
<표 5-10> 2020년과 2026년 상시근로자 수 변화 예측 145
<표 5-11> 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5년 이내 애로사항 발생 가능성 146
<표 5-12> 기술발전(디지털화)으로 인한 향후 5년 이내 일자리 영향 정도(5점 척도) 147
<표 5-13> 전체 업무(공정 포함)에서 디지털 기술 적용 가능 부분(분야별) 149
<표 5-14> 업무(공정 포함) 개선을 위해 신기술 도입 여부 150
<표 5-15> 업무의 신기술 도입으로 인해 인력 감소 여부 및 인원 151
<표 5-16> 신기술 도입으로 인한 유휴인력 조치 방안 152
<표 5-17> 신기술 운영을 위해 증가한 인원 153
<표 5-18> 신기술 도입 이후 업무 내용, 숙련요건, 학력 변화(5점 척도) 154
<표 5-19> 업무의 디지털화로 인해 직무 전환을 위한 교육훈련 필요성(5점 척도) 155
<표 5-20> 업무의 디지털화에 따른 업무능력 향상훈련 필요성(5점 척도) 156
<표 5-21> 신기술 활용을 위해 인적자원개발이 가장 필요한 그룹 157
<표 5-22> 지난 5년간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인식 157
<표 5-23> 중소 제조업의 디지털 성숙도 162
<표 5-24> 디지털 성숙도와 산업형태 간 차이 164
<표 5-25> 업무(공정 포함) 개선을 위해 신기술 도입 여부 165
<표 5-26> 신기술 도입으로 인한 업무 투입 인원 감소 여부 165
<표 5-27> 디지털 기술 도입 이후 직군별 업무 난이도(5점 더 복잡해짐) 166
<표 5-28> 교육훈련의 필요성 167
<표 5-29> 지난 5년간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 평가 167
<표 5-30> 최근 3년간 실시한 교육훈련 현황(5점 척도; ① 전혀 없음 – ⑤ 늘 그러함) 168
<표 5-31>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이점 169
<표 5-32> 디지털 성숙도에 따른 교육훈련 참여 요인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 170
<표 5-33> 디지털 성숙도 결정요인 분석 결과 172
<표 5-34> KMO와 Bartlett의 검정 결과 174
<표 5-35> 디지털 성숙도, 매출액, 훈련의 상관관계 175
<표 5-36> 디지털 성숙도와 매출액 176
<표 5-37> 디지털 성숙도와 미래 예측에 대한 의견 분석 결과 177
<표 6-1> 직종별로 충원 애로를 겪는 기업의 비율 184
<표 6-2> 독일의 2035년 생산가능인구 전망 186
<표 6-3> 일본의 전 산업 기업규모별 결원율 추이 198
<표 6-4> 일본의 제조업 기업규모별 결원율 추이 199
<표 6-5> 인재 확보 등 지원 보조금의 세부 내용 207
<표 7-1> 중소기업 스마트 공장 도입 의사 222
[그림 1-1] 연구의 주요 방향성 11
[그림 2-1] 우리나라 산업구조 16
[그림 2-2] 제조업의 실질부가가치 비중 변화 추이(2005~2019) 16
[그림 2-3] 주요 국가별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 17
[그림 2-4] 주요국의 경제성장률 18
[그림 2-5] 산업별 노동생산성 현황 19
[그림 2-6]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평균임금 비율 변화 추이 23
[그림 2-7] 연도별 중소기업의 R&D 투자 비율 추이 28
[그림 2-8] 벤처기업 확인 업체 수 변화 추이 30
[그림 2-9] 벤처기업의 매출액 증가율 변동 추이(매출액 증가율) 30
[그림 2-10] 제조업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 추이 31
[그림 2-11] 벤처기업의 성장성·수익성 지표 변동 추이 32
[그림 2-12] 벤처기업의 평균 업력 변화 추이 32
[그림 2-13] 4차 산업혁명 선도 핵심 기술의 역할 34
[그림 2-14] 준비도 평가 결과 지도 42
[그림 2-15] 아시아 태평양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 43
[그림 3-1] 산업기술인력 및 중소 제조업 인력 부족 현황 50
[그림 3-2] 인력공동관리협의회와 취업 맞춤반의 주요 내용 52
[그림 3-3] 직업능력개발 사업 체계 58
[그림 4-1] 케플란-마이어 곡선(근속 확률) 91
[그림 4-2] 케플란-마이어 곡선(실업 유지 확률) 92
[그림 4-3] 자동화기술 도입의 영향 관계에서 숙련개발의 위치 99
[그림 5-1] 하도급 거래 형태별 교육수준 126
[그림 5-2] 하도급 거래 형태별 교육 수준 차이(기준: 위탁거래 업체) 127
[그림 5-3] 성공 요인별 교육 수준 128
[그림 5-4] 성공 요인별 교육 수준 차이(기준: 가격과 품질 외에 없음) 129
[그림 5-5] 국내 및 해외 매출 비중별 교육수준 130
[그림 5-6] 국내 및 해외 매출 비중별 교육수준 차이(기준: 해외 매출 있음) 131
[그림 5-7] 전체 업무(공정 포함)에서 디지털 기술 적용 가능 부분(전체) 148
[그림 5-8] 최근 3년간 진행된 교육훈련 현황 158
[그림 5-9] EU의 최근 3년간 실시한 교육훈련 현황(2017~2019년) 159
[그림 5-10] 직원들을 위한 교육훈련의 이점에 대한 인식 159
[그림 5-11] 직원들을 위한 교육훈련의 이점에 대한 인식(EU) 160
[그림 5-12] 공공부문에서 제공하는 교육훈련 정책의 도움 정도 161
[그림 5-13] 디지털 성숙도 분포 162
[그림 5-14] 해외 매출 여부, 하도급 현황에 따른 디지털 성숙도 평균 163
[그림 5-15] 디지털 성숙도와 상시근로자 수 164
[그림 5-16] 훈련 문항 요인 분석 스크리 도표 174
[그림 6-1] 독일 기업의 전문인력 부족 추이 182
[그림 6-2] 일본의 유효구인배율 추이 198
[그림 6-3] 전직자의 기업규모 간 이동 상황 201
[그림 6-4] 일본의 생산연령인구 장기 추이 202
[그림 6-5]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 추이 212
[그림 6-6] 취업이 인정되는 체류자격의 기능 수준 213
[그림 7-1] 기업들이 리스킬링과 업스킬링을 위해 교육훈련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EU) 221
[그림 7-2] 정책제언의 틀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