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2022)

Korean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Vocational Ethics (2022)
저자
이지연 정지은 박화춘 김나라 권효원 주인중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1
등록일
2023.01.3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직업의식, 직업윤리, 직업위세, 일의 가치, 펜데믹 이전과 이후 비교, 24년간의 변화 양상
요 약
제1장 서 론_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10
제4절 용어 정의	24
제5절 연구 한계	29
제2장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선행연구_ 31
제1절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개념과 구성요소	33
제2절 설문조사 방법 변화와 조사 결과의 특징 	47
제3절 선행 정기조사 주기별 환경변화 스캐닝	69
제4절 시사점	78
제3장 제7차 정기조사 실태_ 83
제1절 조사 개요	85
제2절 직업의식	92
제3절 직업윤리	148
제4절 기타 개인 심리적 특성 	183
제5절 분석 결과의 주요 이슈	196
제4장 24년간의 변화 및 코로나 이전과 이후 비교_ 209
제1절 24년간의 변화 추이	211
제2절 코로나 이전(2018)과 이후(2022) 비교	245
제3절 분석 결과의 주요 이슈	287
제5장 정책과제 및 추후 연구 제언_ 307
제1절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분석 결과의 주요 이슈	309
제2절 ‘건강한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함양을 위한 정책과제	313
제3절 추후 연구 제언	334
SUMMARY_339
참고문헌_343
부  록_349
<부록 1> 2022년(7차) 설문지 _ 취업자	351
<부록 2> 2022년(7차) 설문지 _ 미취업자	369
<부록 3> FGI 그룹별 참석자 Profile	380
이 연구의 목적은 4년마다 정기적으로 조사되는 제7차년도(2022년) 정기조사라는 목적과 2022년부터 시작되어 3년 동안에 마무리되는 지속 연구의 1차년도 과제라는 목적을 동시에 갖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4년마다 실시되는 제7차년도(2022년) 정기조사로서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다.
- 일(직업) 가치: 전체 삶에서 일(직업)이 차지하는 중요도·가치·만족
- 일(직업) 인식·태도: 직업의견·관습·태도, 직업전문성, 직업의식 주요 쟁점(2022년 기준) 등
- 직업윤리 수준: 전반적 윤리, 직업별 윤리, 직업위세와 직업윤리
- 세부 직무수행윤리와 공정성 등
둘째, 24년간의 축적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 및 변화를 추적하여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셋째, COVID19 이전(2018년)과 이후(2022)를 비교 분석한다.   넷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육(훈련)·노동·사회 관련 정책들을 제시한다. 
The “Korean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Vocational Ethics” study is a survey study that KRIVET has continuously conducted every four years since 1998, and 2022 is the seventh survey cycle. Many experts have consistently raised the limitations that end in a year of research compared to these vast surveys and accumulated data. Therefore, this study is a regular survey corresponding to the 7th (2022) survey, and at the same time, the nature of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1st year of the task that lasts over the 3rd year appears at the same tim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three purposes. The first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7th (2022) regular survey, the second is to analyze changes over 24 years, and the third is to seek a new normal working consciousness and work ethic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VID-19 (2018) before and after (2022). ...
<표 1-1> 양·질적 조사를 위한 조사 방법 개요	11
<표 1-2> 1~7주기 설문조사 내용의 일치성(2018년 설문지 구조 기준)	13
<표 1-3> 제7차년도(2022년) 설문지 재구조화에 따른 분석 구분	16
<표 1-4> 2018년과 2022년 설문지 문항 구조 비교	23
<표 1-5> 2022년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정의 및 구성 영역 및 요소	24
<표 1-6> 세대별 특징 및 요구 요약	26
<표 1-7> ‘건강한 직업의식과 직업윤리’의 6개 구성요소	28
<표 2-1> 직능연 연구에서 나타난 직업의식 정의	35
<표 2-2> 직능연 조사 연구에서 나타난 직업의식 하위 영역 및 내용	36
<표 2-3> 직능연 조사 연구에서 나타난 직업윤리의 정의	41
<표 2-4> 직업윤리 하위 요소 및 측정 방법	43
<표 2-5> 제6차 조사에서 사용된 직업윤리 측정 도구 영역과 문항	45
<표 2-6> 제1차(1998년)~제6차(2018년) 설문조사 비교	48
<표 2-7> 제1차(1998년)~제6차(2018년) 설문도구 영역 및 문항 내용	50
<표 2-8> 시대적 상황과 연관된 직업의식 구성요소 및 문항 구조 비교 (제1차~제6차)	51
<표 2-9> 제1차(1998년)~제6차(2018년) 조사 지역별 응답자 수	55
<표 2-10> 제1차년도(1998년)~제6차년도(2018년) 조사 성별 응답자 수	57
<표 2-11> 제1차(1998년)~제6차(2018년) 조사 연령별 응답자 수	58
<표 2-12> 제1차(1998년)~제6차(2018년) 조사 취업 상태별 응답자 수	59
<표 2-13> 제1차년도(1998년)~제3차년도(2006년) 직업별 응답자 수	60
<표 2-14> 제1차년도(1998년)~제6차년도(2018년) 조사 결과 요약	68
<표 2-15> 빅카인즈 뉴스 분석 시스템 세부 내용	69
<표 2-16> 제7차 설문조사 결과와 연계된 정책 관련 주요 기사 제목 정리	76
<표 3-1> 표본설계 절차	85
<표 3-2> 표본배분 결과	86
<표 3-3> 직업 분류 및 부차 할당	88
<표 3-4> 취업 여부별 응답자 특성	90
<표 3-5> 주요 측정 도구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	91
<표 3-6> 개인 특성별 삶의 영역별 중요도(Q1)	93
<표 3-7> 개인 특성별 일의 가치(Q2): 개인적 일 가치	95
<표 3-8> 개인 특성별 일의 가치(Q2): 사회적 일 가치	96
<표 3-9> 개인 특성별 일의 만족도(Q3)	98
<표 3-10> 개인 특성별(세대) 일(직업) 의견 및 관습(Q4)_1	102
<표 3-11> 개인 특성별(성별/세대) 일(직업) 의견 및 관습(Q4)_2	103
<표 3-12> 일(직업) 의견 및 관습과 일의 만족(Q4)	105
<표 3-13> 개인 특성별(성별/연령/세대/학력별/소득별) 구직 단념 이유(Q5)	107
<표 3-14> 구직 단념 이유(Q5)와 경력관리 자기주도성(Q12)	110
<표 3-15> 개인 특성별(성별/연령/세대/학력별) 갑을 소속 여부(Q6)	111
<표 3-16> 직업 및 고용별 본인의 업무에 대한 갑을 소속 여부(Q6)	113
<표 3-17> 본인의 업무에 대한 갑을 소속 여부(Q6)와 자기직업전문성(Q9)	113
<표 3-18> 본인의 업무에 대한 갑을 소속 여부(Q6)와 경력관리 자기주도성(Q12)	114
<표 3-19> 개인 특성별(세대, 경제 상태별)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기간 의향(Q7)	117
<표 3-20> 개인 특성별(세대) 직업태도(Q8)	119
<표 3-21> 직업태도(Q8)와 일의 중요도(Q1)	120
<표 3-22> 직업태도(Q8)와 자기직업전문성(Q9)	120
<표 3-23> 직업태도(Q8)와 경력관리 자기주도성(Q12)	121
<표 3-24>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갑질 고발과 직장의 부정한 일 대응(Q8-7)	122
<표 3-25> 개인 특성별(성별/연령/세대/학력별/경제 상태별) 근로시간 연장 의향(Q8-6)	123
<표 3-26> 개인 특성별(세대, 학력별, 경제 상태별) 자기직업전문성(Q9)	126
<표 3-27> 직업 및 고용별 자기직업전문성(Q9)	127
<표 3-28> 자기직업전문성(Q9)과 경력관리 자기주도성(Q12)	129
<표 3-29> 개인 특성별(세대, 학력별) 직업의식 주요 쟁점(직업 관련)	131
<표 3-30> 직업 및 고용별(고용 형태) 직업의식 주요 쟁점(직업 관련)	133
<표 3-31> 개인 특성별(성/세대/학력/경제 상태) 직업의식 주요 쟁점(노동 관련)	135
<표 3-32> 직업 및 고용별(직업 구분, 근무 경력) 직업의식 주요 쟁점(노동 관련)	138
<표 3-33> 개인 특성별 직업의식 주요 쟁점(사회/교육 관련)	141
<표 3-34> 직업 및 고용별 직업의식 주요 쟁점(사회/교육 관련)	143
<표 3-35> 개인 특성별(취업 여부/성별/세대/학력별/경제 상태) 경력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Q12)	146
<표 3-36> 개인 특성별 전반적 윤리(Q13)	149
<표 3-37> 직업 및 업종별 전반적 직업윤리(Q13)	151
<표 3-38> 직업위세 및 직업윤리 IPA 분석(Q10)	154
<표 3-39> 직무수행윤리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및 기술통계(Q14)	157
<표 3-40> 직무수행윤리의 성, 학력, 고용 지위, 경제 상태별 비교(Q14)	159
<표 3-41> 경제 상태별 직무수행윤리 사후검정 비교(Q14)	160
<표 3-42> 세대별 8개 하위 문항에 대한 직무수행윤리(Q14)	161
<표 3-43> 업무시간 외 온라인을 통한 업무지시에 대한 인식 현황(Q15)	163
<표 3-44> 직장의 부정한 일에 대한 태도(Q16) 	165
<표 3-45> 개인 특성별 타인의 공정한 일 처리 인식(Q17)	169
<표 3-46> 개인 특성별 자신의 공정한 일 처리 평가(Q18)	171
<표 3-47> 직업 및 고용별 자신의 공정한 일 처리 평가(Q18)	172
<표 3-48> 개인가구직업 및 고용 특성별 우리 사회의 공정성(Q19)	175
<표 3-49> 개인 특성별 승진(진급) 장애의 귀인 양식(Q20)	180
<표 3-50> 개인 특성별 능력에 따른 임금 차등화(동일노동, 동일임금)(Q21)	182
<표 3-51> 일의 가치와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Q2)_1 	184
<표 3-52> 일의 가치와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Q2)_2	185
<표 3-53> 일의 만족 영역과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Q3)	186
<표 3-54> 일(직업) 의견 및 관습과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Q4)	188
<표 3-55> 본인 업무의 갑/을 소속 여부(Q6)와 삶의 만족도(Q22) 및 행복도(Q23) 	189
<표 3-56> 근로시간 연장 의향과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Q8-6)	190
<표 3-57> 정치 성향별 직업의식 주요 쟁점	191
<표 3-58> 직업의식 주요 쟁점 정치 성향 결과 요약	192
<표 3-59> 전반적 윤리 수준과 삶의 만족도 및 행복도(Q13)	193
<표 3-60> 우리 사회의 공정성과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Q19)	195
<표 4-1> 직업 의견/관습(연도별)(Q4) 	218
<표 4-2>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기간 의향(연도별)(Q7)	220
<표 4-3> 직업태도(연도별)(Q8)	221
<표 4-4> 경제적 보상에 따른 근로시간 연장 의향(연도별)(Q8-6)	223
<표 4-5> 자기직업전문성(연도별)(Q9)	224
<표 4-6> 직업의식 주요 쟁점(연도별)(Q11)	226
<표 4-7> 전반적 윤리(연도별)(Q13)	227
<표 4-8> 직장의 부정한 일에 대한 태도(Q16)	234
<표 4-9> 공정한 일 처리 판단(연도별)(Q17 & Q18)	236
<표 4-10> 승진(진급) 장애의 귀인 양식(연도별)(Q20)	237
<표 4-11> 능력에 따른 임금 차등화(연도별)(Q21)	239
<표 4-12>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연도별)(Q22)	241
<표 4-13> 행복도(연도별)(Q23)	242
<표 4-14> 경제 상태(연도별)(Q33)	244
<표 4-15> 일의 만족도: 작업환경(연도별)(Q3-4)	248
<표 4-16> 본인의 업무에 대한 갑/을 소속 여부(Q6)	251
<표 4-17> 자기직업전문성(코로나 전/후 비교)(Q9)_1	252
<표 4-18> 자기직업전문성(코로나 전/후 비교)(Q9)_2	254
<표 4-19> 자기의지에 따른 경력(진로)관리 여부(연도별)(Q12-1)	257
<표 4-20> 경력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코로나 전/후 비교)(Q12)	258
<표 4-21> 전반적 윤리(코로나 전/후 비교)(Q13)	261
<표 4-22> 직업위세(코로나 전/후 비교)(Q10)_1	264
<표 4-23> 직업윤리(코로나 전/후 비교)(Q10)_1	267
<표 4-24> 직무수행윤리의 코로나 이전과 이후 차이(Q14)	271
<표 4-25> 업무시간 외 온라인을 통한 업무지시에 대한 인식(연도별)(Q15)	273
<표 4-26> 우리 사회의 공정성(연도별)(Q19)	274
<표 4-27>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코로나 전/후 비교)(Q22)	276
<표 4-28> 행복도(코로나 전/후 비교)(Q23)	279
<표 4-29> 개인가구직업별 전반적 건강 상태(Q27)	281
<표 4-30> 개인가구직업 및 고용별 코로나 이전 대비, 소득 증가 여부(Q32)	284
<표 4-31> 경제 상태(Q33)와 1인당 GNI(국민총소득) 비교	297
<표 5-1> 제7차 정기조사 · 24년간 변화 · 코로나 이전/이후 비교를 통한 주요 이슈 요약	310
<표 5-2> ‘건강한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강화를 위한 4단계 세부 방안	316
<표 5-3> 진로·직업교육훈련 관련 법령안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포함 여부	316
<표 5-4> 제2차년도(2023) 국제비교연구 지속사업 내용 및 기대 효과	334
<표 5-5> 제8차(2026) 정기조사 설문도구를 위한 제언 요약	337
<표 5-6> 제8차(2026년) 정기조사 설문조사 도구의 구조 예시	338
[그림 1-1]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2022)의 제3차년도 연구 틀(안)	6
[그림 1-2]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22년) 개념 모형	9
[그림 1-3] 연구 내용 및 방법	10
[그림 1-4] 제7차년도(2022년) 정기조사를 위한 설문도구 개발 과정	12
[그림 1-5] 2022년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정의 및 구성 영역	25
[그림 2-1] 주기별 주요 이슈어(연관어) 변화 양상 요약	70
[그림 3-1] 삶의 영역별 중요도(Q1)	92
[그림 3-2] 일의 가치(Q2): 개인적 일 가치	94
[그림 3-3] 일의 만족도(Q3)	97
[그림 3-4] 일(직업) 의견 및 관습(Q4)	100
[그림 3-5] 구직 단념자들의 구직 단념 이유(Q5)	106
[그림 3-6] 본인의 업무에 대한 갑/을 소속 여부(Q6)	111
[그림 3-7]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기간 의향(Q7)	116
[그림 3-8] 직업태도(Q8)	118
[그림 3-9] 경제적 보상에 따른 근로시간 연장 의향(Q8-6)	122
[그림 3-10] 자기직업전문성(Q9)	125
[그림 3-11] 직업의식 주요 쟁점(Q11)	130
[그림 3-12] 경력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Q12)	145
[그림 3-13] 전반적 윤리(Q13)	148
[그림 3-14] 직업윤리 및 직업위세 IPA 분석(Q10)	153
[그림 3-15] 소속된 직장의 부정한 일에 대한 태도(Q16)	165
[그림 3-16] 타인의 공정한 일 처리 판단(Q17)	168
[그림 3-17] 자신의 공정한 일 처리 판단(Q18) 	170
[그림 3-18] 우리 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Q19) 	174
[그림 3-19] 승진(진급) 장애의 귀인양식(Q20)	179
[그림 3-20] 능력에 따른 임금 차등화(동일노동, 동일임금)(Q21)	181
[그림 4-1] 삶의 영역에서 일이 차지하는 중요도(연도별)(Q1)	212
[그림 4-2] 개인적 일의 가치(연도별)(Q2)	213
[그림 4-3] 사회적 일의 가치(연도별)(Q2)	214
[그림 4-4] 일의 만족 영역(연도별)(Q3)	215
[그림 4-5] 직업 의견/관습(연도별)(Q4)	217
[그림 4-6]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 의향(Q7)	219
[그림 4-7] 직업태도(연도별)(Q8)	221
[그림 4-8] 경제적 보상에 따른 근로시간 연장 의향(연도별)(Q8-6)	222
[그림 4-9] 자기직업전문성(연도별)(Q9)	224
[그림 4-10] 직업의식 주요 쟁점(연도별)(Q11)	225
[그림 4-11] 전반적 윤리(연도별)(Q13)	227
[그림 4-12] 직업윤리(연도별)(Q10)_1	229
[그림 4-13] 직업윤리(연도별)(Q10)_2	229
[그림 4-14] 직업윤리(연도별)(Q10)_3	230
[그림 4-15] 직업위세(연도별)(Q10)_1	231
[그림 4-16] 직업위세(연도별)(Q10)_2	231
[그림 4-17] 직업위세(연도별)(Q10)_3	232
[그림 4-18] 직업위세(연도별)(Q10)_4	232
[그림 4-19] 직장의 부정한 일에 대한 태도(Q16)	233
[그림 4-20] 타인과 자신의 공정한 일 처리 판단 인식 변화(Q17 & Q18)	235
[그림 4-21] 승진(진급) 장애의 귀인 양식(연도별)(Q20)	237
[그림 4-22] 능력에 따른 임금 차등화(연도별)(Q21)	238
[그림 4-23]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연도별)(Q22)	240
[그림 4-24] 행복도(연도별)(Q23)	242
[그림 4-25] 경제 상태(연도별)(Q33)	243
[그림 4-26] 삶의 영역에서 일이 차지하는 중요도(코로나 전/후 비교)(Q1)	245
[그림 4-27] 일의 가치(코로나 전/후 비교)(Q2)	246
[그림 4-28] 일의 만족도(코로나 전/후 비교)(Q3)	247
[그림 4-29] 직업 의견/관습(코로나 전/후 비교)(Q4)	249
[그림 4-30] 본인의 업무에 대한 갑/을 소속 여부(Q6)	250
[그림 4-31] 자기직업전문성(코로나 전/후 비교)(Q9)	251
[그림 4-32] 경력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코로나 전/후 비교)(Q12)	257
[그림 4-33] 전반적 윤리(코로나 전/후 비교)(Q13)	260
[그림 4-34] 직업위세(코로나 전/후 비교)(Q10)_1	262
[그림 4-35] 직업위세(코로나 전/후 비교)(Q10)_2	263
[그림 4-36] 직업윤리(코로나 전/후 비교)(Q10)_1	266
[그림 4-37] 직업윤리(코로나 전/후 비교)(Q10)_2	266
[그림 4-38] 직무수행윤리의 시대적 변화: 코로나 이전 및 이후(Q14)	270
[그림 4-39] 업무시간 외 온라인을 통한 업무지시에 대한 인식 변화(Q15)	272
[그림 4-40] 우리 사회의 공정성(연도별)(Q19)	274
[그림 4-41]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코로나 전/후 비교)(Q22)	276
[그림 4-42] 행복도(코로나 전/후 비교)(Q23)	278
[그림 4-43] 전반적 건강 상태(Q27)	281
[그림 4-44] 코로나 이전 대비, 소득 증가 여부(Q32)	284
[그림 5-1] 제2차년도(2023년) 국제비교연구 지속사업을 위한 제언	33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