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지역 일자리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Making Local Universities More Competitive: Focus on Linkage to Local Jobs
저자
민숙원 송창용 주휘정 장광남 임언 최현식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0
등록일
2023.01.12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지역대학, 산학연계, 지역인재양성, 앵커기관
요 약_ix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제3절 연구 범위와 용어 정의	15
제2장 이론적 배경_19
제1절 대학 경쟁력의 개념	21
제2절 지역대학 경쟁력의 위기 현황	26
제3절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연계의 이론적 배경	39
제4절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연계 정책 동향	51
제5절 소결	82
제3장 지역대학의 산학협력 역량 분석_85
제1절 선행연구 리뷰	87
제2절 산학협력 역량 분석 개요	91
제3절 산학협력 역량 분석 결과	95
제4절 소결	113
제4장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연계 현황 및 전략_115
제1절 지역대학의 지역 일자리 연계 현황 조사 개요	117
제2절 조사 결과 	122
제3절 소결	152
제5장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연계 고도화 방안 도출을 위한 조사_155
제1절 조사 개요	157
제2절 대학관계자 대상 조사 결과	160
제3절 기업관계자 대상 조사 결과	172
제4절 지자체 관계자 대상 조사 결과	183
제5절 소결 	189
제6장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연계 강화 방안_193
제1절 기본 방향	195
제2절 세부 과제	205
SUMMARY_221
참고문헌_231
부  록_243
...본 연구에서는 인구구조 변화 및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더욱 부각되는 지역대학의 위기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이 지역 및 지역 일자리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대학 내부의 역량 수준과 더불어 대학과 지역 일자리 간 산학연계 현황 및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개별 대학의 일반적인 산학협력 인프라 및 교육 환경, 프로그램 운영 수 등의 정보는 주기적으로 파악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지역산업과의 교류 및 협력 현황 및 전략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는 거의 축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또한 현 고등교육 상황에 적합한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간 연계 강화 방안을 지역대학 관계자는 물론 지역 산업체, 지자체 의견 수렴을 통해 도출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학령인구로 인해 지역대학의 위기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교육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향후 지역의 인적자원 개발 및 인재 활용의 선순환 고리를 유지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과업이다. 본 연구는 지역대학의 산학연계 현황 및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역대학 관련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역인적자원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지역 내 주체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지역대학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Local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show structural limits in their effort to go ahead in the race for competitive strengths. This problem is more valid than ever with South Korea's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and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talent around the capital area. Making local universities more competitive requires establishing a robust system of programs related to 'local tal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nd 'industrial use of R&D outcome,' which, in turn, requires efforts from anchor institutions to build up an ecosystem of coexistence. With this perspective in mind, this study presents ways to advanc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universities and industry. It then explores how these institutions could play a better role as key players in local skills development. ...
<표 1-1> 산학연계의 주요 교육과정 운영 현황	6
<표 1-2> 연구 내용 및 방법	12
<표 2-1> 선행연구의 대학 경쟁력 측정지표	22
<표 2-2> 2021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29
<표 2-3> 고등교육기관 시도별 신입생 충원율(2021)	30
<표 2-4> 고등교육기관 취업자 비율	31
<표 2-5>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32
<표 2-6> 지역별, 학제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33
<표 2-7> 시도별, 학제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 현황 	34
<표 2-8> 대학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기본적 기능	36
<표 2-9> 지역혁신 시스템(RIS), 트리플헬릭스, 지식 트라이앵글	47
<표 2-10> 「지방대육성법」 개정의 연혁	51
<표 2-11> 지역별 특화인재양성 분야 및 관련 사업 	54
<표 2-12> 대학 특성화 사업 유형 	57
<표 2-13> 대학 특성화 사업 및 관련 정책 추진 경과	58
<표 2-14> CK사업 대학 부문 성과지표 	60
<표 2-15> CK사업 특성화 사업단 부문 성과지표 	62
<표 2-16> LINC 사업 지원대학 선정	67
<표 2-17> LINC+사업 지원대학	68
<표 2-18> LINC 3.0 사업유형 변화	69
<표 2-19> LINC 3.0 사업유형별 목표	70
<표 2-20> LINC/LINC+/LINC 3.0 사업의 주요 추진 경과	70
<표 2-21> LINC, LINC+, LINC 3.0 사업의 정량적 성과지표 	73
<표 2-22> LINC, LINC+, LINC 3.0 사업의 정성적 성과지표 	74
<표 2-23> 2021년 RIS 사업 참여 플랫폼	78
<표 2-24>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RIS) 추진 경과	80
<표 2-25> 지차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 성과지표 	81
<표 2-26> 각 사업별 성과지표의 주요 특성	83
<표 3-1> 주요 선행연구의 산학협력 역량 측정 변인	89
<표 3-2> 분석 대상 대학 현황(2021년 정보공시 대상 대학 기준)	92
<표 3-3> 산학협력 역량 측정을 위한 영역별 세부 지표 선정	93
<표 3-4> 인적 지원·관리 측면 역량(수도권 대 비수도권)	96
<표 3-5> 물적 지원·관리 측면 역량(수도권 대 비수도권)	97
<표 3-6> 교육 프로그램 측면 역량(수도권 대 비수도권)	98
<표 3-7> 연구 측면 역량(수도권 대 비수도권)	99
<표 3-8> 인적 지원·관리 측면 역량(시도별)	100
<표 3-9> 물적 지원·관리 측면 역량(시도별)	102
<표 3-10> 교육 프로그램 측면 역량(시도별)	104
<표 3-11> 연구 측면 역량(시도별)	106
<표 3-12> 인적 지원·관리 영역 세부 지표 요약 통계량(권역별)	109
<표 3-13> 물적 지원·관리 영역 세부 지표 요약 통계량(권역별)	110
<표 3-14> 교육 프로그램 측면 역량(권역별)	111
<표 3-15> 연구 측면 역량(권역별)	112
<표 3-16> 산학협력 역량 비교	114
<표 4-1> 설문조사 내용	118
<표 4-2> 응답대학의 기본 특성 	119
<표 4-3> 응답자의 기본 특성 	120
<표 4-4> 지역기업과의 연계 목적(부서 간 비교)	122
<표 4-5> 지역기업과의 연계 목적(LINC 사업단, 권역 간 비교)	123
<표 4-6> 지역기업과의 연계 목적(취업지원부서, 권역 간 비교)	124
<표 4-7> 지역기업과의 연계가 어려운 원인(부서별)	125
<표 4-8> 지역기업과의 연계가 어려운 원인(LINC 사업단, 권역별)	126
<표 4-9> 지역기업과의 연계가 어려운 원인(취업지원 부서, 권역별)	127
<표 4-10> 지역대학의 주요 소통 대상(부서별)	128
<표 4-11> 지역기업과의 의사소통 채널(부서별)	129
<표 4-12> 의사소통 채널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LINC사업단)	130
<표 4-13> 의사소통 채널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취업지원 부서)	131
<표 4-14> 의사소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학의 지원 요구(LINC 사업단)	133
<표 4-15> 의사소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학의 지원 요구(취업지원 부서)	135
<표 4-16> 의사소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 요구(LINC 사업단)	136
<표 4-17> 의사소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 요구(취업지원 부서)	138
<표 4-18> 산학 간 목표 설정 및 달성을 위한 전략(부서별)	139
<표 4-19> 산학 간 협의를 위한 조직의 역량(부서별)	140
<표 4-20> 산학 간 협의를 위한 조직의 역량(LINC 사업단)	141
<표 4-21> 산학 간 협의를 위한 조직의 역량(취업지원부서)	143
<표 4-22> 성과관리 및 공유 시스템(부서별)	144
<표 4-23> 성과관리 및 공유 시스템(LINC 사업단)	145
<표 4-24> 성과관리 및 공유 시스템(취업지원 부서)	147
<표 4-25> 연계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부서별)	148
<표 4-26> 연계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LINC 사업단)	149
<표 4-27> 연계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취업지원 부서)	151
<표 5-1> FGI 조사 대상별 주요 조사 내용	158
<표 5-2> FGI 조사 참여자 정보 	159
<표 6-1> 지역대학-지역 일자리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및 세부 과제	196
[그림 2-1]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 수(2011~2021)	27
[그림 2-2] 신입생 충원율(2011~2021)	28
[그림 2-3] 지역 활성화에서 앵커기관의 역할: 전략적 프레임워크	42
[그림 2-4]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	50
[그림 2-5] 대학 특성화 사업의 비전 및 목표	56
[그림 2-6]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의 비전 및 목표	66
[그림 2-7]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 플랫폼의 운영 흐름 및 체계	77
[그림 3-1] 수도권 소재 대학과 비수도권 소재 대학 간 산학협력 역량(종합) 	99
[그림 3-2] 권역별 산학협력 역량(종합)	114
[그림 4-1]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의사소통 채널, LINC사업단)	130
[그림 4-2]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의사소통 채널, 취업지원 부서)	131
[그림 4-3]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대학의 지원, LINC사업단)	133
[그림 4-4]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대학의 지원, 취업지원 부서)	135
[그림 4-5]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지자체의 지원, LINC 사업단)	137
[그림 4-6]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지자체의 지원, 취업지원 부서)	138
[그림 4-7]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조직의 역량, LINC 사업단)	142
[그림 4-8]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조직의 역량, 취업지원 부서)	143
[그림 4-9]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성과 시스템, LINC 사업단)	146
[그림 4-10]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성과 시스템, 취업지원 부서)	147
[그림 4-11]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인센티브 시스템, LINC 사업단)	150
[그림 4-12]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인센티브 시스템, 취업지원 부서)	15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지역 일자리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2022.01.01~202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