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응한 학교 진로교육과정 연구

The study on the school career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저자
정윤경 박나실 김나라 이윤진 허유진 김종훈
분류정보
기본연구(2021-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2.31
등록일
2022.03.1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용어의 정의	17
제2장  학교 진로교육과정의 실태_21
제1절 2015 국가 교육과정 현황과 진로교육과정의 의의	23
제2절 2015 초・중・고 진로교육 관련 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48
제3절 2015 초・중・고 진로교육 관련 비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57
제4절 소결	63
제3장  국내외 교육과정 개정 동향_67
제1절 우리나라 2022 교육과정 개정 동향	69
제2절 해외 교육과정 개정 및 진로교육과정 사례	87
제3절 소결	133
제4장  학교 진로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관한 요구 분석_139
제1절 응답자 특성	141
제2절 초・중・고 진로교육의 내용 적정성 및 목표 개선 요구	144
제3절 초・중・고 진로교육 관련 교과의 내용 체계 및 요소 개선 요구	172
제4절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 개선 요구	188
제5절 초・중・고 진로교육과정 활성화 방향 탐색	211
제6절 소결	225
제5장  학교 진로교육과정 개선 방안_239
제1절 학교 진로교육과정 개선 방향	241
제2절 초・중・고 진로교육 관련 교과 개선 방안	249
제3절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 개선 방안	262
제4절 학교 진로교육과정 운영 강화 방안	274
Summary_287
참고문헌_295
부록_313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 개정 방향과 학교 진로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초?중?고 학교 진로교육과정의 개선 방향과 중점 내용의 개선 방안, 그리고 진로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Ministry of Education (hereafter MOE) in Korea proceeds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which the revisions of a general guideline and each subject curriculum are scheduled in 2021 and 2022, respectively.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for seeking improvement directions of different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However, the research concentrating on the amelioration of the school career curriculum is rather limited as of now. 
This research reviewed current state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future direc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sought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plans together with relevant policy tasks for the standards for both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 the career education curricula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be substantially organized and managed. 
...
<표 1-1> 전문가협의회 개최 현황	8
<표 1-2> 면담조사 실시 현황	9
<표 1-3> 초점집단면접(FGI) 개최 현황	10
<표 1-4> 설문조사 대상별 조사 내용 및 목표 표본 수	12
<표 1-5> 해외사례 주요 분석 내용	13
<표 1-6> 세미나 일정 및 내용	15
<표 1-7> 학교급별 진로교육과정의 연구 범위	19
<표 2-1> 2015 교육과정의 6가지 핵심역량	26
<표 2-2>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	27
<표 2-3> 2015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	29
<표 2-4> 2015 일반고등학교(자율고 포함)와 특수목적고등학교(산업 수요 맞춤형 고교 제외)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	31
<표 2-5> 2015 특성화고등학교와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	32
<표 2-6> 2015 교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역량	33
<표 2-7> 2015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35
<표 2-8> 2015 사회과 지리 교육과정 내용 체계(예시)	36
<표 2-9> 창의적 체험활동 4개 영역별 ‘활동’ 비교	40
<표 2-10> 국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중 진로교육 관련 인간상	42
<표 2-11> 시대・차수별 국가 교육과정의 진로교육과정 주요 내용 및 특징	43
<표 2-12> 학교 교육제도와 진로교육과정의 역할	46
<표 2-13> 「실과」 자원 관리와 자립 및 기술 활용 영역의 성취기준	49
<표 2-14> 「진로와 직업」 선택과목 채택 현황(중・고등학교)	51
<표 2-15> 중학교 「진로와 직업」 선택과목의 영역별 성취기준	53
<표 2-16>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선택과목의 영역별 성취기준	54
<표 2-17> 「진로와 직업」 과목 수업 여부 및 운영 방식(중・고등학교)	56
<표 2-18>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3개 하위 활동 목표 및 내용	57
<표 2-19>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교급별 내용	58
<표 2-20>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교수・학습 방향	59
<표 2-21>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평가 관점 및 유의 사항	60
<표 2-22>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진로활동 배당 시수(중・고등학교)	62
<표 3-1> 자기주도적 태도 등을 고려한 미래 핵심역량의 방향(예)	72
<표 3-2> 미래 교육이 추구해야 할 인간상	73
<표 3-3> 단위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강화를 위한 주요 사항	76
<표 3-4> 고교학점제에 따른 수업・학사 운영	78
<표 3-5>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교 선택과목 구조 개편 방안	79
<표 3-6> 창의적 체험활동의 재구조화(안)	80
<표 3-7> 영국의 학제 및 교육과정 체계	87
<표 3-8> Gatsby Benchmark	92
<표 3-9> 교육과정 내에서의 진로교육 형식	94
<표 3-10> PSHE 과목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95
<표 3-11> 공동 교육과정 활동을 통한 진로교육 사례	97
<표 3-12> 8~13학년 공급자 접근에 대한 정책 설명	98
<표 3-13> 호주의 교육과정 편제(9~10학년)	100
<표 3-14> 호주의 선택과목 ‘직업 탐구’의 교육과정 구조: 묶음과 하위 묶음	101
<표 3-15> 호주 학교 단위 진로교육 실천 사례	103
<표 3-16> 호주 진로교육 선택과목 ‘직업 탐구’의 학습 내용	104
<표 3-17> 호주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 사례	106
<표 3-18> 미국 애리조나 주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109
<표 3-19> 네브래스카 진로개발 모델	114
<표 3-20> 네브래스카 주 교육부의 진로교육 수업 계획	116
<표 3-21> 교육 수준과 생애주기에 따른 핀란드 초・중등 학생 진로지도 방식	129
<표 3-22> 핀란드 중학교 진로 관련 교과의 주요 내용	131
<표 3-23> 우리나라 2022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방향	134
<표 3-24> 우리나라 2022 교육과정 각론의 개정 방향	135
<표 3-25> 영국, 호주, 미국, 핀란드 진로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138
<표 4-1> 학교 진로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응답자 현황(n=549)	142
<표 4-2> 초・중・고 진로교사 응답자의 특성(n=451)	143
<표 4-3> 정책 및 학계 전문가 응답자의 특성	144
<표 4-4> 초등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적정성	145
<표 4-5> 중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적정성	147
<표 4-6> 고등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적정성	150
<표 4-7>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설문조사용 수정안	151
<표 4-8> 전체 학교 진로교육 목표 수정 의견	152
<표 4-9>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수정 의견	153
<표 4-10> 중학교 진로교육 목표 수정 의견	154
<표 4-11> 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수정 의견	155
<표 4-12> 학교급별 진로교육 중점 세부 목표에 대한 교사 의견	157
<표 4-13> 학교급별 진로교육 중점 세부 목표에 대한 정책 및 학계 전문가 의견	160
<표 4-14> 초등학교 진로교육 세부 목표의 중점 학년군(초등교사)	163
<표 4-15> 초등학교 진로교육 세부 목표의 중점 학년군(정책 및 학계 전문가)	164
<표 4-16> 현행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와 내용 체계의 문제점(교사)	165
<표 4-17> 현행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와 내용 체계의 문제점(정책 및 학계 전문가)	167
<표 4-18> 현행 학교급별 진로교육 내용 체계의 차별화 방향	168
<표 4-19> 학교급별 진로교육 내용 체계의 개선 방향(교사)	169
<표 4-20> 학교급별 진로교육 내용 체계의 개선 방향(정책 및 학계 전문가)	171
<표 4-21> 초등학교 진로교육 강화 시 학년군별 적절한 연계 교과	172
<표 4-22> 초등학교 진로교과 신설 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학년군	174
<표 4-23> 초등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개선 시 강조할 내용 요소	175
<표 4-24> 중학교 「진로와 직업」 성격의 범위 개선 방향	176
<표 4-25>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에 새롭게 추가할 성격	177
<표 4-26>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개선 시 강조할 내용 요소	178
<표 4-27>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개선 방향	180
<표 4-28>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성격의 범위 개선 방향	181
<표 4-29>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에 새롭게 추가할 성격	182
<표 4-30>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개선 시 강조할 내용 요소	184
<표 4-31> 특성화고 진로교육 내실화를 위한 「진로와 직업」 교과의 개선 방향	185
<표 4-32>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의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개선 방향	187
<표 4-33>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과 활동’에 대한 의견	189
<표 4-34>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공통지침 수정에 대한 의견	191
<표 4-35>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원(지역 수준) 관련 지침 수정에 대한 의견	193
<표 4-36>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교수・학습 관련 지침 수정에 대한 의견	195
<표 4-37>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관련 지침 수정에 대한 의견	196
<표 4-38>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정체성 관련 문제점	198
<표 4-39>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편성・운영 관련 문제점	200
<표 4-40>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개선 방안	203
<표 4-41>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정체성 관련 문제점	205
<표 4-42>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편성・운영 관련 문제점	207
<표 4-43>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개선 방안	210
<표 4-44> 기존 초등학교 진로교육과정 강화 방향	211
<표 4-45>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전문성 제고 방향	212
<표 4-46>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필수화 필요 여부	213
<표 4-47> 중학교 「진로와 직업」 필수화 시 적정 학년	214
<표 4-48> 중학교 「진로와 직업」 필수화 시 적정 학점	214
<표 4-49> 중학교 자유학기・자유학년제에 따른 교과와 비교과 개선 방향	215
<표 4-50> 해외 주요 국가 방법 중 중학교에 적합한 방안	218
<표 4-51>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필수화 필요 여부	218
<표 4-52>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필수화 시 적정 학년 배정 방향	219
<표 4-53>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필수화 시 적정 학점 배정 방향	220
<표 4-54> 고교학점제를 고려한 「진로와 직업」 운영 방향	221
<표 4-55>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과 창체 진로활동 간 유사성과 중복성 개선 방안	222
<표 4-56> 해외 주요 국가 방법 중 고등학교에 적합한 방안	224
<표 4-57> 초・중・고 진로교육 교육 내용 적정성 및 개선 방향	225
<표 4-58> 학교 진로교육 목표 개선 방향	227
<표 4-59> 학교급별 진로교육 세부 목표 개선 방향	228
<표 4-60> 초・중・고 진로교육 내용 체계의 개선 방향	229
<표 4-61> 초등학교 진로교육 강화 시 학년군별 적절한 연계 교과	229
<표 4-62> 「진로와 직업」 성격의 범위 개선 방향	230
<표 4-63> 교육과정 개선 시 강조할 내용 요소	231
<표 4-64>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평가의 개선 방향	232
<표 4-65>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문제점	233
<표 4-66> 중・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34
<표 4-67> 초등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방향	235
<표 4-68> 중학교의 「진로와 직업」 필수화 및 적정 학점・학년	236
<표 4-69> 중학교에서의 자유학기・자유학년제 운영에 따른 교과와 비교과 개선 방향	237
<표 4-70> 고등학교의 「진로와 직업」 필수화 및 적정 학점・학년	238
<표 4-71>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과 창체 진로활동 간 유사성과 중복성 개선 방안	238
<표 4-72> 고교학점제를 고려한 「진로와 직업」 운영 방향	238
<표 5-1> 국내외 진로교육과정 운영 특징 비교	244
<표 5-2> 학교급별 진로교육과정 개선 방향	246
<표 5-3> 학교급별 진로교육 중점 세부 목표 개선 방향	248
<표 5-4>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 진로교육 단원의 핵심 개념 및 내용 요소	249
<표 5-5> 초등학교 「실과」 총괄 목표 수정안 예시	250
<표 5-6> 2022 개정 교육과정 「실과」의 진로교육 관련 단원 핵심 개념 및 내용 요소(수정안 예시)	251
<표 5-7> 초등학교 1~2학년 진로교육 강화를 위한 교과별 연계 교과의 교육과정 개선(안) 예시	252
<표 5-8> 초등학교 3~4학년군 진로교육 강화를 위한 교과별 연계 교과의 교육과정 개선(안) 예시	253
<표 5-9> 초등학교 5~6학년군 진로교육 강화를 위한 교과별 연계 교과의 교육과정 개선(안) 예시	255
<표 5-10> 고등학교 진로 관련 선택과목 편제(안) 예시	256
<표 5-11> 중학교 「진로와 직업」 성격 수정안 예시	257
<표 5-12>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성격 수정안 예시	258
<표 5-13>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수정안 예시	259
<표 5-14>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수정안 예시	260
<표 5-15> 진로 교과 공통과목 시 적정 학년 및 학기당 최소 이수 적정 단위	261
<표 5-16> 핀란드의 필수교과 운영 방식 개요	262
<표 5-17> 진로활동의 영역 활동 체계표 수정안	264
<표 5-18>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과 활동 관련 지침 사항 수정안	266
<표 5-19> ‘4. 편성・운영과 지원-(1) 공통지침’ 수정안	266
<표 5-20> ‘4. 편성・운영과 지원-나. 지원-(2) 지역 수준’ 지침 수정안	267
<표 5-21> ‘5.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가. 교수・학습-(4) 진로활동’ 지침 수정안	268
<표 5-22> 차기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 영역 및 학년(군)별 중점 사항(수정안 예시)	270
<표 5-23> 차기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 영역 및 학년(군)별 중점 사항(수정안 예시)	272
<표 5-24> 국가, 시도 및 단위학교 차원의 진로교육 인력 역량 강화	280
<표 5-25> 미래 변화에 맞춤한 진로교육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자료 개발	285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16
[그림 3-1] 교육부 미래 학교 전환 추진	69
[그림 3-2] 2022 국가 교육과정 개정 추진 방향(안)	71
[그림 3-3] 2022 교육과정 개정 시 고려할 점	82
[그림 3-4] 지속가능한 미래 대응 교육과정	85
[그림 3-5] 애리조나 주 진로교육 온라인 플랫폼(화면)	111
[그림 3-6] 네브래스카 주 교육부 진로개발 모델	113
[그림 3-7] 핀란드 국립교육청 종합중등학교 교육과정 브로슈어	125
[그림 5-1]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응한 학교 진로교육과정 개선 방향	24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응한 학교 진로교육과정 연구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