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직업능력개발 매체로서 한국직업방송 운영 및 역할 연구
The Role and Operation of TV WORKNET: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a Redesign of a Path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 저자
- 김봄이 이수경 정란 고은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1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11.25
- 등록일
- 2022.04.05
주제어
한국직업방송, 평생직업능력개발, 직업교육훈련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4 제3절 연구절차 및 방법 6 제2장 한국직업방송의 역할 및 한계_7 제1절 한국직업방송의 연혁과 역할 9 제2절 한국직업방송 현황 19 제3절 한국직업방송의 한계 47 제3장 최근 뉴미디어 방송 트렌드 분석_57 제1절 뉴미디어의 특성 59 제2절 SBS의 ‘스브스뉴스’ 65 제3절 EBS의 ‘자이언트 펭TV’ 70 제4절 소결 75 제4장 향후 한국직업방송 사업수행 여건 분석_81 제1절 한국직업방송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 83 제2절 매체별 직업방송 사업운영 여건 분석 101 제3절 직업 관련 채널 운영 형태에 따른 여건 분석 119 제5장 결 론_135 제1절 종합논의 137 제2절 한국직업방송의 도전 전략 141 SUMMARY_157 참고문헌_161
본 연구는 평생직업능력개발 매체로서 한국직업방송 운영 진단 및 역할 탐색을 통하여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는 한국직업방송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국직업방송이 되기 위해서는 한국직업방송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한국직업방송의 역할 및 기능에 관한 환경분석을 실시한다. 현 상황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을 기반으로, 관련 사례 소개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한국직업방송의 운영 모델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V WORKNET is a channel operated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South Korea to support the government's "public employment service" by providing job and employment information, job skills enhancement, and career guidance on TV. As the only channel geared toward vocational skill development in South Korea, it has thus far contributed to improving job competencies nationwide. Notably, 2,160 programs (as of 2017) have been produced annually for young job seekers, career-interrupted women, elderly people (who are scheduled to retire), and vulnerable groups. These programs consist of support for vocational skill development such as lectures on employment qualifications, programs for youth vocational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employment support, etc., and are distributed at no charge to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universities, businesse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raining centers. ...
<표 2-1> 한국직업방송 연혁 10 <표 2-2> 한국직업방송 프로그램 보유 현황(공익목적 무상보급용) 11 <표 2-3> 최근 10년간 프로그램 무상보급 현황 12 <표 2-4> 프로그램 무상보급 편수 및 기관 수 12 <표 2-5> 한국직업방송의 역할 14 <표 2-6> 응답자 특성별 TV 방송 서비스 주 시청 방식(복수응답) 23 <표 2-7> 한국직업방송 시청자 특성별 주 시청 방식 26 <표 2-8> 생애 단계별 맞춤형 일자리 관련 대표 프로그램 30 <표 2-9> 연도별 특집 프로그램 제작 내역 35 <표 2-10> 취업ㆍ직업ㆍ직무능력 관련 대표 프로그램 36 <표 2-11> 한국직업방송의 정부 부처의 공익성 캠페인 영상,홍보물 송출 실적 40 <표 2-12> 공익성을 갖춘 일자리 정책 연계 대표 프로그램 40 <표 2-13> 멀티플랫폼(Multi-Platform)에 맞는 특화된 서비스 제공 43 <표 2-14> 시청자 및 전문가 참여 프로그램 45 <표 2-15> 중소기업 지원 관련 프로그램 47 <표 2-16> 2020년 월별 한국직업방송 및 유사 채널 시청률(순위) 48 <표 2-17> 한국직업방송 및 유사 채널 인지도 49 <표 3-1> ‘자이언트 펭TV’ 2020년 수상 내역 73 <표 4-1> 운영 목표 및 정체성 관련 요구사항(위탁방송 사업자) 90 <표 4-2> 프로그램 및 운영 평가 관련 요구사항(위탁방송 사업자) 91 <표 4-3> 한국직업방송 발전을 위한 운영 과제 관련 요구사항(위탁방송 사업자) 92 <표 4-4> 프로그램 제작 및 편성 방향 관련 요구사항(위탁방송 사업자) 93 <표 4-5> 미래지향적 신규 프로그램 제작 방향 관련 요구사항(위탁방송 사업자) 94 <표 4-6>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홍보 방향 관련 요구사항(위탁방송 사업자) 95 <표 4-7> 운영 목표 및 정체성 관련 요구사항(전문가 및 모니터 요원) 96 <표 4-8> 프로그램 및 운영 평가 관련 요구사항(전문가 및 모니터 요원) 97 <표 4-9> 한국직업방송 발전을 위한 운영 과제 관련 요구사항(전문가 및 모니터 요원) 98 <표 4-10> 프로그램 제작 및 편성 방향 관련 요구사항(전문가 및 모니터 요원) 99 <표 4-11> 미래지향적 신규 프로그램 제작 방향 관련 요구사항(전문가 및 모니터 요원) 100 <표 4-12>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홍보 방향 관련 요구사항(전문가 및 모니터 요원) 100 <표 4-13> 조사 대상 가구 분포 102 <표 4-14> 조사 대상 개인 분포 103 <표 4-15> 케이블방송 및 IPTV 가입 현황 108 <표 4-16> 정부주관 방송 채널 운영 현황 122 <표 4-17> 한국직업방송과 YTN 사이언스 비교 122 <표 4-18> 과학기술전문방송 위탁운영 사업자 세부 평가지표(2021. 9.) 124 <표 4-19> 한국직업방송 위탁운영 사업자 세부 평가지표(2019. 1.) 127 <표 4-20> 국방홍보원 자체사업 평가지표 131 <표 4-21> 국방홍보원 평가지표 정의 및 측정 방법 132 <표 4-22> 2020년도 한국직업방송 사업 평가기준 133 <표 5-1> 국방TV와 한국직업방송 평가지표 152 <표 5-2> 과학기술전문방송 및 한국직업방송 위탁운영 평가기준 153 [그림 2-1]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참여율(2020년 기준) 15 [그림 2-2] 강의 방식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포 16 [그림 2-3] 강의 방식별 학습자 분포 17 [그림 2-4] 한국직업방송 송출 플랫폼 18 [그림 2-5] 한국직업방송 채널 및 플랫폼 소개 18 [그림 2-6] 유료방송 시청자의 TV 방송 서비스 주 시청 방식(복수응답) 20 [그림 2-7] 최근 3년간 한국직업방송 시청자의 TV 방송 서비스 주 시청 방식 추이(복수응답) 21 [그림 2-8] 최근 3년간 한국직업방송 주 시청 방식 추이 24 [그림 2-9] 시청자의 전체 TV 시청시간 27 [그림 2-10] 한국직업방송 유튜브 화면 43 [그림 2-11] 한국직업방송 시청자의 한국직업방송 인지 경로 51 [그림 2-12] 최근 3년간 한국직업방송 인지 경로 추이 52 [그림 2-13] 뉴스에 접하기 위해 활용하는 도구 53 [그림 2-14] 국내 주요 소셜미디어와 메시지 54 [그림 3-1] TV를 통하여 뉴스를 시청하는 비율 61 [그림 3-2] 인쇄 매체를 통하여 뉴스를 시청하는 비율 62 [그림 3-3] 유료 온라인 뉴스 사용 비율 63 [그림 3-4] SBS 디지털뉴스랩 대표 뉴미디어 67 [그림 3-5]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69 [그림 3-6] ‘자이언트 펭’ 프로그램 소개 71 [그림 3-7] ‘펭수’의 자기소개서 72 [그림 4-1] 최근 3년간 한국직업방송의 방송 활동 강화 분야 추이(복수응답) 85 [그림 4-2] 중요도 대비 만족도 IPA 분석(2020년 직업방송 시청자 조사) 86 [그림 4-3] 공공/공익 채널별 필요성 87 [그림 4-4] 미디어의 공공성 추구 필요 채널(1~3순위 복수응답) 88 [그림 4-5] 미디어의 공익성 추구 필요 채널(1~3순위 복수응답) 89 [그림 4-6] 가구 매체 보유 현황 105 [그림 4-7] 개인 매체 보유율 106 [그림 4-8] 연령별 매체 보유율 107 [그림 4-9] 유료방송 가입 가구 비율 108 [그림 4-10] 매체별 이용률 109 [그림 4-11] 매체 이용 빈도 및 연령별 TV/스마트폰 이용 빈도 110 [그림 4-12] 일상생활 필수 매체 111 [그림 4-13] 연령별 일상생활 필수 매체 111 [그림 4-14] 스마트폰 미디어 기능 사용 빈도 112 [그림 4-15] 연령별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음성통화 제외) 113 [그림 4-16] OTT 이용률 114 [그림 4-17] 연령별 OTT 이용률 및 연령별 주요 이용률 115 [그림 4-18] OTT로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외 동영상 유형(중복응답) 116 [그림 4-19] OTT 이용행태 117 [그림 4-20] 1인 가구 가구주 연령대별 TV 수상기 보유율 118 [그림 4-21] 1인 가구 연령대별 스마트기기 이용률 118 [그림 4-22] 1인 가구 연령대별 OTT 이용행태 119 [그림 5-1] 한국직업방송의 도전 전략 14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평생직업능력개발매체로서 한국직업방송 운영 및 역할 연구 | 2021.05.26~2021.11.25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