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청년의 자립과 취업 지원 방안(2021): 시설보호청소년
Study for Support Plans for Self-Reliance and Employment of Disadvantaged Youths: Youths in Institutional Care
- 저자
- 변숙영 한상근 류지은 이정민 김호진 임언 정익중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1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2.03.15
- 등록일
- 2022.03.16
주제어
취약청(소)년, 시설보호청소년, 자립, 취업 지원, 진로탐색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방법 및 내용 10 제2장 이론적 배경_21 제1절 취약청(소)년과 시설보호청소년 23 제2절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과 취업지원 30 제3장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및 취업지원 실태와 요구_95 제1절 실무자(자립지원전담요원) 측면 97 제2절 시설보호청소년 측면 142 제3절 자립 및 취업지원 참여 사례 166 제4장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과 취업지원 방안_191 제1절 사회 적응을 돕는 실제적 자립 기술 지원 195 제2절 자연스러운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돕는 진로탐색과 진로교육 207 제3절 실제적 일 경험을 통한 취업지원과 경제 자립 220 SUMMARY_235 참고문헌_245 부 록_259 1.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및 진로, 취업 지원 요구 조사(자립지원전담요원용) 261 2.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및 진로관련 인식 조사(시설보호청소년 및 시설보호종료청년용) 274
이 연구의 1차년도(2021년) 연구에서는 시설보호청소년 자립 및 취업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실질적 자립을 위한 취업지원 정책 제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시설보호청소년의 사회적, 경제적 자립을 돕고 사회 구성원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째, 시설보호청소년의 정의와 특성, 시설보호청소년의 취업 특성 파악을 통해 연구 범위와 방향을 규정짓는다. 둘째, 시설보호청소년의 실질적 자립지원을 위한 취업 관련 지원책의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셋째,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자립과 취업지원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이의 제한점과 개선점 분석한다. 넷째, 이러한 이론적, 실제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설보호청소년의 실질적 자립을 위한 취업지원 제고 방안을 제안한다.
Disadvantaged youth tend to be unemployed or at a disadvantage in finding employment due to being put into the labor market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Also, lacking a support system and having low self-confidence, these youth might face limited career options. Moreover, disadvantaged youth are vulnerable to be employed, so they are easily exposed to economic poverty and blind spots in the relevant laws. The study, a three-year series, mainly focuses on youth who are in the blind spots of support in terms of practical self-reliance, careers, and vocational education: ‘youths in institutional care’ are studied in the first year, ‘multicultural youths’ in the second, and ‘handicapped youths’ in the third. ...
<표 1-1> FGI 및 개별 면담 주요 내용 15 <표 1-2> 시설보호청소년 진단검사 도구 구성 17 <표 1-3> 설문조사 주요 내용 18 <표 1-4> 원외 공동연구진 및 전문가 자문단 19 <표 1-5> 세미나 주요 내용 20 <표 2-1> 연도별 보호 조치 현황 28 <표 2-2> 자립 준비 관련 개념 31 <표 2-3> 아동양육시설 중도 퇴소 청소년의 자립 경험 33 <표 2-4> 가정 외 보호아동 자립지원 법적 근거(아동복지법) 36 <표 2-5> READY? 미취학부터 보호종료 전까지 자립 준비 프로그램 39 <표 2-6> Action! 보호종료 후 자립생활 정착까지의 사례 관리 및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 39 <표 2-7> ‘국가장학금 I 유형’의 주요 사업 내용 40 <표 2-8> ‘국가근로장학금’의 주요 사업 내용 41 <표 2-9> ‘희망 디딤돌 사업(보호아동, 청소년 자립 통합지원사업)’의 주요 사업 내용 43 <표 2-10> ‘온드림 청년사회진출’ 주요 사업 내용 45 <표 2-11> 아름다운재단의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48 <표 2-12> 행복나무플러스의 주요 사업 내용 50 <표 2-13> 브라더스 키퍼의 주요 사업 내용 53 <표 2-14> ‘CJ 꿈키움 아카데미’의 주요 사업 내용 55 <표 2-15> ‘청포도(보호종료아동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센터)’의 주요 사업 내용 56 <표 2-16> ‘SK 뉴스쿨’의 주요 사업 내용 58 <표 2-17> 내일이룸학교 운영 현황 75 <표 2-18> ‘취업성공패키지’의 주요 사업 내용 77 <표 2-19> 국민취업지원제도 유형별 지원 내용 상세 비교 79 <표 2-20> ‘국민내일배움카드’의 주요 사업 내용 82 <표 2-21> 한, 미, 영, 일 시설보호아동 및 자립준비청년 취업지원 비교 93 <표 3-1> FGI 조사 대상 98 <표 3-2> 자립지원전담요원 FGI 주요 내용 98 <표 3-3> 자립지원전담요원 응답자 일반적 특성 120 <표 3-4> 자립지원 업무 중요도 및 수행도 122 <표 3-5>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기술 중요도 및 수행도 124 <표 3-6> 대상별 자립지원 프로그램 지원 기관 126 <표 3-7> 대상별 자립지원 프로그램 주요 내용 126 <표 3-8> 대상별 자립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식 127 <표 3-9> 대상별 자립지원 프로그램 운영 기간 128 <표 3-10> 시설보호청소년이 선호하는 자립지원 정책 129 <표 3-11>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인식하는 가장 효과적인 자립지원 정책 129 <표 3-12> 시설보호청소년의 졸업 후 진학 및 취업 비율 130 <표 3-13> 진로 및 취업지원 업무 중요도 및 수행도 131 <표 3-14> 시설보호청소년의 전반적인 진로 성숙도 및 자아 존중감 수준 133 <표 3-15> 대상별 진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지원 기관 134 <표 3-16> 대상별 진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주요 내용 134 <표 3-17> 대상별 진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식 135 <표 3-18> 대상별 진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기간 136 <표 3-19> 시설보호청소년이 선호하는 진로 및 취업지원 정책 137 <표 3-20>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인식하는 가장 효과적인 진로 및 취업지원 정책 137 <표 3-21> 진로 및 취업지도 시 애로점 138 <표 3-22> 시설보호청소년 면담 대상 142 <표 3-23> 시설보호청소년 및 자립준비청년 면담 주요 내용 143 <표 3-24> 시설보호청소년 응답자 일반적 특성 157 <표 3-25>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 158 <표 3-26> 시설보호청소년의 상태별 자립 기술 수준 차이 159 <표 3-27> 시설보호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수준 160 <표 3-28> 시설보호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T점수 분포 161 <표 3-29> 시설보호청소년의 주요 진로 희망 162 <표 3-30> 시설보호청소년의 진로탐색 준비 행동 특성 163 <표 3-31> 본 연구에 참여한 자립준비청년 현황 166 <표 4-1> ‘자립 정보 ON’의 고도화 방안 206 <표 4-2> 진로탐색 기술 프로그램 구성 현황 208 <표 4-3> 직장생활 기술 프로그램 구성 현황 209 <표 4-4> 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진로탐색 기술 및 직장생활 기술 프로그램 비교 210 <표 4-5> 독일 뫼네제 학교의 통합적 진로지도 프로그램 사례 213 <표 4-6> 시설보호청소년을 위한 커리어넷의 맞춤형 진로상담 기능 개발(안) 217 <표 4-7>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사회적배려대상자를 위한 진로교육 관계자 연수 현황 219 <표 4-8> 진로 경로별 정책 연계(안) 224 <표 4-9> 주요 내용별 추진 정책 체계도 230 <표 4-10> 협력부처 및 기관별 협력 사안 232 [그림 1-1] 2021~2023 연구 추진 체계도 12 [그림 1-2] 2021년 연구 추진 체계도 13 [그림 2-1] 취업성공패키지 단계별 지원 내용 76 [그림 2-2] 2021년 청년도전지원사업 추진 체계 80 [그림 2-3]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운영 모형 84 [그림 3-1] 자립지원 업무에 대한 IPA 매트릭스 123 [그림 3-2]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기술에 대한 IPA 매트릭스 125 [그림 3-3] 진로 및 취업지원 업무에 대한 IPA 매트릭스 132 [그림 3-4] 시설보호종료청소년을 위한 취업 및 자립지원 프로그램의 분류 168 [그림 4-1]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및 취업지원 방안 194 [그림 4-2] 진로경로별 정책 연계(안) 22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취약청년의 자립과 취업 지원 방안(2021): 시설보호청소년 | 2021.01.01~202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