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의 미래역할과 발전방안

Study on Future role and Development Plan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저자
이상훈 최동선 이정민 박미희 김의태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0
등록일
2023.01.03
주제어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미래상, 시나리오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9
제4절 연구 범위	14
제2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이해_15
제1절 평생직업교육 개념과 변천	17
제2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흐름	34
제3절 선행연구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발전방안	56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71
제3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현황_79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운영 방식	81
제2절 현재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현황	92
제3절 평생직업교육의 성과	120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9
제4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해외 사례_133
제1절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역할 강조	136
제2절 평생직업교육 전담 기관 설립 및 운영	148
제3절 고등교육의 대안적 학위제도 지원	157
제4절 대학 연계형 공유체제 형성: 컨소시엄	164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70
제5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언론 및 연구 동향_181
제1절 텍스트마이닝 분석 개요	183
제2절 신문 기사 분석 결과	194
제3절 신문 사설 분석 결과	213
제4절 학술지 논문 분석 결과	226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240
제6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전문가 인식 및 전망_247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현주소	251
제2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미래 변화 영향요인	261
제3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미래 전망	291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305
제7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시나리오_311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시나리오 분석 개요	313
제2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시나리오 원형	330
제3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시나리오 전망	366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394
제8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발전방안_399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기반조성 방안	402
제2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미래대응 아젠다	434
Summary_441
참고문헌_449  
부  록_483   
1. 텍스트마이닝 분석 대상 학술지 논문 리스트	485
2. 전문가 면담 질문지	494
3. 전문가 의견조사 질문지	499
4. 고등교육기관 설문조사 질문지	513
...본 연구는 다양한 성인학습자의 직업능력개발 수요를 충족하는 평생직업교육 주도 기관으로서 고등교육기관의 미래상을 탐색함으로써, 미래사회에 적합한 고등교육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이러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필요한 발전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establish the rol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suitable for the future society, focusing o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LVE), and 2) to establish development plans for this purpose.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how LVE in HEIs will change and what direction it should change. In detail, the study conducted a review of various: concepts and policies related to LVE in HEIs (Chapter 2), the status of LVE in HEIs (Chapter 3), other countries' cases in the fields (Chapter 4), a trend of the media and research of LVE in HEIs (Chapter 5), expert interview in the fields (Chapter 6), and scenario analysis for LVE in HEIs in future (Chapter 7). Finally, a plan for HEIs for LVE was provided (Chapter 8).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text mining analysis, expert interview, scenario planning, and expert council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
<표 1-1> 전문가 협의회 참여자 정보	14
<표 2-1> 1996년 교육개혁안에 따른 新직업교육체제의 특징	20
<표 2-2> 직업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21
<표 2-3> 新직업교육체제 이후 평생직업교육 관련 정책의 주요 변화 과정	26
<표 2-4>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의 연계 유형	35
<표 2-5> 김대중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37
<표 2-6> 노무현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41
<표 2-7>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44
<표 2-8> 박근혜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47
<표 2-9> 문재인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52
<표 2-10>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발전방안의 주제영역 및 주요 키워드	57
<표 2-11> 정부별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정책 특징	75
<표 2-1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발전방안의 주제영역 및 주요 방안	77
<표 3-1> 대학 중심의 후학습 경로 현황	81
<표 3-2> 고등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 수(1965~2021년)	95
<표 3-3> 대학(원)부설 평생교육원 운영 대학의 수	96
<표 3-4>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현황	98
<표 3-5>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재정지원 규모	99
<표 3-6> 후진학 선도형(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 운영 현황	100
<표 3-7> 후진학 선도형(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 예산	101
<표 3-8> 고등교육기관의 직업능력개발 사업 참여 현황	102
<표 3-9>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 현황	105
<표 3-10>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사업 유형 현황	106
<표 3-11>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학사 유연화 현황	107
<표 3-12> 고등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 학습자 수(1965~2009년)	108
<표 3-13> 고등교육형태 평생교육기관 학습자 수(2010~2021년)	109
<표 3-14> 고등교육기관의 성인학습자 수	111
<표 3-15> 최근 5년간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자 연령별 분포 현황	115
<표 3-16> 최근 5년간 독학학위제 학위취득자 연령별 분포 현황	116
<표 3-17> 대학(원)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별 학습자 수 현황 (2015-2021년)	118
<표 3-18> 평생학습의 사회적 이익	127
<표 4-1> 대학의 평생직업교육이 강조된 주요국의 고등교육기관 운영 형태	138
<표 4-2> Penn State Outreach 서비스 대상자별 프로그램 구성	143
<표 4-3> 주요국의 평생직업교육 전담 고등교육기관 운영 형태	149
<표 4-4> 커뮤니티 칼리지의 직업교육 관련 Perkins V의 핵심 성과 지표	152
<표 4-5> 주요국의 고등교육 대안적 학위제도 운영 형태	157
<표 4-6> 엠파이어 스테이트 칼리지의 9가지 시험 표준	161
<표 4-7> 대학의 연계형 공유체제 형성을 통한 주요국의 고등교육기관 운영	164
<표 4-8>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역할을 강조하는 유형의 특징 요약	171
<표 4-9> 평생직업교육을 전담하는 기관 유형의 특징 요약	173
<표 4-10> 고등교육의 대안적 학위제도 지원 유형의 특징 요약	174
<표 4-11> 대학 연계형 공유체제 형성(컨소시엄) 유형의 특징 요약	175
<표 5-1> 신문 기사의 TF 기준 상위 주제어	195
<표 5-2> 신문 기사의 TF 기준 정부별 상위 주제어	196
<표 5-3> 신문 기사의 TF-IDF 기준 정부별 상위 주제어 및 기사 제목	197
<표 5-4> 신문 기사의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β 기준)	201
<표 5-5> 신문 기사의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γ 기준)	203
<표 5-6> 신문 사설의 TF 기준 상위 주제어	213
<표 5-7> 신문 사설의 TF 기준 정부별 상위 주제어	216
<표 5-8> 신문 사설의 TF-IDF 기준 정부별 상위 주제어 및 사설 제목	217
<표 5-9> 신문 사설의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β 기준)	220
<표 5-10> 신문 사설의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γ 기준)	221
<표 5-11> 학술지 논문의 TF 기준 상위 주제어	227
<표 5-12> 학술지 논문의 TF 기준 정부별 상위 주제어	228
<표 5-13> 학술지 논문의 TF-IDF 기준 정부별 상위 주제어 및 논문 제목	230
<표 5-14> 학술지 논문의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β 기준)	233
<표 5-15> 학술지 논문의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γ 기준)	234
<표 5-16> 정부별 언론 및 연구의 토픽 동향	242
<표 6-1> 전문가 면담 참여자 정보	250
<표 7-1> 미래에 대해 알아야 할 10가지 상식	314
<표 7-2> 시나리오 기법의 비교	318
<표 7-3> 전문가 의견조사 참여자 정보	327
<표 7-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설문조사 내용 및 설문지 구성	328
<표 7-5> 조사응답자 일반 현황	329
<표 7-6> 시나리오 도출 과정, 기본속성, 선택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	333
<표 7-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영향요인의 가변성과 중요도	334
<표 7-8>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기본속성에 관한 전문가 평정	342
<표 7-9>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기본속성에 관한 전문가 수정 의견	343
<표 7-10>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기본속성과 영향요인 관계에 관한 전문가 평정	350
<표 7-11>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탐색적 시나리오 원형	353
<표 7-1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선택전략에 관한 전문가 평정	355
<표 7-1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선택전략에 관한 전문가 수정 의견	356
<표 7-1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규범적 시나리오 원형	359
<표 7-15>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영향요인의 추진 및 달성 가능성(전체)	367
<표 7-16>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탐색적 시나리오 전망(전체)	371
<표 7-1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영향요인의 추진 및 달성 가능성(일반대학)	373
<표 7-18>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 추진 및 달성 가능성의 상하위 요인 (일반대학)	376
<표 7-19>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탐색적 시나리오 전망(일반대학)	377
<표 7-20>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영향요인의 추진 및 달성 가능성(전문대학)	379
<표 7-21>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 추진 및 달성 가능성의 상하위 요인 (전문대학)	382
<표 7-2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탐색적 시나리오 전망(전문대학)	383
<표 7-2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규범적 시나리오 전망(전체)	385
<표 7-2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규범적 시나리오 전망(일반대학)	386
<표 7-25>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규범적 시나리오 전망 요약 (일반대학)	388
<표 7-26>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규범적 시나리오 전망(전문대학)	390
<표 7-2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규범적 시나리오 전망 요약 (전문대학)	392
<표 7-28>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시나리오 전망 요약	395
<표 8-1>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발전방안(안)	402
<표 8-2> 역할에 따른 고등교육기관 구분(안)	404
<표 8-3>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평가인증 항목	405
<표 8-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통계조사 현황	406
<표 8-5>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필요 데이터(안)	408
<표 8-6> 성인학습지원센터 조직 기능(안)	409
<표 8-7> 「교육기본법」 개정 의견	412
<표 8-8> 「지방자치법」 개정 의견	413
<표 8-9>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개정 의견	414
<표 8-10> 「평생교육법」 개정 의견	415
<표 8-11>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 의견	417
<표 8-12> 고등교육기관 학사제도 유연화	429
<표 8-13> 학생이 참여하는 고등교육기관 주요 위원회	432
<표 8-1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인식 전환	433
[그림 1-1] 연구의 절차 및 방법	9
[그림 2-1] 평생직업교육 관련 개념들의 관련성: 개괄적인 이해	24
[그림 2-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양성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의 역할 변화	32
[그림 2-3] 개방형 대학 평생교육체제 모형	60
[그림 2-4] 평생직업교육대학 비전 체계도	62
[그림 2-5] 평생직업교육대학 추진 체계	63
[그림 2-6]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체제 전환을 위한 학사제도(안)	66
[그림 3-1]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 정책의 변천 과정	89
[그림 3-2] 대학(원)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현황 및 직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비중	97
[그림 3-3]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진입 경로	104
[그림 3-4] 전체 고등교육기관 학습자 수 대비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만 25세 이상 학습자 수 비율	112
[그림 3-5]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학습자 수 대비 만 25세 이상 학습자 수 비율	113
[그림 3-6]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자 수 변화 추이	115
[그림 3-7] 독학학위제 학위취득자 현황	116
[그림 3-8] 사내대학 졸업자 현황	117
[그림 3-9] 성인학습 성과 분석 모형	121
[그림 4-1] OECD 국가의 연령별 고등교육기관 등록률	136
[그림 4-2]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핵심 가치 흐름(미국 사례)	137
[그림 4-3] 미네르바 대학 학생 보유율	146
[그림 4-4] 핀란드 정규 학위과정 학생의 연령분포 변화(2009-2019년)	154
[그림 4-5] 시민대학 학습자 연령분포	156
[그림 4-6] 엠파이어 스테이트 칼리지의 전일제 대비 비전일제 학생의 등록비율	158
[그림 4-7] 엠파이어 스테이트 칼리지 2020년 학부등록금($7,070)	160
[그림 4-8] 직업교육훈련기관 유형별 교육기관 학생 수 비율(2014년)	163
[그림 4-9] 클레어몬트 컨소시엄 대학의 지리적 위치	166
[그림 4-10] 도쿄 4대학 연합 헌장	168
[그림 4-11] 도쿄 4대학 연합대학 운영체계	169
[그림 4-1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형태에 따른 차별적 특성과 공통 기반 특성	177
[그림 5-1] 연도별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신문 기사 건수	186
[그림 5-2] 연도별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신문 사설 건수	188
[그림 5-3] 연도별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 건수	190
[그림 5-4] 신문 기사 토픽의 정부별 출현율(γ 기준)	212
[그림 5-5] 신문 사설 토픽의 정부별 출현율(γ 기준)	225
[그림 5-6] 학술지 논문 토픽의 정부별 출현율(γ 기준)	239
[그림 5-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언론 및 연구 흐름	243
[그림 6-1]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현주소	306
[그림 6-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미래 변화 영향요인	307
[그림 6-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미래 전망	308
[그림 7-1] 미래를 비추는 빛: 퓨처스 콘(futures cone)	315
[그림 7-2]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분석법	321
[그림 7-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시나리오 분석 과정	325
[그림 7-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영향요인, 기본속성, 시나리오의 관계	333
[그림 7-5] 영향요인에 대한 윌슨 매트릭스 분석(하위영역)	338
[그림 7-6] 영향요인에 대한 윌슨 매트릭스 분석(고등교육기관 영역)	339
[그림 7-7] 영향요인에 대한 윌슨 매트릭스 분석(성인학습자, 지역사회 영역)	340
[그림 7-8] 영향요인에 대한 윌슨 매트릭스 분석(정부정책 영역)	341
[그림 7-9]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선택전략 모형	357
[그림 7-10]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시나리오 원형 모형	365
[그림 8-1] (가칭) 평생직업교육 인증 운영(안)	420
[그림 8-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법령 체계 의견 비교	421
[그림 8-3] 학령인구, 현행 내국세수 연동 교부금 총액 및 1인당 교부금액 전망	426
[그림 8-4]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희망 이유와 선호 유형	428
[그림 8-5] 2030년 고등교육의 4가지 모델	435
[그림 8-6] Mozilla 재단의 디지털 배지(Open badges)	43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의 미래역할과 발전방안 2022.01.01~202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