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과 특성

Career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저자
류지은 김성남 안재영 강서울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0.31
등록일
2022.12.28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직업계고 졸업자, 노동시장 이행, 초기 경력경로, 경력경로 유형
요약_viii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방법	10
제4절 연구의 범위	33
제2장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관련 이론적 검토_35
제1절 경력경로의 개념 및 유형	37
제2절 경력경로 관련 이론	49
제3절 소결	72
제3장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개발 지원 관련 정책 검토_77
제1절 직무능력 및 역량개발 지원 정책	80
제2절 취업 및 노동시장 안착 지원 정책	90
제3절 소결	96
제4장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_103
제1절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상태 변화	105
제2절 직업계고졸 임금근로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	114
제3절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노동시장 특성 변화	130
제4절 소결	143
제5장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관련 경험과 특성_155
제1절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관련 경험	157
제2절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관련 특성	170
제3절 소결	201
제6장 결론 및 제언_207
제1절 결론	209
제2절 제언	212
Summary_227
참고문헌_237
부    록_251
<부록 1> FGI 조사지(산업체 관계자 대상)	253
<부록 2> FGI 조사지(직업계고 관계자 대상)	257
<부록 3> 직업계고 졸업자 인터뷰 조사지	261
이 연구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후 경력이동에 따른 경력경로 양상을 유형화하고, 경력경로 유형별 노동시장 이행 특성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맞춤형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직업계고 졸업자는 노동시장 진입 후 직업적 경력 측면에서 어떤 변화와 이동 양상을 보이는가?
연구 문제 2. 직업계고 졸업자가 경험하는 경력 변화와 이동의 원인 및 맥락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3. 직업계고 졸업자의 안정적이고 발전적인 경력개발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In order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on what the care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look like and the phenomenon.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search for transitional trajectories and patterns in the labor market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employment after graduation, that i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Because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based on a stable labor market settl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 understanding of the labor market settlement and career migration proc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must be preceded. This means exploring the career path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s necessary. Career path explor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can provide information on what kind of change process they undergo in the labor market, giving them implications for necessary policy support.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attern of career path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fter entering the labor market through typification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belonging to each career path type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features of early careers, such as the first job, can affect the overall career path, this study focused on the initial career path five years afte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entered the labor market.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표 1-1> 특성화고 취업률 변화	4
<표 1-2> 「직업계고 취업 지원 정책 점검 및 보완 방안」 요약	5
<표 1-3> 분석내용별 표본구성	13
<표 1-4> 원 표본과 초기 경력경로 분석 표본 간 구성 비교(KEEP I)	15
<표 1-5> 원 표본과 초기 경력경로 분석 표본 간 구성 비교(KEEP II)	16
<표 1-6>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수	18
<표 1-7> 노동시장 특성 변수	19
<표 1-8> 노동시장 이행 상태 코딩	21
<표 1-9> 경력경로 유형화를 위한 변수 코딩	24
<표 1-10> 인터뷰 참여자 정보	27
<표 1-11> 인터뷰 주요 내용	29
<표 1-12> FGI 개요	31
<표 1-13> 세미나 개요	32
<표 2-1> 직업 이동 중심의 경력경로 유형화 연구	42
<표 2-2>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 관련 선행연구	48
<표 2-3> 전통적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비교	51
<표 2-4> 전통적 경력과 프로틴 경력의 비교	52
<표 2-5> Maslach 외(2001)의 6가지 개인-직무 환경 적합 영역	60
<표 2-6> 관점별 경력경로 관련 이론 개요	72
<표 3-1> 개인 및 산업체 수요에 따른 후학습 제도	81
<표 3-2> 일학습병행 유형	86
<표 3-3> 산업계 주도 청년 맞춤형 훈련 선정 사업단(’21.1. 기준)	87
<표 3-4>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공동훈련센터 현황(’21.1. 기준)	89
<표 3-5>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 내 취업 및 노동시장 안착 지원 관련 주요 과제	90
<표 3-6> 직업계고 졸업자의 직무능력 및 역량개발 지원 정책 종합	96
<표 3-7>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 및 노동시장 안착 지원 정책 종합	98
<표 3-8>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개발 지원 관련 정책별 대상	99
<표 4-1>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직후 시점 노동시장 이행 상태	106
<표 4-2>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최적 유형 수 추정	114
<표 4-3> 4유형 모델 적합도	115
<표 4-4>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임금 수준 변화	117
<표 4-5>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직종 이동 변화	118
<표 4-6>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일자리 이동 변화	119
<표 4-7>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첫 직장 유지 분포	120
<표 4-8>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화 결과	121
<표 4-9>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성별 및 최종 학력 분포	122
<표 4-10>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최적 유형 수 추정	123
<표 4-11> 3유형 모델 적합도	123
<표 4-12>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임금 수준 변화	125
<표 4-13>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직종 이동 변화	126
<표 4-14>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일자리 이동 변화	127
<표 4-15>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첫 직장 유지 분포		128
<표 4-16>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화 결과	129
<표 4-17>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성별 및 학교 유형 분포	129
<표 4-18>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경력 상태 분포	131
<표 4-19>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기업규모 분포	132
<표 4-20> 2005년 졸업자의 초기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업종 분포		133
<표 4-21>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직종 분포	136
<표 4-22>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경력 상태 분포	137
<표 4-23>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기업규모 분포	138
<표 4-24> 2018년 졸업자의 초기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별 업종 분포		139
<표 4-25>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별 직종 분포	142
<표 4-26>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 및 주요 특성	146
<표 4-27>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 및 주요 특성	149
<표 5-1>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관련 특성	171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9
[그림 1-2] 반복적 비교분석법의 절차  	30
[그림 2-1] 여성의 경력단계에 따른 경력개발 요구 패턴 변화	55
[그림 2-2] 일 적응 이론의 일반적 모델	57
[그림 2-3] Hershenson(1996)의 일 적응 모델	59
[그림 2-4] 진로 관련 선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맥락, 경험 요인		64
[그림 2-5] 시스템 이론 모델	66
[그림 2-6] 이행노동시장 개념	71
[그림 4-1]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노동시장 이행 상태 변화	107
[그림 4-2]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노동시장 이행 경로 대표 시퀀스		108
[그림 4-3] 졸업 후 노동시장 진입자의 노동시장 이행 경로 대표 시퀀스		110
[그림 4-4]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후 이행 상태 변화	112
[그림 4-5]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후 이행 경로 대표 시퀀스		113
[그림 4-6] 2005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	116
[그림 4-7]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	124
[그림 4-8] 2005년 졸업자와 2018년 졸업자의 초기 경력경로 유형	151
[그림 5-1] 일자리 및 직종 미이동 참여자의 경력경로 경험	158
[그림 5-2] 일자리 미이동 및 직종 이동 참여자의 경력경로 경험	161
[그림 5-3] 일자리 이동 및 직종 미이동 참여자의 경력경로 경험	163
[그림 5-4] 일자리 및 직종 이동 참여자의 경력경로 경험	168
[그림 5-5]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특성	202
[그림 6-1]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개발 지원 정책 개선 방향	21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과 특성 2022.01.01~202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