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위기와 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 : 고용위기 지역을 중심으로
Manufacturing Crisis and Local Job Creation Plans: Focusing on Employment Crisis Regions
- 저자
- 오호영 주휘정 이은혜 최승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10.31
- 등록일
- 2022.02.09
주제어
지역일자리, 제조업, 고용창출, 고용위기지역, 패널분석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7 제2장 제조업과 지역 일자리_9 제1절 고용위기지역의 특징 11 제2절 제조업과 지역 일자리의 동학 40 제3절 지역의 고용환경과 일자리 4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66 제3장 제조업 고용충격과 지역 일자리_69 제1절 고용충격의 지역 일자리 동태분석 71 제2절 고용충격의 지역 일자리 파급효과분석 89 제3절 고용충격에 대응한 지역 일자리 창출 111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4 제4장 고용위기지역 사례연구_127 제1절 조사 개요 129 제2절 거제시 132 제3절 군산시 138 제4절 시사점 145 제5장 결론 및 정책과제_149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51 제2절 정책과제 157 SUMMARY_171 참고문헌_177 부 록_183 <부록 1> 분류코드별 창조산업의 정의 185 <부록 2> 델파이조사 조사지 188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이 지역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및 고용 현황을 살펴보고, 제조업 고용충격이 지역 내, 지역 간 일자리에 전이되는 양상을 심층적으로 진단하며, 지역의 일자리 문제에 대한 정책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제조업 고용충격이 특정 산업의 생산시설이 집중된 지역, 지역 내 특정 산업 혹은 특정 기업의 고용 비중이 높은 지역 등에 파급효과가 집중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역단위의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제조업 고용충격이 지역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2020년에 발표된 한국은행의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 특정 산업의 고용충격이 지역 내 및 지역 간 일자리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예상되는 산업별 고용충격이 지역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고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한다.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important for local jobs in that employment shocks in large-scale equipment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and shipbuilding are focused in area where production facilities of specific industries are concentrated, in areas where specific industries or companies in the region have a high employment ratio.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policies in areas with employment crisis, and the pattern of the impact of the employment shock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regional job creation. ...
<표 2-1> 고용위기지역 지원제도 및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제도 비교 15 <표 2-2> 고용위기지역 지정 개요 17 <표 2-3> 고용위기지역 기초통계 22 <표 2-4> 고용위기지역 인구구조 현황 23 <표 2-5> 지역 수준 취업자의 특징 25 <표 2-6> 지역 수준 고용구조(Ⅰ) 28 <표 2-7> 지역 수준 고용구조(Ⅱ) 30 <표 2-8> 지역 수준 취업자 증감률(I) 31 <표 2-9> 지역 수준 취업자 증감률(Ⅱ): 산업별 34 <표 2-10> 지역 수준 취업자 증감률(Ⅱ): 고용 형태 및 직종별 37 <표 2-11> 고용위기지역 고용변동 요약 40 <표 2-12> 고용위기지역 고용변동 요약표 43 <표 2-13> 그랜저 인과성 Dumitrescu-Hurlin 검정 결과 45 <표 2-14> 패널 VAR 추정 결과 46 <표 2-15> 변이할당분석 상하위 10개 지역(전체) 56 <표 2-16> 변이할당분석 상하위 10개 지역(시지역) 57 <표 2-17> 변이할당분석 상하위 10개 지역(군지역) 58 <표 2-18> 요약 통계 60 <표 2-19> 패널회귀분석 추정 결과(취업자 전체) 63 <표 2-20> 패널회귀분석 추정 결과(상용직 임금근로자) 65 <표 3-1> 제조업 산업분류 연계 72 <표 3-2> 전국의 산업별 종사자 수 및 비중 추이 74 <표 3-3> 전국의 산업별 생산액 및 비중 추이 75 <표 3-4> 전북의 산업별 종사자 수 및 비중 추이 77 <표 3-5> 전북의 산업별 생산액 및 비중 추이 78 <표 3-6> 전남의 산업별 종사자 수 및 비중 추이 81 <표 3-7> 전남의 산업별 생산액 및 비중 추이 82 <표 3-8> 경남의 산업별 종사자 수 및 비중 추이 84 <표 3-9> 경남의 산업별 생산액 및 비중 추이 85 <표 3-10> 울산의 산업별 종사자 수 및 비중 추이 87 <표 3-11> 울산의 산업별 생산액 및 비중 추이 88 <표 3-12> 전북의 자동차산업 생산파급효과 93 <표 3-13> 전북의 자동차산업 취업파급효과 94 <표 3-14> 전북의 조선업 생산파급효과 97 <표 3-15> 전북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98 <표 3-16> 전남의 조선업 생산파급효과 101 <표 3-17> 전남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102 <표 3-18> 경남의 조선업 생산파급효과 105 <표 3-19> 경남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106 <표 3-20> 울산의 조선업 생산파급효과 109 <표 3-21> 울산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110 <표 3-22> 전북의 자동차산업 생산액 증가 시 취업파급효과 113 <표 3-23> 전북의 산업별 고용입지계수 및 종사자 수 비중 추이 113 <표 3-24> 전북의 산업별 생산입지계수 및 생산액 비중 추이 114 <표 3-25> 전남의 조선업 생산액 증가 시 취업파급효과 115 <표 3-26> 전남의 산업별 고용입지계수 및 종사자 수 비중 추이 116 <표 3-27> 전남의 산업별 생산입지계수 및 생산액 비중 추이 117 <표 3-28> 경남의 조선업 생산액 증가 시 취업파급효과 118 <표 3-29> 경남의 산업별 고용입지계수 및 종사자 수 비중 추이 119 <표 3-30> 경남의 산업별 생산입지계수 및 생산액 비중 추이 120 <표 3-31> 울산의 조선업 생산액 증가 시 취업파급효과 121 <표 3-32> 울산의 산업별 고용입지계수 및 종사자 수 비중 추이 122 <표 3-33> 울산의 산업별 생산입지계수 및 생산액 비중 추이 123 <표 4-1> 델파이 조사 참여자 130 <표 4-2> 델파이 조사 내용 131 <부록 1> 분류코드별 창조산업의 정의 185 [그림 1-1] 연구 내용 및 구성 7 [그림 2-1] 지역별 고용률 추이 42 [그림 2-2] 지역별 제조업 고용 비중(제조업 고용/전체 취업자) 추이 42 [그림 2-3] 충격반응함수 48 [그림 2-4] 전 산업 변이할당분석 결과(4분위 그룹) 53 [그림 2-5] 제조업 변이할당분석 결과(4분위 그룹) 54 [그림 2-6] 비제조업 변이할당분석 결과(4분위 그룹) 55 [그림 3-1] 전북 고용변화 상위산업 종사자 수 추이 76 [그림 3-2] 전남의 고용변화 상위산업 종사자 수 추이 80 [그림 3-3] 경남의 고용변화 상위산업 종사자 수 추이 83 [그림 3-4] 울산의 고용변화 상위산업 종사자 수 추이 86 [그림 3-5] 전북의 자동차산업 취업파급효과 92 [그림 3-6] 전북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96 [그림 3-7] 전남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100 [그림 3-8] 경남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104 [그림 3-9] 울산의 조선업 취업파급효과 10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제조업 위기와 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 고용위기 지역을 중심으로 | 2021.01.01~202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