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의 디지털 격차 실태와 과제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in Vocational High School
저자
김남희 이수정 박미희 최지연 임다미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0.31
등록일
2023.01.12
주제어
직업계고, 전문 교과, 디지털 격차, 디지털 역량
요 약 _ xi
제1장  서론 _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8
제3절 연구의 범위	15
제2장  디지털 격차의 이해 _ 17
제1절 디지털 격차 개념 이해	19
제2절 디지털 격차 정책 동향	41
제3절 직업교육과 디지털 격차	52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61
제3장  해외 사례 분석 _ 69
제1절 분석 개요	71
제2절 유럽	72
제3절 영국	81
제4절 미국	88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92
제4장  직업계고 디지털 격차 기초분석 _ 95
제1절 분석 개요	97
제2절 직업계고 교사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	98
제3절 직업계고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	104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15
제5장  직업계고 디지털 격차 실태분석 _ 119
제1절 분석 개요	121
제2절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 격차	127
제3절 디지털 기술에 대한 활용 격차	149
제4절 부가 조사 결과	186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94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_ 199
제1절 결론	201
제2절 향후 과제	206
SUMMARY _ 231
참고문헌 _ 241
[부록 1] 설문지: 교사용 _ 265
[부록 2] 설문지: 학생용 _ 283
...그간 디지털 격차는 여러 학문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연구자마다 격차를 논의하는 메커니즘에는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접근 격차, 활용 격차, 결과 격차로 유형화될 수 있다(이숙정, 육은희, 2014). Hohlfeld와 동료들(2008)의 경우에도 학교 교육 맥락에서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격차를 크게 3수준으로 구분하였는데, 학교 간 인프라 격차, 교실에서 활용 수준의 격차, 개별 학생의 역량 격차가 이에 해당한다. 즉, 학교 내 학생과 교사들이 활용 가능한 디지털 기기나 환경이 갖춰져 있는가, 갖춰져 있다면 교사들을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 그리고 디지털 기술 활용에 대한 경험을 가진 학생들은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게 되는가의 탐색 과정이라 볼 수 있다([그림 1-1] 참조). 특히 직무 현장의 디지털 전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직업교육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의 디지털 격차 실태와 현상을 살펴보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림 1-1]에서 제시된 학교 교육에서의 디지털 격차 3단계를 직업교육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디지털 격차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존의 통계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The term “digital divide” was introduced in the mid-1990s, along with the diffusion of ICTs. The main reason why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digital divide is that our lives are not only very closely entwined with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now, but this phenomenon will accelerate in future societies (Iivari et al., 2020). Technological advances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devices and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Still, not everyone has equal access to them or can use meaningful. Traditionally, the definition of the digital divide has focused on the problem of access, but now it is a more complex issue not only whether or not the technology is physically accessible but also when, for what purposes, and how it is used (Dolan, 2015). ...
<표 1-1> 모집단 대비 조사 대상자 특성	11
<표 1-2> FGI 대상자	12
<표 1-3> FGI 주요 질문 내용	13
<표 2-1> 디지털과 유사 용어의 개념 정리	23
<표 2-2> 격차와 유사 용어의 개념 정리	25
<표 2-3> 디지털 격차의 유형	27
<표 2-4> 형식교육에서의 디지털 격차에 관한 세부 의미	27
<표 2-5> 디지털 격차에 대한 국내 연구의 다양한 정의	31
<표 2-6> 디지털 격차에 대한 국외 연구의 다양한 정의	32
<표 2-7> 디지털 격차의 수준과 단계	33
<표 2-8> 디지털 격차의 양상 대비표	35
<표 2-9> 정보 격차 관련 국가 정책의 변화	42
<표 2-10> 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변화(2018~2021)	44
<표 2-11> 디지털 포용의 핵심 정책 요소	45
<표 2-12> 교육정보화 기본계획의 개요	48
<표 2-13>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추진과제	50
<표 2-14> 디지털화에 따른 고용, 경제, 직업 측면의 다양한 불평등 양상	55
<표 2-15> VET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세 가지 수준의 디지털 역량	57
<표 2-16> 직업교육기관 교사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에 관한 4단계 접근	60
<표 2-17> 디지털 격차의 세부 의미 	65
<표 2-18> 디지털 기술의 의미 	66
<표 3-1> 유럽의 디지털 격차 대응: 기술 접근성 측면	73
<표 3-2> 유럽의 디지털 격차 대응: 교사 교육, 학교 전략 측면	74
<표 3-3> DigCompOrg와 SELFIE 비교 	76
<표 3-4> SELFIE 기반 개선 활동 추진 단계별 세부 내용	80
<표 3-5> 영국 EDS 프레임워크의 4단계 	84
<표 3-6> 생활 필수 디지털 기술 – 5개 영역 29개 측정 문항	85
<표 3-7> 업무 필수 디지털 기술 – 5개 영역 17개 측정 문항	86
<표 3-8>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의 3개 요소별 주요 장벽과 해결 전략	90
<표 4-1> 교사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여부	99
<표 4-2> 교육을 위한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	99
<표 4-3> 교육을 위한 디지털 기기 활용의 하위 항목별 비교	100
<표 4-4> 학교에서 교사의 디지털 도구 사용 수준	101
<표 4-5> 학교에서 교사의 디지털 도구 활용 빈도 항목별 비교	102
<표 4-6> 디지털 기기 사용 정책 유무	103
<표 4-7> 교원 양성 및 교사 전문성 활동 내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포함 여부	103
<표 4-8> 디지털 기기 및 인터넷 최초 사용 시기	104
<표 4-9>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 접근성	105
<표 4-10> 학교에서의 디지털 기기 접근성	106
<표 4-11> 학교에서의 디지털 기기 접근성 하위 항목별 비교	106
<표 4-12> 수업 시간 내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107
<표 4-13> 과목별 수업 시간 내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108
<표 4-14> 과목별 수업 시간 내 디지털 기기 사용 주체	109
<표 4-15> 학습 관련 학교 밖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	110
<표 4-16> 학교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	111
<표 4-17> 디지털 기술에 대한 흥미	112
<표 4-18>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에 대한 인식	113
<표 4-19> 디지털 기술에 대한 자율성	114
<표 4-20>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	115
<표 5-1> 응답 교원 특성	123
<표 5-2> 응답 학생 특성	124
<표 5-3> 디지털 격차 실태조사 교사용 문항	125
<표 5-4> 디지털 격차 실태조사 학생용 문항	126
<표 5-5>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 격차 분석체계 	128
<표 5-6>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유형별 학생용 디지털 기기 현황	129
<표 5-7>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유형별 교사용 디지털 기기 현황	133
<표 5-8> 최근 5년간 직업계고 계열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35
<표 5-9> 최근 5년간 마이스터고 계열별 학생용 디지털 기기 현황	137
<표 5-10> 최근 5년간 특성화고 계열별 학생용 디지털 기기 현황	138
<표 5-11>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지역 규모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41
<표 5-12> 최근 5년간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지역 규모별 학생용 디지털 기기 현황	142
<표 5-13>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설립 유형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45
<표 5-14> 최근 5년간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설립 유형별 학생용 디지털 기기 현황	146
<표 5-15>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자원에 대한 접근성 인식 차이	148
<표 5-16> 디지털 기술에 대한 활용 격차 분석체계 	149
<표 5-17>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기회 차이	151
<표 5-18>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기회 차이	152
<표 5-19>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율 차이	154
<표 5-20>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율 차이	156
<표 5-21>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 형태	157
<표 5-22>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내용의 수업 적용 경험	158
<표 5-23>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를 하지 않은 주된 이유	158
<표 5-24>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차이	160
<표 5-25>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차이	162
<표 5-26>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인식 차이	164
<표 5-27>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인식 차이	166
<표 5-28> 디지털 기기와 자원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 차이	169
<표 5-29>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기에 대한 활용 수준 차이	171
<표 5-30>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자원에 대한 활용 수준 차이	172
<표 5-31>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기에 대한 활용 수준 차이	173
<표 5-32>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자원에 대한 활용 수준 차이	175
<표 5-33>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형태 차이	177
<표 5-34>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형태 차이	179
<표 5-35> 학교 특성에 따른 학생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율 차이	182
<표 5-36> 개인 특성에 따른 학생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율 차이	183
<표 5-37>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충분도 차이	185
<표 5-38> 학교 특성 및 개인 특성에 따른 학생의 디지털 역량 차이	188
<표 5-39> 학교 특성 및 개인 특성에 따른 학생의 디지털 효능감 차이	190
<표 5-40> 학교 특성에 따른 학교의 지원 인식 차이	192
<표 5-41> 디지털 격차 관련 자유 의견	193
<표 5-42> 디지털 격차 실태분석 결과 요약	194
<표 6-1>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향후 과제	207
<표 6-2> 중등학교 정교사(2급) 전공과목 및 교직과목 세부 이수학점	216
<표 6-3> 중등 신규임용예정자 직무 연수 내용 사례	217
<표 6-4> 전문교과 수업에서 주된 실습 방법	220
<표 6-5> 직업교육의 주요 교수학습 방법 	222
<표 6-6> 직업기초능력평가 평가영역	229
[그림 1-1] 디지털 격차를 바라보는 3단계 수준 	8
[그림 1-2] 본 연구의 추진체계	14
[그림 2-1] 디지털 역량의 연구 분야와 주요 개념	38
[그림 2-2] 디지털 세계를 위한 기술(Skill) 	53
[그림 2-3] 교육 수준에 따른 디지털 문제해결 취약자 비율 	58
[그림 2-4] 근로자 유형에 따른 디지털 문제해결 수준별 비율  	59
[그림 2-5] 직업교육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이 갖는 의미 	63
[그림 3-1] SELFIE 학교별 진단보고서 예시 	79
[그림 3-2] SELFIE 기반 개선 활동 추진 단계 	80
[그림 3-3] 영국의 EDS 프레임워크 	83
[그림 3-4]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의 3가지 요소	89
[그림 5-1] 최근 5년간 직업계고 학생용 디지털 기기 수의 변화	130
[그림 5-2]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유형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의 변화	130
[그림 5-3] 최근 5년간 직업계고 교사용 디지털 기기 수의 변화	134
[그림 5-4]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유형별 교사 1인당 디지털 기기 수의 변화	134
[그림 5-5] 최근 5년간 직업계고 계열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36
[그림 5-6] 최근 5년간 학교 유형별-계열별 학생용 디지털 기기 수	139
[그림 5-7]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지역 규모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41
[그림 5-8] 최근 5년간 학교 유형별-지역 규모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43
[그림 5-9] 최근 5년간 직업계고 설립 유형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45
[그림 5-10] 최근 5년간 학교 유형별-설립 유형별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수 	147
[그림 5-11]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율 차이	155
[그림 5-12]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내용의 수업 적용 경험	159
[그림 5-13]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참여를 하지 않은 주된 이유	159
[그림 5-14]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차이	161
[그림 5-15]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차이	163
[그림 5-16] 디지털 기기와 자원의 접근성-활용도 차이	169
[그림 5-17] 학교 특성에 따른 디지털 기술 활용 형태 차이	177
[그림 5-18] 학교 특성 및 개인 특성에 따른 디지털 역량 인식 차이	189
[그림 6-1] 직업교육에서 디지털 접근 격차를 바라보는 관점	209
[그림 6-2] TPACK 프레임워크와 구성요소 	2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계고의 디지털 격차 실태와 과제 2022.01.01~202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