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VET) 분야 메타버스 활용 방안 연구

저자
전종호 고요한 주인중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2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0.10
등록일
2022.11.09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메타버스, 직업교육훈련, metaverse, VET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절차 및 방법	8
제2장 메타버스 현황 분석_17
제1절 메타버스 개념 및 산업 전망	19
제2절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47
제3절 메타버스 국내외 정책	83
제4절 시사점	96
제3장 메타버스 직업교육훈련 활용 방안_99
제1절 활용 방안	101
제2절 활용 방안 적용 예시	118
제4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33
제1절 결론	135
제2절 정책 제언	142
참고문헌_147
이 연구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한 활용 방안(가이드)의 제공과 함께 관련 정책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훈련의 유형을 이론수업, 실습수업, 직무실습(OJT), 취업진로상담 등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교육훈련에 메타버스를 활용시 참고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방안은 교육훈련기관에서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간결한 지침 형태로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 제시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이론과 활용 사례를 충분히 조사하여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참고 자료로써의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한다.
<표 1-1> (연구방법 2단계) 현황 파악 및 현장 의견 수렴 	10
<표 1-2> (연구방법 3단계) 메타버스 활용 사례 조사	 11
<표 1-3> (연구방법 4단계)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방안(안) 도출	13
<표 1-4> (연구방법 4단계) FGI & FGD 주요 논의 내용 	14
<표 1-5> (연구방법 5단계) 정책 제언	 15
<표 2-1>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의 긍정적 측면	 49
<표 2-2>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의 부정적 측면	 50
<표 2-3>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시 고려사항	 51
<표 2-4>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사례	 54
<표 2-5> 메타버스 관련 국내 주요 정책	 84
<표 2-6> 「실감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19~’23)」 주요 내용	 84
<표 2-7> 「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 주요 내용	 87
<표 2-8> 「한국판 뉴딜 2.0」의 메타버스 관련 주요 내용	 89
<표 2-9>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주요 관련 내용	 92
<표 2-10> 메타버스 관련 국외 주요 정책	 94
<표 3-1>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원칙(안)	101
<표 3-2> 메타버스 콘텐츠 선정 기준 기존 자료 분석	 102
<표 3-3> 메타버스 교육훈련 콘텐츠 선정 기준(안)	 103
<표 3-4>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절차(안)	 104
<표 3-5>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이론수업	 108
<표 3-6>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실습수업	 109
<표 3-7>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직무훈련(OJT)	 111
<표 3-8>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취업진로상담	 113
<표 3-9> 메타버스 주요 유형별 특성 및 고려사항	 114
<표 3-10> 활용 방안 적용 예시	 117
[그림 1-1] 메타버스(metaverse) 구글 트렌드 검색 결과	 4
[그림 1-2] 연구 절차와 방법	 8
[그림 2-1] 미국 미래학협회(ASF)가 제시한 메타버스의 4가지 유형 프레임워크(framework)	 20
[그림 2-2] 메타버스 개념 이해	 21
[그림 2-3] 메타버스 7계층	 22
[그림 2-4] 메타버스 성장 곡선과 전 산업 확산 추세	 23
[그림 2-5] 증강현실(AR) 게임 화면	 25
[그림 2-6] 가상 영화관(Bigscreen Beta)	 26
[그림 2-7] 혼합현실을 적용한 기상 예보 화면	 27
[그림 2-8] 운동(춤)을 위한 가상현실(VR) 앱	 28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실감서재	 28
[그림 2-10] Autoliv의 대화형 3D 애플리케이션(Explore 3D)	 31
[그림 2-11] Audi의 혼합현실(VR, AR) 고객 경험 서비스	 32
[그림 2-12] Mortenson의 대화형 가상현실(VR) 고객 경험 – Bucknell 대학	 33
[그림 2-13] 패션 산업의 메타버스 활용	 34
[그림 2-14] Gucci 앱 – 디지털 운동화 착용	 35
[그림 2-15] Nikeland와 Vans World	 36
[그림 2-16] Decentraland의 삼성전자 플래그십 스토어 837	 37
[그림 2-17] 메타버스 원격회의 활용	 38
[그림 2-18] BHP 기업의 원격 협업(AR glass)	 39
[그림 2-19] 벤틀리 시스템즈의 건축 분야 혼합현실 솔루션 사용 예시	 40
[그림 2-20] NOX Innovations의 건축 분야 혼합현실 솔루션 사용 예시	 41
[그림 2-21] Deckers Brands의 3D 스캔 샘플	 42
[그림 2-22] BMW Groups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44
[그림 2-23] Boeing의 3D 엔지니어링 설계	 45
[그림 2-24] Airbus 항공기 제조 분야 혼합현실 활용 예시	 46
[그림 2-25] apoQlar의 VSI(가상 수술 인공지능) 솔루션 활용 예시	 47
[그림 2-26]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프레임워크	 53
[그림 2-27] OJT 혼합현실 솔루션(Taqtile Manifest)	 56
[그림 2-28] 포스텍의 혼합현실(MR) 강의	 58
[그림 2-29] zSpace를 활용한 수업	 59
[그림 2-30] KLM 기업의 신규직원 교육 프로그램(AR glass)	 60
[그림 2-31] 해부학 강의에서 혼합현실 활용 사례	 61
[그림 2-32] 한기대 STEP과 디바이스 연계 가상훈련 콘텐츠	 62
[그림 2-33] 한기대 3D 실험·실습실과 메타버스 현장체험 K-팩토리	 64
[그림 2-34] 디지털 교과서 증강현실(AR) 콘텐츠 활용 예시	 65
[그림 2-35] 한양공업고등학교 VR 자동차 엔진정비 콘텐츠	 66
[그림 2-36] 인천재능대학교 항공 객실 안전 VR 수업	 68
[그림 2-37] 동서울대학교의 메타버스(XR Class) 활용 드론코딩 수업	 69
[그림 2-38] 물리치료 실습을 위한 360도 VR 콘텐츠 수업	 71
[그림 2-39] 포스텍 아바타 기반 상담 체계	 73
[그림 2-40] Precision OS의 가상현실(VR) 의료 시뮬레이션	 74
[그림 2-41] 인천재능대학교 AI One-Stop 취업지원시스템	 74
[그림 2-42] 포스텍 메이커스페이스 메타버스 활용	 76
[그림 2-43] 한국공학대학교의 Future VR Lab과 Smart Meta Campus  77
[그림 2-44] 전문대학 메타버스 컨소시엄 – 메타버시티	 81
[그림 2-45] 가상 과학 실험실(labster)	 83
<표 1-1> (연구방법 2단계) 현황 파악 및 현장 의견 수렴 	10
<표 1-2> (연구방법 3단계) 메타버스 활용 사례 조사	 11
<표 1-3> (연구방법 4단계)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방안(안) 도출	13
<표 1-4> (연구방법 4단계) FGI & FGD 주요 논의 내용 	14
<표 1-5> (연구방법 5단계) 정책 제언	 15
<표 2-1>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의 긍정적 측면	 49
<표 2-2>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의 부정적 측면	 50
<표 2-3>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시 고려사항	 51
<표 2-4>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사례	 54
<표 2-5> 메타버스 관련 국내 주요 정책	 84
<표 2-6> 「실감 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19~’23)」 주요 내용	 84
<표 2-7> 「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 주요 내용	 87
<표 2-8> 「한국판 뉴딜 2.0」의 메타버스 관련 주요 내용	 89
<표 2-9>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주요 관련 내용	 92
<표 2-10> 메타버스 관련 국외 주요 정책	 94
<표 3-1>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원칙(안)	101
<표 3-2> 메타버스 콘텐츠 선정 기준 기존 자료 분석	 102
<표 3-3> 메타버스 교육훈련 콘텐츠 선정 기준(안)	 103
<표 3-4>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절차(안)	 104
<표 3-5>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이론수업	 108
<표 3-6>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실습수업	 109
<표 3-7>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직무훈련(OJT)	 111
<표 3-8>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고려사항 – 취업진로상담	 113
<표 3-9> 메타버스 주요 유형별 특성 및 고려사항	 114
<표 3-10> 활용 방안 적용 예시	 117
[그림 1-1] 메타버스(metaverse) 구글 트렌드 검색 결과	 4
[그림 1-2] 연구 절차와 방법	 8
[그림 2-1] 미국 미래학협회(ASF)가 제시한 메타버스의 4가지 유형 프레임워크(framework)	 20
[그림 2-2] 메타버스 개념 이해	 21
[그림 2-3] 메타버스 7계층	 22
[그림 2-4] 메타버스 성장 곡선과 전 산업 확산 추세	 23
[그림 2-5] 증강현실(AR) 게임 화면	 25
[그림 2-6] 가상 영화관(Bigscreen Beta)	 26
[그림 2-7] 혼합현실을 적용한 기상 예보 화면	 27
[그림 2-8] 운동(춤)을 위한 가상현실(VR) 앱	 28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실감서재	 28
[그림 2-10] Autoliv의 대화형 3D 애플리케이션(Explore 3D)	 31
[그림 2-11] Audi의 혼합현실(VR, AR) 고객 경험 서비스	 32
[그림 2-12] Mortenson의 대화형 가상현실(VR) 고객 경험 – Bucknell 대학	 33
[그림 2-13] 패션 산업의 메타버스 활용	 34
[그림 2-14] Gucci 앱 – 디지털 운동화 착용	 35
[그림 2-15] Nikeland와 Vans World	 36
[그림 2-16] Decentraland의 삼성전자 플래그십 스토어 837	 37
[그림 2-17] 메타버스 원격회의 활용	 38
[그림 2-18] BHP 기업의 원격 협업(AR glass)	 39
[그림 2-19] 벤틀리 시스템즈의 건축 분야 혼합현실 솔루션 사용 예시	 40
[그림 2-20] NOX Innovations의 건축 분야 혼합현실 솔루션 사용 예시	 41
[그림 2-21] Deckers Brands의 3D 스캔 샘플	 42
[그림 2-22] BMW Groups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44
[그림 2-23] Boeing의 3D 엔지니어링 설계	 45
[그림 2-24] Airbus 항공기 제조 분야 혼합현실 활용 예시	 46
[그림 2-25] apoQlar의 VSI(가상 수술 인공지능) 솔루션 활용 예시	 47
[그림 2-26]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 프레임워크	 53
[그림 2-27] OJT 혼합현실 솔루션(Taqtile Manifest)	 56
[그림 2-28] 포스텍의 혼합현실(MR) 강의	 58
[그림 2-29] zSpace를 활용한 수업	 59
[그림 2-30] KLM 기업의 신규직원 교육 프로그램(AR glass)	 60
[그림 2-31] 해부학 강의에서 혼합현실 활용 사례	 61
[그림 2-32] 한기대 STEP과 디바이스 연계 가상훈련 콘텐츠	 62
[그림 2-33] 한기대 3D 실험·실습실과 메타버스 현장체험 K-팩토리	 64
[그림 2-34] 디지털 교과서 증강현실(AR) 콘텐츠 활용 예시	 65
[그림 2-35] 한양공업고등학교 VR 자동차 엔진정비 콘텐츠	 66
[그림 2-36] 인천재능대학교 항공 객실 안전 VR 수업	 68
[그림 2-37] 동서울대학교의 메타버스(XR Class) 활용 드론코딩 수업	 69
[그림 2-38] 물리치료 실습을 위한 360도 VR 콘텐츠 수업	 71
[그림 2-39] 포스텍 아바타 기반 상담 체계	 73
[그림 2-40] Precision OS의 가상현실(VR) 의료 시뮬레이션	 74
[그림 2-41] 인천재능대학교 AI One-Stop 취업지원시스템	 74
[그림 2-42] 포스텍 메이커스페이스 메타버스 활용	 76
[그림 2-43] 한국공학대학교의 Future VR Lab과 Smart Meta Campus	 77
[그림 2-44] 전문대학 메타버스 컨소시엄 – 메타버시티	 81
[그림 2-45] 가상 과학 실험실(labster)	 8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직업교육훈련(VET) 분야 메타버스 활용 방안 연구 2022.04.11~2022.10.1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