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학력별 고용률 추이(전체 연령) 11
<표 2-2> 학력별 고용률 추이(19∼34세) 12
<표 2-3> 학력별 실업률 추이(전체 연령) 14
<표 2-4> 학력별 실업률 추이(19∼34세) 15
<표 2-5>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근로소득(실질) 추이(19~34세) 17
<표 2-6>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상용직 비중 추이(19~34세) 19
<표 2-7>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 비중 추이(19~34세) 21
<표 2-8>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3
<표 2-9>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비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5
<표 2-10> 권역별 4년제 대졸자 내부 수급률 33
<표 2-11> 지역별 4년제 대졸자 내부 수급률 35
<표 3-1> 종속변수 정의 49
<표 3-2> 설명변수 정의 51
<표 3-3> 기초통계(2015년~2018년) 52
<표 3-4> 임금, 유보임금, 유보임금오차, 학점 기초통계 59
<표 3-5> 지역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결정요인(수도권 취업=1, 기타지역 취업=0) 59
<표 3-6> 지역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결정요인(수도권 취업=1, 역외 취업=0) 66
<표 3-7> 지역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결정요인(수도권 취업=1, 역내 취업=0) 70
<표 3-8> 중위단위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 75
<표 4-1> 종속변수 정의 88
<표 4-2> 설명변수 정의 90
<표 4-3> 노동시장 성과(상용직 여부) 95
<표 4-4> 노동시장 성과(정규직 여부) 97
<표 4-5> 노동시장 성과(전공-직무 일치 정도) 99
<표 4-6> 임금과 노동이동 거리와의 관계(노동시장 성과변수 통제 후) 101
<표 4-7> 실제임금과 유보임금 일치 여부 103
<표 4-8> 유보임금 초과율 105
<표 4-9> 비수도권 일반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기준=30km 미만) 109
<표 5-1> 청년층(15~34세) 지역 간 이동 비중 118
<표 5-2> 청년층 연령별 지역 간 이동 비중 119
<표 5-3> 2020년 광역권별 인구이동 120
<표 5-4> 대학 진학을 위한 광역권별 이동 현황(일반대학 진학자) 122
<표 5-5> 취업을 위한 광역권별 이동 현황(일반대학 졸업자) 124
<표 5-6> 지역이동에 따른 유형 126
<표 5-7> 지역이동 유형별 비중 128
<표 5-8> 유형별 현 직장 월평균 근로소득 130
<표 5-9> 유형별 개인 특성 132
<표 5-10> 지역이동의 임금효과 138
<표 5-11> 연도별 지역이동의 임금효과 141
<표 5-12> 지역이동의 분위별 임금효과 145
<표 5-13> 지역이동 유형별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149
<표 6-1> 지역인재 집단 FGI 내용(안) 156
<표 6-2> 지역인재 채용 전문가 집단 FGI 내용(안) 157
[그림 2-1] 지역별 대졸자 고용률 추이(19~34세) 13
[그림 2-2] 지역별 대졸자 실업률 추이(19~34세) 16
[그림 2-3]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근로소득(실질) 추이(19~34세) 18
[그림 2-4]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상용직 비중 추이(19~34세) 20
[그림 2-5]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 비중 추이(19~34세) 22
[그림 2-6]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4
[그림 2-7]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비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6
[그림 2-8] 유출률 대비 순유출률과 수도권유출률(일반대학) 29
[그림 2-9] 유출률 대비 순유출률과 수도권유출률(전문대학) 31
[그림 2-10] 지역별 내부 수급률 추이(19~34세) 36
[그림 3-1] 수도권 취업 선택확률(수도권 취업=1, 기타지역 취업=0) 64
[그림 3-2] 수도권 취업 선택확률(수도권 취업=1, 역외 취업=0) 69
[그림 3-3] 수도권 취업 선택확률(수도권 취업=1, 역내 취업=0) 73
[그림 3-4] 지역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 선택확률(수도권, 역외, 역내) 77
[그림 3-5] 지역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 선택확률(수도권, 권역 외, 권역 내)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