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분석

저자
안우진 주휘정 백원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21-2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2.29
등록일
2022.03.24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지역대학, 지역이동, 노동시장, 지역균형발전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4
제2장  대학 졸업자 노동시장 및 노동이동 분석_7
제1절 대졸자 노동시장 현황	9
제2절 지역인재 노동이동 분석	27
제3절 소결	37
제3장  지역대학 졸업자 노동이동 결정요인 분석_41
제1절 서론	4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4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48
제4절 분석 결과	57
제5절 소결	78
제4장  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광역성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_81
제1절 서론	8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85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88
제4절 분석 결과	94
제5절 소결	110
제5장  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분석_113
제1절 서론	115
제2절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 현황	117
제3절 분석자료	125
제4절 실증 모형과 분석 결과	134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51
제6장  지역인재의 취업과 채용에 대한 FGI 분석_153
제1절 조사 개요	155
제2절 지역인재 집단 FGI 분석 결과	158
제3절 지역인재 채용 전문가 FGI 분석 결과	166
제4절 소결	176
제7장  결론 및 제언_179
제1절 논의의 요약	181
제2절 정책 제언	186
제3절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 제언	191
참고문헌_195  
부  록_205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인재 유출입 실태와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일반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와의 실증분석을 통해 지역인재 유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졸업자 노동시장의 과거와 현재 상황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본 후 어떠한 요인이 지역대학 졸업자의 유출입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 지역인재 양성에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와의 실증 결과를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지역인재와 지역인재 채용 전문가 집단에 대한 FGI를 통해 지역인재 유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한다.
...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s of the vicious cycle of brain drain of the provinces and suggests policy measur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abor mobility of university graduates. ...
<표 2-1> 학력별 고용률 추이(전체 연령)	11
<표 2-2> 학력별 고용률 추이(19∼34세)	12
<표 2-3> 학력별 실업률 추이(전체 연령)	14
<표 2-4> 학력별 실업률 추이(19∼34세)	15
<표 2-5>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근로소득(실질) 추이(19~34세)	17
<표 2-6>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상용직 비중 추이(19~34세)	19
<표 2-7>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 비중 추이(19~34세)	21
<표 2-8>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3
<표 2-9>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비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5
<표 2-10> 권역별 4년제 대졸자 내부 수급률	33
<표 2-11> 지역별 4년제 대졸자 내부 수급률	35
<표 3-1> 종속변수 정의	49
<표 3-2> 설명변수 정의	51
<표 3-3> 기초통계(2015년~2018년)	52
<표 3-4> 임금, 유보임금, 유보임금오차, 학점 기초통계 	59
<표 3-5> 지역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결정요인(수도권 취업=1, 기타지역 취업=0)	59
<표 3-6> 지역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결정요인(수도권 취업=1, 역외 취업=0)	66
<표 3-7> 지역대학 졸업자의 지역이동 결정요인(수도권 취업=1, 역내 취업=0)	70
<표 3-8> 중위단위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	75
<표 4-1> 종속변수 정의	88
<표 4-2> 설명변수 정의	90
<표 4-3> 노동시장 성과(상용직 여부)	95
<표 4-4> 노동시장 성과(정규직 여부)	97
<표 4-5> 노동시장 성과(전공-직무 일치 정도)	99
<표 4-6> 임금과 노동이동 거리와의 관계(노동시장 성과변수 통제 후)	101
<표 4-7> 실제임금과 유보임금 일치 여부	103
<표 4-8> 유보임금 초과율	105
<표 4-9> 비수도권 일반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기준=30km 미만)	109
<표 5-1> 청년층(15~34세) 지역 간 이동 비중	118
<표 5-2> 청년층 연령별 지역 간 이동 비중	119
<표 5-3> 2020년 광역권별 인구이동	120
<표 5-4> 대학 진학을 위한 광역권별 이동 현황(일반대학 진학자)	122
<표 5-5> 취업을 위한 광역권별 이동 현황(일반대학 졸업자)	124
<표 5-6> 지역이동에 따른 유형	126
<표 5-7> 지역이동 유형별 비중	128
<표 5-8> 유형별 현 직장 월평균 근로소득	130
<표 5-9> 유형별 개인 특성	132
<표 5-10> 지역이동의 임금효과	138
<표 5-11> 연도별 지역이동의 임금효과	141
<표 5-12> 지역이동의 분위별 임금효과	145
<표 5-13> 지역이동 유형별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149
<표 6-1> 지역인재 집단 FGI 내용(안)	156
<표 6-2> 지역인재 채용 전문가 집단 FGI 내용(안)	157
[그림 2-1] 지역별 대졸자 고용률 추이(19~34세)	13
[그림 2-2] 지역별 대졸자 실업률 추이(19~34세)	16
[그림 2-3]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근로소득(실질) 추이(19~34세)	18
[그림 2-4]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상용직 비중 추이(19~34세)	20
[그림 2-5]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임시·일용직 비중 추이(19~34세)	22
[그림 2-6]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4
[그림 2-7] 지역별 대졸 임금근로자 비정규직 비중 추이(19~34세)	26
[그림 2-8] 유출률 대비 순유출률과 수도권유출률(일반대학)	29
[그림 2-9] 유출률 대비 순유출률과 수도권유출률(전문대학)	31
[그림 2-10] 지역별 내부 수급률 추이(19~34세)	36
[그림 3-1] 수도권 취업 선택확률(수도권 취업=1, 기타지역 취업=0)	64
[그림 3-2] 수도권 취업 선택확률(수도권 취업=1, 역외 취업=0)	69
[그림 3-3] 수도권 취업 선택확률(수도권 취업=1, 역내 취업=0)	73
[그림 3-4] 지역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 선택확률(수도권, 역외, 역내)	77
[그림 3-5] 지역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 선택확률(수도권, 권역 외, 권역 내)	7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지역대학 졸업자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분석 2021.06.30~2021.12.29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