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직업교육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 연구(2021)
A Study on a Paradigm Shift Regarding Managing Faculty of New Industri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21)
- 저자
- 김종욱 김한성 정재화 김경희 한애리 주휘정 전종호 안재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1-1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1.12.31
- 등록일
- 2022.04.05
주제어
4차산업혁명, 고등직업교육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8 제3절 연구의 범위 16 제2장 신산업분야 인력 현황 및 정책 분석_21 제1절 신산업분야 산업 및 인력 현황 23 제2절 신산업분야 정부 인력양성 정책 47 제3절 소결 58 제3장 고등직업교육기관 신산업분야 학과 및 교원 현황 분석_61 제1절 고등직업교육기관 신산업분야 학과 현황 및 교육과정운영 사례 분석 63 제2절 고등직업교육기관 신산업분야 교원 현황 및 교원운영사례 분석 94 제3절 소결 142 제4장 신산업분야 기업인력 수요 및 고등직업교육기관 교원 요구 분석_151 제1절 신산업분야 기업인력 현황 및 요구 분석 153 제2절 고등직업교육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요구 분석 182 제3절 소결 221 제5장 결론 및 제언_227 제1절 결론 229 제2절 교원운영 개선 방안 241 제3절 정책 제언 251 Summary_257 참고문헌_277 부 록_285 [부록 1]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교육훈련 및교원운영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지 287 [부록 2] 신산업분야 기업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지 304 [부록 3]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도출을 위한 FGI 질문지(교원 대상) 317 [부록 4]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도출을 위한 FGI 질문지(기업 대상) 332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신산업분야의 직업교육훈련을 실행하기 위해 고등직업훈련기관인 전문대학/폴리텍대학의 교원운영(자격, 선발, 역량개발, 평가/보상)과 관련된 실태 및 이슈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신산업분야의 교원운영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o cultivate a creative and innovative middle-skilled labor force at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info-communications-based industrial infrastructure changes are taking pla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te of faculty management (qualification, selection,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compensation) in key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vocational colleges and polytechnics and to analyze the associated issues - for an urgent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faculty management system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ew industrie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challenges securing faculty members who possess both expertise 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competencies as an educator; thus, solutions to such foreseeable issues should be actively sough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faculty management (qualification, selection,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compensation)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vocational colleges and polytechnics, with the goal to propos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faculty management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otable in the implement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in new industries that are constantly changing as a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표 1-1> 전문가 면담 및 검토 개요 10 <표 1-2> 신산업분야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 내용 12 <표 1-3> 신산업분야 기업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 내용 13 <표 1-4> 전문가 FGI 개요 14 <표 1-5> 정부부처 및 기관 발표 신산업분야 17 <표 1-6> 신산업분야 학과 선정 키워드 19 <표 2-1> 향후 5년간(’21~’25 누적) 신규 인력수요 전망 38 <표 2-2> 바이오산업 3대 분류 및 주요 내용 41 <표 2-3> ’21~’25 사스템반도체 분야 신규 인력수요 전망 46 <표 2-4> 신기술 9개 분야 인력수급 전망 48 <표 2-5> 선정대학 특화 신산업분야(총 9개 분야) 49 <표 2-6> 향후 5년간 BIG3+인공지능 분야 신규인력수요 전망 50 <표 2-7> 향후 5년간 4대 분야의 인재양성 규모(안) 51 <표 2-8>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 인력양성 지원계획(안) 52 <표 2-9> 2021년 고용노동부 인력양성 지원계획(안) 56 <표 2-10>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 인력양성 지원계획(안) 57 <표 3-1>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학교 현황 64 <표 3-2>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학과 현황 선정 범위 65 <표 3-3>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학과 현황 65 <표 3-4>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학교 및 학과 선정 66 <표 3-5> 전문대학/폴리텍대학 빅데이터 분야 교육목표 68 <표 3-6> 전문대학/폴리텍대학 빅데이터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69 <표 3-7>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교육목표 70 <표 3-8>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71 <표 3-9>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인공지능 분야 교육목표 72 <표 3-10>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인공지능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73 <표 3-11>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소프트웨어 분야 교육목표 74 <표 3-12>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소프트웨어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75 <표 3-13> 전문대학/폴리텍대학 IoT가전 분야 교육목표 76 <표 3-14> 전문대학/폴리텍대학 IoT가전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76 <표 3-15>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차세대 반도체 분야 교육목표 77 <표 3-16>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차세대 반도체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78 <표 3-17> 전문대학/폴리텍대학 미래 자동차 분야 교육목표 79 <표 3-18> 전문대학/폴리텍대학 미래 자동차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80 <표 3-19> 전문대학/폴리텍대학 바이오 헬스 분야 교육목표 81 <표 3-20> 전문대학/폴리텍대학 바이오 헬스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81 <표 3-21> 전문대학/폴리텍대학 AR・VR 분야 교육목표 83 <표 3-22> 전문대학/폴리텍대학 AR・VR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83 <표 3-23>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재생 에너지 분야 교육목표 85 <표 3-24>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재생 에너지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85 <표 3-25>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스마트 팩토리 분야 교육목표 86 <표 3-26>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스마트 팩토리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87 <표 3-27>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지능형 로봇 분야 교육목표 88 <표 3-28>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지능형 로봇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88 <표 3-29> 전문대학/폴리텍대학 항공・드론 분야 교육목표 90 <표 3-30> 전문대학/폴리텍대학 항공・드론 분야 교과목 편성 및 비율 90 <표 3-31>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전체 교과목 편성 및 비율 92 <표 3-32> 주요 지표의 기술통계량 95 <표 3-33>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96 <표 3-34>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96 <표 3-35>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97 <표 3-36>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확보율 97 <표 3-37>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확보율 98 <표 3-38> 소재지별 전임교원 확보율 98 <표 3-39> 강의담당 학점 현황 99 <표 3-40>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 100 <표 3-41>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 100 <표 3-42>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 101 <표 3-43> 전임교원 연구비 현황 101 <표 3-44>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지원액 102 <표 3-45>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지원액 102 <표 3-46>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지원액 103 <표 3-47>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103 <표 3-48>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104 <표 3-49>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104 <표 3-50> 5년 이내 신규임용 전임교원 경력 현황 105 <표 3-51> 학교 유형별 5년 이내 신규임용 전임교원 경력 현황 106 <표 3-52> 설립 유형별 5년 이내 신규임용 전임교원 경력 현황 107 <표 3-53> 소재지별 5년 이내 신규임용 전임교원 경력 현황 108 <표 3-54> 주요 지표의 기술통계량 110 <표 3-55> 신산업분야 학과의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111 <표 3-56> 신산업분야 학과의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112 <표 3-57> 신산업분야 학과의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112 <표 3-58> 신산업분야 학과와 다른 학과와의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113 <표 3-59> 신산업분야 학과와 공학계열, 비공학계열 학과와의 전임교원1인당 학생 수 113 <표 3-60> 신산업분야 학과의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 114 <표 3-61> 신산업분야 학과의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 114 <표 3-62> 신산업분야 학과의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강의학점 115 <표 3-63> 신산업분야 학과와 다른 학과(전체)와의 전임교원 1인당강의학점 비교 115 <표 3-64> 신산업분야 학과와 공학계열, 비공학계열 학과와의 전임교원1인당 강의학점 비교 116 <표 3-65> 신산업분야 학과의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117 <표 3-66> 신산업분야 학과의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117 <표 3-67> 신산업분야 학과의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118 <표 3-68> 신산업분야 학과와 다른 학과(전체)와의 전임교원 1인당연구비 비교 118 <표 3-69> 신산업분야 학과와 공학계열, 비공학계열 학과와의 전임교원1인당 연구비 비교 119 <표 3-70> 신산업분야 학과의 학교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120 <표 3-71> 신산업분야 학과의 설립 유형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120 <표 3-72> 신산업분야 학과의 소재지별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121 <표 3-73> 신산업분야 학과와 다른 학과(전체)와의 전임교원 1인당연구실적 비교 121 <표 3-74> 신산업분야 학과와 공학계열, 비공학계열 학과와의 전임교원1인당 연구실적 비교 122 <표 3-75> 신산업분야 학과의 학교 유형별 5년 이내 신규임용 교원 123 <표 3-76> 신산업분야 학과의 설립 유형별 5년 이내 신규임용 교원 123 <표 3-77> 신산업분야 학과의 소재지별 5년 이내 신규임용 교원 124 <표 3-78> 신산업분야 학과와 다른 학과(전체)와 5년 이내 신규임용교원 비교 124 <표 3-79> 신산업분야 학과와 공학계열, 비공학계열 학과와의 5년 이내신규임용 교원 비교 125 <표 3-80> 신산업분야 사례대학 현황 126 <표 3-81> 차세대 반도체 분야 교원 역량개발 방법과 활용 128 <표 3-82> 차세대 반도체 분야 교원 평가 129 <표 3-83> 차세대 반도체 분야 산학협력 활동 130 <표 3-84> 바이오 헬스 분야 교원 역량개발 방법과 활용 132 <표 3-85> 바이오 헬스 분야 교원 평가 132 <표 3-86> 바이오 헬스 분야 산학협력 활동 133 <표 3-87> 미래 자동차 분야 교원 역량개발 방법과 활용 135 <표 3-88> 미래 자동차 분야 교원 평가 135 <표 3-89> 미래 자동차 분야 산학협력 활동 136 <표 3-90> 소프트웨어 분야 교원 역량개발 방법과 활용 138 <표 3-91> 소프트웨어 분야 교원 평가 138 <표 3-92> 소프트웨어 분야 산학협력 활동 139 <표 3-93> 빅데이터 분야 교원 역량개발 방법과 활용 140 <표 3-94> 빅데이터 분야 교원 평가 141 <표 3-95> 빅데이터 분야 산학협력 활동 141 <표 3-96> 전문대학/폴리텍대학 신산업분야 교과목 비중 143 <표 3-97> 교원운영 사례대학의 특징 147 <표 4-1> 설문응답 기업 특성 154 <표 4-2> 설문조사지 영역 및 내용 155 <표 4-3> 신산업분야 담당인력 현황 156 <표 4-4> 신산업분야 담당인력 직무별 현황 158 <표 4-5> 신산업분야 담당인력 직무별 부족인원 159 <표 4-6> 신산업분야 담당인력 직무별 채용예정인력 163 <표 4-7> 산학협력 맺고 있는 학교 및 기관 종류 167 <표 4-8> 신산업분야 신입인력 핵심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 173 <표 4-9> 신산업분야 신입인력 핵심직무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175 <표 4-10> 신산업분야 신입인력 교과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 176 <표 4-11> 신산업분야 신입인력 교과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178 <표 4-12> 조사 대상 현황 182 <표 4-13> 조사 내용 및 설문지 구성 183 <표 4-14> 조사 응답자 일반 현황 184 <표 4-15> 현재 교원 자격기준의 신산업분야 교원 자격기준에 대한 적절성 185 <표 4-16> 신산업분야의 교원 자격기준 중 가장 중요한 항목 186 <표 4-17> 신산업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가장 개선이 필요한 항목 187 <표 4-18> 교원 선발 심사에 대한 공정성 188 <표 4-19> 신규교원 선발 대상학과 선정 기준 189 <표 4-20> 신산업분야 교원 선발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 190 <표 4-21> 신산업분야 교원 선발 시 전공심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항목 191 <표 4-22> 신산업분야 교원 선발 시 면접심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항목 192 <표 4-23> 신산업분야 교원 선발 시 산업체 경력 겸비한 겸임교원 확대에 대한 인식 193 <표 4-24> 산업체 전문가를 겸임교원으로 참여 유도 항목 194 <표 4-25> 신산업분야 교원 선발 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195 <표 4-26> 신산업분야 교원 선발 시 애로사항에 대한 인식 196 <표 4-27>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 198 <표 4-28>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직무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200 <표 4-29> 교과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 201 <표 4-30> 교과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202 <표 4-31> 직무영역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 203 <표 4-32> 직무영역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205 <표 4-33> 교원 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결과 206 <표 4-34> 교원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208 <표 4-35> 교원 연수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여 횟수 209 <표 4-36> 교원 연수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만족도 210 <표 4-37> 신산업분야 전공 내용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항목 211 <표 4-38> 신산업분야 역량개발 참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 항목 212 <표 4-39> 소속 대학의 역량개발 지원의 도움 정도 213 <표 4-40> 신산업분야 교원의 평가 영역 차별화 인식 214 <표 4-41> 신산업분야 교원의 평가에 따른 보상의 적절성 215 [그림 1-1] 신산업분야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과 개편 방향 5 [그림 2-1] 빅데이터 국내외 시장 동향 24 [그림 2-2] 국가별 데이터센터 구축 현황 25 [그림 2-3] 2020 데이터산업 직무별 인력 현황 및 수요 27 [그림 2-4] 4G와 5G 비교 28 [그림 2-5] 연차별 세계시장 전망(2019-2026) 29 [그림 2-6] 분야별 세계시장 전망(2026) 29 [그림 2-7] 융합 서비스별 세계시장 규모 전망(2026) 30 [그림 2-8] 6G 기술 설명 31 [그림 2-9] 6G 목표와 투자 전략 31 [그림 2-10] 5G 기술로 인한 일자리 창출 규모 32 [그림 2-11] 해외 인공지능 시장 규모 34 [그림 2-12] 글로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시장(2021-2025) 35 [그림 2-13] 2021년 인공지능 하드웨어 상위 5개국 36 [그림 2-14] 국내 인공지능 시장 규모 37 [그림 2-15] 2030년 미래차 시장 전망 39 [그림 2-16] 최근 10년간 타 산업과 바이오산업 매출 현황(국내) 42 [그림 2-17] 최근 10년간 분야별 바이오인력 현황 43 [그림 2-18]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산업 전망 44 [그림 2-19]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전망 45 [그림 2-20] AI・SW 핵심인재 10만 양성계획(누적) 53 [그림 4-1] 신산업분야 부족인원 해소 방안 160 [그림 4-2] 신산업분야 부족인원 해소를 못한 주된 이유 161 [그림 4-3] 신산업분야 부족인원으로 인한 경영상의 애로 162 [그림 4-4] 일반분야 및 신산업분야 신입직원 중요 항목 비교 164 [그림 4-5] 신산업분야 신입직 채용의 가장 큰 어려움 165 [그림 4-6] 향후 신산업분야 신입직 채용 시 우선 채용 전공 166 [그림 4-7] 산학협력 전반적 만족도 167 [그림 4-8] 직업계고, 전문대학, 폴리텍대학과의 산학협력 이유 168 [그림 4-9] 일반대학교, 대학원과의 산학협력 이유 169 [그림 4-10] 산학협력 인력양성을 위해 교원에게 요구하고 싶은 사항 170 [그림 4-11] 산학협력 인력채용을 위해 교원에게 요구하고 싶은 사항 171 [그림 4-12] 산학협력 시 가장 어려운 점 171 [그림 4-13] 신산업분야 신입인력 핵심직무역량의 The Locus for Focus결과 174 [그림 4-14] 신산업분야 신입인력 교과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결과 177 [그림 4-15]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직무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결과 199 [그림 4-16] 교과역량 요구 분석에 대한 The Locus for Focus 결과 202 [그림 4-17] 직무영역 요구 분석에 대한 The Locus for Focus 결과 204 [그림 4-18] 교원 역량 요구 분석에 대한 The Locus for Focus 결과 207 [그림 5-1] 고등직업교육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개선 방안 241 [그림 5-2] 고등직업교육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정책 제언 25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직업교육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 연구(2021) | 2021.01.01~202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