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유관기관 전문가 협의회 운영 내용 13
<표 1-2> 산업분야 선정 결과 및 특성 15
<표 1-3> 분야별 전문가 원고 의뢰 내역 19
<표 1-4>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 및 방법 종합 20
<표 1-5>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의 개념 비교 21
<표 1-6> ’22년 범부처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 예산 편성 신기술 분야 23
<표 1-7>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 체계 개발 기본 틀 28
<표 2-1>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목적에 따른 차이 비교 41
<표 2-2> ’22년 범부처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 예산 편성 신기술 분야 51
<표 2-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자리 변화 예상 직종 63
<표 2-4> AI 도입에 따른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 67
<표 2-5> 국내 은행의 AI 도입 사례 70
<표 2-6> 12대 핵심산업의 학력별 인력 부족 현황 75
<표 2-7> 주요 산업 관련 전문대학 이상 졸업생 수 추이 76
<표 2-8> EU의 신기술 인력 수요 79
<표 2-9> 디지털 분야 신규인력 수요 전망 81
<표 2-10> 디지털 융합 분야 신규인력 수요 전망 82
<표 2-11> 그린・바이오・소재 분야 신규인력 수요 전망 82
<표 2-12> 전문대학 과정 계열별 입학생 수 변화 84
<표 2-13> 대학 과정 계열별 입학생 수 변화 85
<표 2-14> 대학원 과정 계열별 입학생수 변화 86
<표 2-15> 정부부처 신기술 분야별 훈련 현황 87
<표 2-16> 신기술 분야 인력 수급 전망(5년) 89
<표 2-17>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구분(2022년 예산) 92
<표 2-18> 범부처 혁신인재 양성사업 구성(2022년 신규) 93
<표 2-19> 미래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추정 105
<표 3-1>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 체계 개발 기본 틀 119
<표 3-2> 교육훈련 양성 수준(현행 분류 기준) 120
<표 3-3> IT분야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27
<표 3-4> 전기전자공학 전공 구직자의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29
<표 3-5> 반도체 기업 재직자의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1
<표 3-6> 자동차 기업 재직자의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3
<표 3-7> 금융 분야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5
<표 3-8> 소프트웨어기술자의 기술 등급 및 인정 범위 140
<표 3-9> NCS 산업현장 직무능력 수준 143
<표 3-10> ITSQF(IT 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 직무체계와 NCS 수준 147
<표 3-11> 고용노동부 ‘2020년 4차 산업 선도인력 양성사업’ 149
<표 3-12> AI·SW 인재양성 프로그램 구분 기준 150
<표 3-13> 반도체의 종류 154
<표 3-14> 반도체 기업 유형 및 주요 기업 156
<표 3-15> 직무별, 인적 특성별 산업기술인력 분포 157
<표 3-16> 직무별, 인적 특성별 산업기술인력 채용 분포 158
<표 3-17> 분야별, 학력별 산업기술인력 부족 분포 159
<표 3-18> 분야별, 직무별 산업기술인력 전망 160
<표 3-19>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금융산업의 변화 162
<표 3-20> 디지털 기술에 따른 금융산업의 변화 사례 163
<표 3-21> 은행 채용의 변화(2018~2021년) 171
<표 3-22> 우리은행 신입 채용 우대 사항(2021~2022년) 173
<표 3-23> IT 분야 각급별 주요 역할 177
<표 3-24> 4개 금융그룹 인재양성 전략 184
<표 4-1> DT인재 자격인증제 대상 직무 207
<표 4-2> 직무별・학력별 미래형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부족 현황 214
<표 4-3> 학력별 산업기술인력 전망 215
<표 4-4> 분야별・학력별 미래형자동차 직무전환 인력 분포 215
<표 4-5> 유형별 미래형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직무전환 규모 및 변화 216
<표 4-6> 금융기업 지원 주요 대학원 과정 224
<표 5-1>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수립 관련 요구분석 238
<표 5-2>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수요-공급 매칭 관련 요구분석 252
<표 5-3> 산업 분야와 관련 디지털 신기술 수요 매칭 253
<표 5-4> 산업 분야별 인력 수요-공급 매칭을 위한 기본 분석틀(예시) 254
<표 5-5>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을 위한 훈련과정 도출(예시) 261
<표 5-6> 기업의 전환 단계 및 단계별 훈련 수요 263
<표 5-7> 경력단계별 맞춤형 진단 및 교육훈련 제공 267
<표 5-8>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을 위한 주체별 역할 및 기능 277
<부록 - 표 1> 한국직업사전 소멸직업 목록 307
<부록 - 표 2> 한국직업사전 신생직업 목록 309
<부록 - 표 3> FGI 참여자 개요 321
<부록 - 표 4> 직무와 관련된 디지털 신기술 322
<부록 - 표 5> FGI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3
<부록 - 표 6> 직무와 관련된 디지털 신기술 337
<부록 - 표 7> FGI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38
<부록 - 표 8> 디지털 신기술 관련 정책 추진 분야 369
[그림 1-1] 정부지원 인력양성 지원 사업 시행 현황(2022년 기준) 4
[그림 1-2] 정부지원 인력양성 지원 사업 부처별 예산 비중(2022년 기준) 5
[그림 1-3] 연구 개요 9
[그림 1-4] 경력전환의 유형 25
[그림 1-5]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 개요도(안) 29
[그림 2-1] 디지털 전환에 관한 용어 검색 국내 관심도 추이 36
[그림 2-2] 디지털 전환의 구조 37
[그림 2-3] 디지털 전환의 진화 38
[그림 2-4] 삼성SDS 디지털 전환 서비스 40
[그림 2-5] 4차 산업혁명 대정부 권고안 체계도 46
[그림 2-6] ‘한국판 뉴딜 2.0’ 구조 47
[그림 2-7] ‘디지털 뉴딜 2.0’ 추진 방향 48
[그림 2-8] 산업 디지털 확산 전략 50
[그림 2-9]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주요 과제 53
[그림 2-10]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직업세계 변화 양상 55
[그림 2-11] 이커머스(E-commerce) 성장 현황 56
[그림 2-12] 코로나19 이후 직업전환 요구 분야 57
[그림 2-13] 코로나19 이후 국가별 직업조합 변화 58
[그림 2-14]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직종별 자동화 확률: 자동화 위험이 높은 직종 60
[그림 2-15]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직종별 자동화 확률: 자동화 위험이 낮은 직종 61
[그림 2-16]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직종별 자동화 확률: 자동화 위험이 중간 정도인 직종 61
[그림 2-17] 직무의 숙련도와 정형화 정도에 따른 기술 대체 가능성 65
[그림 2-18] 12대 핵심산업의 인력 부족 현황 74
[그림 2-19] 시장 수요와 정부의 육성 사업 시차 76
[그림 2-20] 주요 기술 분야별 혁신인재 수요 77
[그림 2-21] 주요 산업별 혁신인재 수요 78
[그림 2-22] 13대 세부 산업별 30대 기술 분야 혁신인재 수요 80
[그림 2-23] 주요 기술 분야별 혁신인재 수요 90
[그림 2-24] 디지털 인재와 디지털 기술 95
[그림 2-25] 디지털 인재 양성 비전과 목표 96
[그림 2-26] 기술인력 지식구조의 기업, 대학 역할 분담 98
[그림 2-27] 복수의 AI 기술을 요구하는 구인 공고 수 99
[그림 2-28] 국가별, 연도별 AI 관련 구인공고 규모 추이 100
[그림 2-29] 새 정부 110개 국정과제 중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관련 부문 101
[그림 2-30] 디지털 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기술별 주요 정책 108
[그림 3-1]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도(예시) 122
[그림 3-2] 국가역량체계의 개념도 141
[그림 3-3] NCS 정보통신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분류 맵 142
[그림 3-4] NCS 정보통신 인공지능 경력개발경로 찾기 사례 144
[그림 3-5] IT분야 산업별 역량체계 개념도 145
[그림 3-6] SW기술자 기술 자격 146
[그림 3-7] ‘모두의연구소(아이펠)’ 인재양성과정 프로그램 152
[그림 3-8] 반도체 가치사슬 구조 155
[그림 3-9] 국민은행 조직도(2022년) 166
[그림 3-10] 신한은행 조직도(2022년) 167
[그림 3-11] 국내 시중은행 인력 현황(2001~2020년) 169
[그림 3-12] 국내 시중은행 IT인력 현황(2001~2020년) 170
[그림 3-13] IT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안) 178
[그림 3-14] NCS 반도체 개발 분류체계 179
[그림 3-15] 성균관대학교 반도체학과 교육과정 181
[그림 3-16] 제조업-반도체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안) 182
[그림 3-17] 금융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안) 186
[그림 3-18] 플랫폼 기반의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 전략 및 추진 절차 188
[그림 3-19] IT 분야 신기술의 변화에 신속한 대응 전략 189
[그림 3-20] IT 분야의 합리적 인재관리 전략 191
[그림 3-21] 반도체 인력양성 체계 193
[그림 3-22]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문 인력양성사업 194
[그림 3-23]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문인력 양성 추진체계 195
[그림 3-24] 금융 분야 신규인력 양성 체계 196
[그림 4-1] 디지털 신기술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도(예시) 205
[그림 4-2] 제조업 DX의 개념 208
[그림 4-3] 제조업 DX의 진화 단계 209
[그림 4-4] 현대자동차 그룹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 조감도 210
[그림 4-5]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융복합 211
[그림 4-6] 데이터 생산, 추적, 가공, 공유 체계 212
[그림 4-7] 미래차에 대한 정부지원사업 분포 213
[그림 4-8] 학력별 미래형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현원 구성비 비교 213
[그림 4-9] IT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안) 218
[그림 4-10] 자동차산업 분야 실무자 교육과정 체계도 221
[그림 4-11] 자동차산업 분야 리더 교육과정 체계도 222
[그림 4-12] 제조업-자동차산업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안) 222
[그림 4-13] 금융 분야 경력전환 체계 225
[그림 4-14] 금융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안) 227
[그림 4-15] IT분야 인재관리를 위한 플랫폼 구축 전략 228
[그림 4-16] IT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추진 방안 229
[그림 5-1]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별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추진 체계 239
[그림 5-2]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력 방안-1. 신규인력 양성 241
[그림 5-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력 방안-2. 채용 242
[그림 5-4]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력 방안-3. 기존 인력 경력전환 243
[그림 5-5] IT분야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체계(안) 244
[그림 5-6] IT분야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추진 방안 245
[그림 5-7] 금융 분야 신규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체계(안) 250
[그림 5-8] 인력수급 전망의 구조 256
[그림 5-9] 지식과 기술 수순 정보에 따른 인력 수요-공급 매칭을 위한 모형 257
[그림 5-10] 산업계 AI 인력수요 기반의 대학 AI 교육 커리큘럼 개발 절차 269
[그림 5-11] 디지털 전환 직무역량체계 개발 도구(예시) 270
[그림 5-12] 정부 지원 인력양성 사업의 지원 항목 분석 273
[그림 5-13] 정부 지원 인력양성 사업의 수도권 편중 현상 274
[그림 5-14]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을 위한 실천 모형 276
[그림 5-15] 신기술 인력양성 사업 성과관리 지원체계 모형 281
[부록 - 그림 1] IT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6
[부록 - 그림 2] IT분야 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6
[부록 - 그림 3] 금융 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8
[부록 - 그림 4] 금융 분야 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8
[부록 - 그림 5] 자동차제조업 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50
[부록 - 그림 6] 시스템반도체 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50
[부록 - 그림 7] 제조업 분야 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51
[부록 - 그림 8] 데이터ㆍAI경제 활성화 계획 비전 및 추진 전략 353
[부록 - 그림 9] 국가데이터 정책 추진체계도 354
[부록 - 그림 10] 인공지능 국가전략 인포그래픽 356
[부록 - 그림 11]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실현 전략 비전 및 목표 357
[부록 - 그림 12]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 359
[부록 - 그림 13] ‘5G+ 융합서비스’ 추진 전략 360
[부록 - 그림 14]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 비전 및 전략 362
[부록 - 그림 15]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 363
[부록 - 그림 16]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를 위한 비전 및 추진전략 365
[부록 - 그림 17] K-사이버 방역 추진전략 비전 및 전략 367
[부록 - 그림 18] 10대 국가 필수 전략기술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