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rkforce training and career transition system in new technology according to digital transformation
저자
장혜정 박동찬 유한구 정란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0.31
등록일
2023.01.12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디지털 전환, 신기술, 인력양성, 경력전환, 체계 개발
요 약_xiii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0
제3절 용어의 정의 및 연구 범위	21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현황 분석_33
제1절 디지털 전환과 신기술	35
제2절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직업세계의 변화	54
제3절 신기술 인력 수요 및 공급 현황	73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07
제3장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체계_117
제1절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체계 개발 개요	120
제2절 산업 분야별 인력양성 체계	139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87
제4장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기술 분야 경력전환 체계_201
제1절 신기술 분야 경력전환 체계 개발 개요	203
제2절 산업 분야별 경력전환 체계	206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228
제5장 정책 제언_235
제1절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체계 구축	237
제2절 향후 추진과제	251
SUMMARY_285
참고문헌_289
부  록_305
1. 한국직업사전 소멸직업 및 신생직업 목록	307
2. FGI 조사지(재직자용)	312
3. FGI 조사지(구직자용)	316
4.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을 위한 FGI 분석 결과	320
5. 디지털 신기술별 주요 정책	352
메가트렌드인 디지털 전환이 교육-노동-산업 측면에서 다층적인 변화를 일으킴에 따라 신기술 성장에 따른 인력양성과 인력수급의 정책 변화가 필요하며, 이에 인력수요와 실제 인력양성 공급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기술 분야 인력수급 불균형과 관련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21개 분야에 대한 중장기 인력수요전망을 도출하고, ’21년 부처 예산 편성 자료를 기준으로 103개 사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인력양성 공급이 대부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기반 분야의 초급 수준에 치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중·고급 수준의 인력양성사업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오호영 외, 2020) 과다 공급되는 분야와 공급이 부족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신기술 분야 인력수요-공급 매칭에 따른 통합적 인력양성 체계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진로, 고용, 평생직업능력개발을 포괄한 보다 다양한 관점과 접근을 통해 디지털화에 따른 신기술 분야 인력의 신규인력 양성과 더불어 재직자의 직무전환 및 재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재교육에 관한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하기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
In order to respond to technological changes and growing demand for workforce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time to take a more diverse perspective and approach that encompasses career, employment, and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a workforce training system related to new technology follow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establishes a policy to support such a system to operate well so that a practical workforce can be trained. In addition, this study develops a new workforce training system centered on young job-seekers and a career transition system for incumbents by each industry. ...
<표 1-1> 유관기관 전문가 협의회 운영 내용	13
<표 1-2> 산업분야 선정 결과 및 특성	15
<표 1-3> 분야별 전문가 원고 의뢰 내역	19
<표 1-4>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 및 방법 종합	20
<표 1-5>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의 개념 비교	21
<표 1-6> ’22년 범부처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 예산 편성 신기술 분야	23
<표 1-7>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 체계 개발 기본 틀	28
<표 2-1>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목적에 따른 차이 비교	41
<표 2-2> ’22년 범부처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 예산 편성 신기술 분야	51
<표 2-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자리 변화 예상 직종	63
<표 2-4> AI 도입에 따른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	67
<표 2-5> 국내 은행의 AI 도입 사례	70
<표 2-6> 12대 핵심산업의 학력별 인력 부족 현황	75
<표 2-7> 주요 산업 관련 전문대학 이상 졸업생 수 추이	76
<표 2-8> EU의 신기술 인력 수요	79
<표 2-9> 디지털 분야 신규인력 수요 전망	81
<표 2-10> 디지털 융합 분야 신규인력 수요 전망	82
<표 2-11> 그린・바이오・소재 분야 신규인력 수요 전망	82
<표 2-12> 전문대학 과정 계열별 입학생 수 변화	84
<표 2-13> 대학 과정 계열별 입학생 수 변화	85
<표 2-14> 대학원 과정 계열별 입학생수 변화	86
<표 2-15> 정부부처 신기술 분야별 훈련 현황	87
<표 2-16> 신기술 분야 인력 수급 전망(5년)	89
<표 2-17>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구분(2022년 예산)	92
<표 2-18> 범부처 혁신인재 양성사업 구성(2022년 신규)	93
<표 2-19> 미래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추정	105
<표 3-1>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 체계 개발 기본 틀	119
<표 3-2> 교육훈련 양성 수준(현행 분류 기준)	120
<표 3-3> IT분야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27
<표 3-4> 전기전자공학 전공 구직자의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29
<표 3-5> 반도체 기업 재직자의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1
<표 3-6> 자동차 기업 재직자의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3
<표 3-7> 금융 분야 FGI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5
<표 3-8> 소프트웨어기술자의 기술 등급 및 인정 범위	140
<표 3-9> NCS 산업현장 직무능력 수준	143
<표 3-10> ITSQF(IT 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 직무체계와 NCS 수준	147
<표 3-11> 고용노동부 ‘2020년 4차 산업 선도인력 양성사업’	149
<표 3-12> AI·SW 인재양성 프로그램 구분 기준	150
<표 3-13> 반도체의 종류	154
<표 3-14> 반도체 기업 유형 및 주요 기업	156
<표 3-15> 직무별, 인적 특성별 산업기술인력 분포	157
<표 3-16> 직무별, 인적 특성별 산업기술인력 채용 분포	158
<표 3-17> 분야별, 학력별 산업기술인력 부족 분포	159
<표 3-18> 분야별, 직무별 산업기술인력 전망	160
<표 3-19>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금융산업의 변화	162
<표 3-20> 디지털 기술에 따른 금융산업의 변화 사례	163
<표 3-21> 은행 채용의 변화(2018~2021년)	171
<표 3-22> 우리은행 신입 채용 우대 사항(2021~2022년)	173
<표 3-23> IT 분야 각급별 주요 역할	177
<표 3-24> 4개 금융그룹 인재양성 전략	184
<표 4-1> DT인재 자격인증제 대상 직무	207
<표 4-2> 직무별・학력별 미래형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부족 현황	214
<표 4-3> 학력별 산업기술인력 전망	215
<표 4-4> 분야별・학력별 미래형자동차 직무전환 인력 분포	215
<표 4-5> 유형별 미래형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직무전환 규모 및 변화	216
<표 4-6> 금융기업 지원 주요 대학원 과정	224
<표 5-1>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수립 관련 요구분석	238
<표 5-2>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수요-공급 매칭 관련 요구분석	252
<표 5-3> 산업 분야와 관련 디지털 신기술 수요 매칭	253
<표 5-4> 산업 분야별 인력 수요-공급 매칭을 위한 기본 분석틀(예시)	254
<표 5-5>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을 위한 훈련과정 도출(예시)	261
<표 5-6> 기업의 전환 단계 및 단계별 훈련 수요	263
<표 5-7> 경력단계별 맞춤형 진단 및 교육훈련 제공	267
<표 5-8>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을 위한 주체별 역할 및 기능	277
<부록 - 표 1> 한국직업사전 소멸직업 목록	307
<부록 - 표 2> 한국직업사전 신생직업 목록	309
<부록 - 표 3> FGI 참여자 개요	321
<부록 - 표 4> 직무와 관련된 디지털 신기술	322
<부록 - 표 5> FGI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3
<부록 - 표 6> 직무와 관련된 디지털 신기술	337
<부록 - 표 7> FGI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38
<부록 - 표 8> 디지털 신기술 관련 정책 추진 분야	369
[그림 1-1] 정부지원 인력양성 지원 사업 시행 현황(2022년 기준)	4
[그림 1-2] 정부지원 인력양성 지원 사업 부처별 예산 비중(2022년 기준)	5
[그림 1-3] 연구 개요	9
[그림 1-4] 경력전환의 유형	25
[그림 1-5]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 개요도(안)	29
[그림 2-1] 디지털 전환에 관한 용어 검색 국내 관심도 추이	36
[그림 2-2] 디지털 전환의 구조	37
[그림 2-3] 디지털 전환의 진화	38
[그림 2-4] 삼성SDS 디지털 전환 서비스	40
[그림 2-5] 4차 산업혁명 대정부 권고안 체계도	46
[그림 2-6] ‘한국판 뉴딜 2.0’ 구조	47
[그림 2-7] ‘디지털 뉴딜 2.0’ 추진 방향	48
[그림 2-8] 산업 디지털 확산 전략	50
[그림 2-9]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주요 과제	53
[그림 2-10]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직업세계 변화 양상	55
[그림 2-11] 이커머스(E-commerce) 성장 현황	56
[그림 2-12] 코로나19 이후 직업전환 요구 분야	57
[그림 2-13] 코로나19 이후 국가별 직업조합 변화	58
[그림 2-14]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직종별 자동화 확률: 자동화 위험이 높은 직종	60
[그림 2-15]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직종별 자동화 확률: 자동화 위험이 낮은 직종	61
[그림 2-16]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직종별 자동화 확률: 자동화 위험이 중간 정도인 직종	61
[그림 2-17] 직무의 숙련도와 정형화 정도에 따른 기술 대체 가능성	65
[그림 2-18] 12대 핵심산업의 인력 부족 현황	74
[그림 2-19] 시장 수요와 정부의 육성 사업 시차	76
[그림 2-20] 주요 기술 분야별 혁신인재 수요	77
[그림 2-21] 주요 산업별 혁신인재 수요	78
[그림 2-22] 13대 세부 산업별 30대 기술 분야 혁신인재 수요	80
[그림 2-23] 주요 기술 분야별 혁신인재 수요	90
[그림 2-24] 디지털 인재와 디지털 기술	95
[그림 2-25] 디지털 인재 양성 비전과 목표	96
[그림 2-26] 기술인력 지식구조의 기업, 대학 역할 분담	98
[그림 2-27] 복수의 AI 기술을 요구하는 구인 공고 수	99
[그림 2-28] 국가별, 연도별 AI 관련 구인공고 규모 추이	100
[그림 2-29] 새 정부 110개 국정과제 중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관련 부문	101
[그림 2-30] 디지털 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기술별 주요 정책	108
[그림 3-1]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도(예시)	122
[그림 3-2] 국가역량체계의 개념도	141
[그림 3-3] NCS 정보통신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분류 맵	142
[그림 3-4] NCS 정보통신 인공지능 경력개발경로 찾기 사례	144
[그림 3-5] IT분야 산업별 역량체계 개념도	145
[그림 3-6] SW기술자 기술 자격	146
[그림 3-7] ‘모두의연구소(아이펠)’ 인재양성과정 프로그램	152
[그림 3-8] 반도체 가치사슬 구조	155
[그림 3-9] 국민은행 조직도(2022년)	166
[그림 3-10] 신한은행 조직도(2022년)	167
[그림 3-11] 국내 시중은행 인력 현황(2001~2020년)	169
[그림 3-12] 국내 시중은행 IT인력 현황(2001~2020년)	170
[그림 3-13] IT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안)	178
[그림 3-14] NCS 반도체 개발 분류체계	179
[그림 3-15] 성균관대학교 반도체학과 교육과정	181
[그림 3-16] 제조업-반도체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안)	182
[그림 3-17] 금융 분야 인력양성 체계 구성(안)	186
[그림 3-18] 플랫폼 기반의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 전략 및 추진 절차	188
[그림 3-19] IT 분야 신기술의 변화에 신속한 대응 전략	189
[그림 3-20] IT 분야의 합리적 인재관리 전략	191
[그림 3-21] 반도체 인력양성 체계	193
[그림 3-22]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문 인력양성사업	194
[그림 3-23]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문인력 양성 추진체계	195
[그림 3-24] 금융 분야 신규인력 양성 체계	196
[그림 4-1] 디지털 신기술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도(예시)	205
[그림 4-2] 제조업 DX의 개념	208
[그림 4-3] 제조업 DX의 진화 단계	209
[그림 4-4] 현대자동차 그룹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 조감도	210
[그림 4-5]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융복합	211
[그림 4-6] 데이터 생산, 추적, 가공, 공유 체계	212
[그림 4-7] 미래차에 대한 정부지원사업 분포	213
[그림 4-8] 학력별 미래형 자동차산업 기술인력 현원 구성비 비교	213
[그림 4-9] IT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안)	218
[그림 4-10] 자동차산업 분야 실무자 교육과정 체계도	221
[그림 4-11] 자동차산업 분야 리더 교육과정 체계도	222
[그림 4-12] 제조업-자동차산업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안)	222
[그림 4-13] 금융 분야 경력전환 체계	225
[그림 4-14] 금융 분야 경력전환 체계 구성(안)	227
[그림 4-15] IT분야 인재관리를 위한 플랫폼 구축 전략	228
[그림 4-16] IT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추진 방안	229
[그림 5-1]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별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추진 체계	239
[그림 5-2]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력 방안-1. 신규인력 양성	241
[그림 5-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력 방안-2. 채용	242
[그림 5-4]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력 방안-3. 기존 인력 경력전환	243
[그림 5-5] IT분야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체계(안)	244
[그림 5-6] IT분야 신규인력 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추진 방안	245
[그림 5-7] 금융 분야 신규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통합 체계(안)	250
[그림 5-8] 인력수급 전망의 구조	256
[그림 5-9] 지식과 기술 수순 정보에 따른 인력 수요-공급 매칭을 위한 모형	257
[그림 5-10] 산업계 AI 인력수요 기반의 대학 AI 교육 커리큘럼 개발 절차	269
[그림 5-11] 디지털 전환 직무역량체계 개발 도구(예시)	270
[그림 5-12] 정부 지원 인력양성 사업의 지원 항목 분석	273
[그림 5-13] 정부 지원 인력양성 사업의 수도권 편중 현상	274
[그림 5-14] 신규인력 양성 및 재직자 경력전환을 위한 실천 모형	276
[그림 5-15] 신기술 인력양성 사업 성과관리 지원체계 모형	281
[부록 - 그림 1] IT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6
[부록 - 그림 2] IT분야 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6
[부록 - 그림 3] 금융 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8
[부록 - 그림 4] 금융 분야 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48
[부록 - 그림 5] 자동차제조업 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50
[부록 - 그림 6] 시스템반도체 분야 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50
[부록 - 그림 7] 제조업 분야 구직자 경력개발경로(예시)	351
[부록 - 그림 8] 데이터ㆍAI경제 활성화 계획 비전 및 추진 전략	353
[부록 - 그림 9] 국가데이터 정책 추진체계도	354
[부록 - 그림 10] 인공지능 국가전략 인포그래픽	356
[부록 - 그림 11]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실현 전략 비전 및 목표	357
[부록 - 그림 12]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	359
[부록 - 그림 13] ‘5G+ 융합서비스’ 추진 전략	360
[부록 - 그림 14]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 비전 및 전략	362
[부록 - 그림 15]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	363
[부록 - 그림 16]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를 위한 비전 및 추진전략	365
[부록 - 그림 17] K-사이버 방역 추진전략 비전 및 전략	367
[부록 - 그림 18] 10대 국가 필수 전략기술	36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및 경력전환 체계 개발 연구 2022.01.01~202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