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숙련의 다양한 개념적 접근들 16
<표 2-2> 숙련전망 방법 비교 30
<표 3-1> 분석 프로세스 50
<표 3-2> O*NET의 콘텐츠 모델 구조 55
<표 3-3> 분석에 활용한 O*NET 직업 속성 데이터 59
<표 3-4> 특허분류 F16K 1/00(or 1/02)의 분류체계 63
<표 3-5> IPC 구성(2021.01 버전) 64
<표 3-6> CPC 구성(1) 65
<표 3-7> CPC 구성(2) 66
<표 3-8> BERT 및 FastText의 성능 평가 78
<표 3-9> 직업 속성과 CPC 코드 매칭 결과 (일부) 79
<표 3-10> CPC 구성 82
<표 3-11> 연도별 인공지능 특허동향 83
<표 3-12> 연도별 출원특허의 CPC 코드 비중(서브클래스 단위) 84
<표 3-13> 연도별 출원특허의 CPC 코드 비중(메인/서브그룹 단위) 85
<표 3-14> CPC 코드 매칭 직업(서브클래스 단위) 86
<표 3-15> CPC 코드 매칭 직업(메인/서브그룹 단위) 88
<표 3-16> 인공지능 특허분포벡터와 거리가 가까운 직업 list(상위 5개) 92
<표 3-17> 인공지능 특허분포벡터와 거리가 먼 직업 list(하위 5개) 93
<표 4-1> 주요 선행 연구 비교표 113
<표 4-2> 조사 최종 리스트 119
<표 4-3> 설문문항 예시 126
<표 4-4> ICR 매트릭스(1차 사전조사의 기술적 측면 결과) 129
<표 4-5> 기술적 측면의 인공지능 대체 여부 응답 결과 133
<표 4-6> 기술적으로 대체가능한 작업(task) 예 133
<표 4-7> 기술적으로 대체되지 않고 그 중요성이 유지될 작업(task) 예 136
<표 4-8> 기술적으로 대체되지 않고 그 중요성이 확대될 작업 예 138
<표 4-9> 사회경제적 측면의 인공지능 대체 여부 응답 결과 139
<표 4-10>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확대’ 응답 작업에 대한 기술적 측면의 응답 141
<표 4-11> 기술적으로 대체될 수 있지만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중요성이 확대될 작업 141
<표 4-12>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확대된다고”고 응답한 작업 중 “기술적 측면에서 유지된다”고 응답한 작업 (20개) 144
<표 4-13>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확대된다고”고 응답한 작업 중 “기술적 측면에서 확대된다”고 응답한 작업(14개) 146
<표 4-14> 참가자 응답 현황 (기술적 측면) 147
<표 4-15> 참가자 응답 현황 (사회경제적 측면) 148
<표 4-16> 숙련요소 분석 결과 152
<표 4-17> 딥러닝모델 학습 및 검증 결과 157
<표 4-18> 기술적 측면에서 자동화 위험률이 높은 상위 20개 작업 리스트 161
<표 4-19> 기술적 측면에서 자동화 위험률이 낮은 하위 20개 작업 리스트 162
<표 4-20>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자동화 위험률이 높은 상위 20개 작업 리스트 165
<표 4-21>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자동화 위험률이 낮은 하위 20개 작업 리스트 166
<표 4-22> 기술적 측면에서 직업의 자동화 위험률 상위 30과 하위 30개 171
<표 4-23>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직업의 자동화 위험률 상위 30과 하위 30개 174
<표 4-24> 기술적 대체 확률: 산업별 직업 대체 확률 분포 (각 산업의 총 직업 수를 100%로 환산하여 계산) 179
<표 4-25> 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산업별 직업 대체 확률 분포 (각 산업의 총 직업 수를 100%로 환산하여 계산) 185
<부표 2-1> 인공지능 특허분포벡터와 거리가 가까운 직업 list(상위 30개) 249
<부표 2-2> 인공지능 특허분포벡터와 거리가 가까운 직업 list(하위 30개) 252
<부표 4-1> ‘기술적 대체확률’ (상위 150개) 261
<부표 4-2>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상위 150개) 269
<부표 4-3> ‘기술적 대체확률’ (하위 150개) 277
<부표 4-4>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하위 150개) 285
<부표 5-1> ‘기술적 대체확률’ 양의 관계 KSA값 (상위 150개) 293
<부표 5-2>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양의 관계 KSA값 (상위 150개) 311
<부표 5-3> ‘기술적 대체확률’ 부의 관계 KSA값 (상위 150개) 327
<부표 5-4>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부의 관계 KSA값 (상위 150개) 344
<부표 5-5> ‘기술적 대체확률’ 양의 관계 KSA값 (하위 150개) 360
<부표 5-6>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양의 관계 KSA값 (하위 150개) 376
<부표 5-7> ‘기술적 대체확률’ 부의 관계 KSA값 (하위 150개) 395
<부표 5-8>‘사회경제적 대체확률’ 부의 관계 KSA값 (하위 150개) 412
<부표 7-1> 직업별 자동화 위험률 순위 (기술적 측면만을 고려할 경우) 451
<부표 7-2> 직업별 자동화 위험률 순위 (사회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467
[그림 1-1] 데이터 기반 미래기술 숙련 전망 방법 10
[그림 3-1] 논문과 특허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연결한 형태 45
[그림 3-2] OTC 프로그램의 개념도 46
[그림 3-3] 연구의 분석 프로세스 개요도 51
[그림 3-4] 미국 직업정보시스템 O*NET Online 52
[그림 3-5] O*NET 콘텐츠 모델 53
[그림 3-6] O*NET-SOC 2019 직업 분류(taxonomy) 구조 54
[그림 3-7] 데이터 예시: 기술 스킬(Technology Skills) 58
[그림 3-8] 특허 예시 62
[그림 3-9] CPC 인덱싱 예시 66
[그림 3-10] 데이터 예시: CPC 코드별 파싱결과 67
[그림 3-11] 텍스트 문서의 벡터 변환 68
[그림 3-12] FastText 모델의 n=3 문자단위 n-gram 예시 70
[그림 3-13] BERT 모델의 Pre-training 및 Fine-tuning 절차 71
[그림 3-14] 연구의 분석 개요 72
[그림 3-15] 직업 속성 학습 절차 73
[그림 3-16] CPC 코드 학습 절차 74
[그림 3-17] 직업 속성-CPC 코드 교차 학습 절차 75
[그림 3-18] 임베딩 벡터 기반 직업 속성 CPC 코드 비교 (샘플 분석) 80
[그림 3-19] 연도별 출원특허의 CPC 코드 비중(서브클래스 단위) 84
[그림 3-20] 연도별 출원특허의 CPC 코드 비중(메인그룹 단위) 85
[그림 3-21] 직업-인공지능 분포 벡터간 거리 비교 데이터 기초통계 (1) 90
[그림 3-22] 직업-인공지능 분포벡터간 거리 비교 데이터 기초통계 (2) 91
[그림 4-1] 노동 생산성 증가, G7 국가 (%, 연평균 증가율) 103
[그림 4-2] Frey and Osborne(2013) 연구에서 사용된 병목지표 109
[그림 4-3] Frey and Osborne(2013)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류기의 결과 110
[그림 4-4] 컴퓨터화 확률 분포에 따른 산업별 고용자 수 분포 111
[그림 4-5] 이항분류(Binary Classification)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념도 115
[그림 4-6] 코더 간 신뢰도 검증의 절차 개념도 116
[그림 4-7] 사전조사 ICR 값의 변화 결과 128
[그림 4-8] 기술적 측면의 사전조사 네트워크 분석 결과 130
[그림 4-9] 사회경제적 측면의 사전조사 네트워크 분석 결과 131
[그림 4-10] 사전조사 ICR 값의 변화 결과(전문가 F, M, N 제외) 132
[그림 4-11] 조사 참가자의 응답 분포 149
[그림 4-12] 딥러닝 모델 활성함수 예시 155
[그림 4-13] 본 연구에서 사용된 딥러닝 모델의 구조 156
[그림 4-14] 딥러닝모델 학습효율 시뮬레이션 결과 157
[그림 4-15]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작업의 대체확률 분포 159
[그림 4-16]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작업의 대체확률 등고지도 168
[그림 4-17]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직업의 대체확률 분포 169
[그림 4-18]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직업의 대체확률 등고지도 177
[그림 4-19] 공동체 및 사회서비스와 법률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0
[그림 4-20] 예술, 디자인, 환경, 스포츠 및 미디어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1
[그림 4-21] 음식준비 및 제공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2
[그림 4-22] 생산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3
[그림 4-23] 의료종사자 및 의료기술자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6
[그림 4-24] 사무 및 행정지원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7
[그림 4-25] 교육 및 사서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89
[그림 4-26] 경영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90
[그림 4-27] 사업 및 금융운영 부문 직업 자동화 위험 분포 192
[그림 4-28] 기술적 대체 확률: 산업별 직업 대체 확률 분포(각 산업의 총 직업 수를 100%로 환산하여 계산) 193
[그림 4-29] 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산업별 직업 대체 확률 분포(각 산업의 총 직업 수를 100%로 환산하여 계산) 194
[부도 1-1] O*NET 직업 속성(Job Description) – CPC 코드 코사인 유사도 (일부) 245
[부도 1-2] O*NET 직업 속성(Knowledge) – CPC 코드 코사인 유사도 (일부) 246
[부도 1-3] O*NET 직업 속성(Task) – CPC 코드 코사인 유사도 (일부) 246
[부도 1-4] O*NET 직업 속성(Technology Skill) – CPC 코드 코사인 유사도 (일부) 247
[부도 1-5] O*NET 직업 속성(Tools used) – CPC 코드 코사인 유사도 (일부) 248
[부도 6-1] 경영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Management) 431
[부도 6-2] 사업 및 금융 운영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Business and Financial Operations) 432
[부도 6-3] 컴퓨터 및 수리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Computer and Mathematical) 433
[부도 6-4] 건축 및 공학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434
[부도 6-5] 생명과학, 물리학, 그리고 사회과학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Life, Physical, and Social Science) 435
[부도 6-6] 공동체 및 사회서비스 부문과 법률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Community and Social Service + Legal) 436
[부도 6-7] 교육 및 도서관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Education Instruction and Library) 437
[부도 6-8] 예술, 디자인, 환경, 스포츠, 미디어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Art, Design, Environment, Sports, and Media) 438
[부도 6-9] 보건의료 전문의 및 기술사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Healthcare Practitioners and Technical) 439
[부도 6-10] 의료지원과 보호관련 서비스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Healthcare Support + Protective Service) 440
[부도 6-11] 음식 준비 및 제공관련 서비스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Related) 441
[부도 6-12] 건물 및 지면 청소・관리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Building and Grounds Cleaning and Maintenance) 442
[부도 6-13] 개인 미용 및 돌봄 서비스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Personal Care and Service Occupations) 443
[부도 6-14] 판매 및 관련 서비스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Sales and Related) 444
[부도 6-15] 사무 및 행정지원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Offi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445
[부도 6-16] 농업・어업・임업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446
[부도 6-17] 건설 및 추출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Construction and Extraction) 447
[부도 6-18] 설치 ・ 관리 ・ 수리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pair) 448
[부도 6-19] 생산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Production) 449
[부도 6-20] 교통 및 물류 부문 직업 자동화 확률 (Transportation and Material Moving)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