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AI시대, 미래의 노동자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할까?

In the age of AI, what kind of competencies will the workers in the future need?
저자
반가운 김봄이 남재욱 김영빈 오계택 최혜란 조은상
분류정보
기본연구(202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2.31
등록일
2022.03.15
주제어
인공지능, 인간지능, 캐퍼빌러티, 일터혁신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9
제2장 AI 시대, 기존연구가 이야기하는 미래 필요역량_21
제1절 AI 시대, 노동시장의 변화 	23
제2절 AI 시대, 미래 필요역량 기존연구 검토	30
제3절 AI 시대, 미래 필요역량 기존연구 종합과 한계	58
제3장 AI 시대, 만들어가는 미래_67
제1절 AI 시대, 인간지능의 중요성과 ‘함께 똑똑해져야’ 할 미래	70
제2절 AI 시대, 인간지능의 한계와 강점	92
제3절 만들어가는 미래를 위한 인간과 AI의 바람직한 관계	118
제4절 소결	125
제4장 AI 시대, 한국의 숙련체제와 바람직한 미래를 위한 정책지향_127
제1절 AI 시대, 만들어가는 미래를 위한 정책지향	129
제2절 한국적 정책지향을 위한 한국 숙련체제 검토	134
제3절 캐퍼빌러티 역량의 성인학습과 자율과 재량의 일터혁신	155
제4절 AI 시대, 전환의 삼중주: 바람직한 미래를 위한 ‘디지털 전환-
      학습전환-일터전환’	165
제5장 AI 시대, 학습전환을 위한 개인주도 평생교육훈련 _171
제1절 AI 시대의 개인주도 평생교육훈련	173
제2절 미래 노동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바우처 발전방향	179
제3절 미래 노동자 역량강화를 위한 「(가칭)보편학습소득」 또는 「(가칭)국민기본역량계좌」	196
제4절 소결	210
제6장 AI 시대, 학습전환을 위한 캐퍼빌러티 역량 중심 교육훈련_215
제1절 AI 시대의 미래 역량과 HRD  	217
제2절 캐퍼빌러티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의 변화	230
제3절 캐퍼빌러티 역량강화를 위한 디지털 역량 개발	248
제4절 소결	254
제7장 AI 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일터전환을 위한 일터혁신_257
제1절 AI 시대의 일하는 방식 변화	259
제2절 AI가 일터에 미치는 영향 업종별 사례	276
제3절 일터전환을 위한 일터혁신의 미래	291
제4절 소결	301
제8장 결론_307
제1절 AI 시대, 인재의 부족인가, 좋은 일자리의 부족인가?	309
제2절 AI 시대, 새로운 숙련체제로서 숙련활용체제	316
제3절 정책적 함의와 인간 뇌	333
SUMMARY_339
참고문헌_353
부록_383
부록 1. 「국민기본역량계좌」 운영안	385
부록 2. 학습친화 일터혁신 - 학습전제 노동시간 단축 방안 검토	387
...본 연구는 기존의 여러 연구와 몇 가지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우선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미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는 기술이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주사위 던지기가 지배하는 곳도 아니다. 특히 제도와 관련한 영역은 더욱더 인간의 의지와 더불어 그 집합적 표현인 정책과 정치가 중요하다. AI에게는 어려운데 HI는 잘 할 수 있는 인간 역량은 과연 무엇일지에 대한 답을 구하고, 이를 반영한 제도 설계와 미래의 모습을 우리가 그려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술뿐만 아니라 인간지능에 대한 이해가 함께 선행되어야 이를 바탕으로 AI와 HI의 상호관계 - 대체이든 보완이든 - 에 대해 추론하고 바람직한 미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 모습을 예측함에 있어 기술적 요인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인간지능 자체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둘에 대한 나름의 균형감각을 가지고 AI와 HI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정책적 의지를 더해 바람직한 협력과 분업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정책 대안 측면에서 한국적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기존 인공지능이 사회경제적으로 끼칠 영향과 그 대응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사실상 ‘하나의 자본주의’를 가정한다. 특히 OECD 보고서 등에서 제안하는 정책처방은 사실상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그래서 국가 간 제도나 역사적 맥락의 차이가 고려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달리 인공지능이라는 기술 충격이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에서 한국 노동시장에서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천착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학술적 연구 보고서가 아닌 정책 보고서로서의 특징을 분명히 할 것이다. 따라서 여러 장에 걸쳐 다양한 정책처방을 제시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 정책처방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경우에 따라서는 오래된 정책처방들이 어떻게 AI 시대, 미래의 한국 노동자에게 필요한 역량이라는 맥락에서 새롭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 역시 독자들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ge of AI, what kind of competencies will the workers in the future need? This study intends to answer this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predicting the future, but creating the future through policies and institutions. This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not a pure research report but a policy report.
Although this study is a policy report, due to the nature of the research topic, it is composed of a balanced theoretical review and concrete policy presentation. It is composed of a total of eight chapters. Ex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ere are three chapters for review of existing research and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ree chapters for specific policies. In addition, in each specific policy chapter, existing research was reviewed if it is necessary. Chapter 4 presents a theoretical discussion and a comprehensive policy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evance to the specific policy proposals that will follow from Chapter 5. Chapters 5 to 7 present specific policie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in the AI ??era. These chapters were chosen by limiting them to policy areas th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needs to focus, rather than encompassing all related policy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those that can contain more future-oriented content in the wake of the new government's inauguration.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표 2-1> 인간의 직업 활동과 관련된 18가지 역량과 인공지능 기술 비교	33
<표 2-2> 청년들에게 필요한 4가지 스킬 카테고리	49
<표 2-3> AI 시대, 미래 필요역량 기존연구 종합	60
<표 4-1> 사회적 보호 방식과 예상되는 숙련 프로파일	139
<표 4-2> 초기직업훈련에 대한 기업의 관여와 공적 책임에 따른 숙련체제의 다양성	140
<표 4-3> 노동시장 특성과 직업교육훈련 규제 방식에 따른 숙련체제의 다양성	141
<표 4-4> 선거제도와 지배정당에 따른 인적자본형성의 다양성	142
<표 5-1>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업 내용	183
<표 5-2> 연도별 국민내일배움카드 실적(′16~′20)	184
<표 6-1> 4대 유망 SW 분야의 신규인력 수급전망(2018~2022년)	224
<표 6-2> AI 인재양성 관련 글로벌 동향	226
<표 6-3> 영국 고등교육 및 계속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사례	246
<표 6-4> 캐나다 고등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사례	247
<표 8-1> 숙련형성체제와 숙련활용체제의 비교	326
[그림 1-1]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9
[그림 2-1]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자동화 가능성과 임금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35
[그림 2-2]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자동화 가능성 - 산업 및 활동	37
[그림 2-3] AI 시대, 기업에서 요구되는 스킬향상 방식의 구분	57
[그림 3-1] AI 시대, 인간지능의 두 모습	76
[그림 3-2]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의 발전 궤적	78
[그림 3-3] 고등교육의 사회적 이득 국제비교-전체(위)와 인당(아래) 추정치	88
[그림 3-4] AI 시대,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의 관계	119
[그림 4-1] 학력, 스킬, 고용, 임금의 관계-한국과 OECD 평균 비교	150
[그림 4-2] 스킬활용 및 전문직 종사자 비율과 고역량자 고용률	151
[그림 4-3] 스킬활용 및 사업주지원 교육훈련과 평생학습	153
[그림 4-4] 연령별 핵심정보처리 역량 수준 국제비교	154
[그림 4-5] 한국 노동자의 ‘메타인지’ 국제비교	157
[그림 4-6] 한국 노동자의 ‘일터에서 문제해결 활동’ 국제비교	158
[그림 4-7] 연령별 협업능력 국제비교	159
[그림 4-8] AI 시대에 ‘긍정적 HI-AI 관계’를 위한 역량강화 통합 거버넌스	164
[그림 5-1]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공급자 중심 모형과 이용자 중심 모형	181
[그림 5-2] 연도별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 인원	185
[그림 6-1] 캐퍼빌러티 역량과 개인역량구축	221
[그림 6-2] SW 교육 편제 변화	223
[그림 6-3] 인공지능 관련 기술의 상대적 수준	223
[그림 6-4] 플립러닝 단계	238
[그림 6-5] 빅토리 XR 캠퍼스 및 클래스	243
[그림 6-6]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24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AI 시대, 미래의 노동자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할까?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