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기술적·비기술적 측면에서의 작업 자동화 위험률 상위 목록 19
<표 1-2> 기술적·비기술적 측면에서의 직업 자동화 위험률 상위 목록 20
<표 2-1> 언어모델을 자체 구현한 선행 연구 48
<표 2-2> 사전 학습 모델(BERT)을 활용한 선행 연구 49
<표 3-1> 토큰화 결과 (예시) 80
<표 3-2> 표제어 추출 결과(예시) 82
<표 3-3> 문서-단어 행렬 83
<표 3-4> 텍스트 임베딩 결과 84
<표 3-5> 단어-유사도 행렬 (예시) 85
<표 3-6> 혼동 행렬 89
<표 3-7> 자동화 기계학습 리더보드 93
<표 3-8> 2차 강화학습 모형(최종 모형)의 혼동행렬: 기술적 대체가능성 96
<표 3-9> 2차 강화학습 모형(최종 모형)의 혼동행렬: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98
<표 3-10> 강화학습 단계별 상위 50개 단어의 구성 비율 변화 102
<표 3-11> 인공지능에 의한 대체 확률 순위 유사도 104
<표 3-12> 작업유형별 대체 가능한 직업의 수(2022년도 예측) 111
<표 3-13> 작업유형별 대체 가능한 직업의 수(1차/2차 연도 예측 비교) 112
<표 3-14> 1차 연도 기술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14
<표 3-15> 2차년도 기술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15
<표 3-16> 1차 연도 기술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16
<표 3-17> 2차 연도 기술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18
<표 3-18> 1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19
<표 3-19> 2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20
<표 3-20> 1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22
<표 3-21> 2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23
<표 3-22> 변화영역 직업을 구성하는 작업들의 위험도별 분포 130
<표 3-23> 전문 간호사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2
<표 3-24> 전문 간호사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3
<표 3-25> 전기 및 전자 기기 조립원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4
<표 3-26> 전기 및 전자 기기 조립원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5
<표 3-27> 교육 및 소통 상담사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6
<표 3-28> 교육 및 소통 상담사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7
<표 3-29> 지역사회 및 커뮤니티 지원 활동가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9
<표 3-30> 지역사회 및 커뮤니티 지원 활동가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50
<표 3-31> 기계 제작자·운전자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2
<표 3-32> 기계 제작자·운전자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3
<표 3-33> 컨베이어 조작기술자 및 입찰자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5
<표 3-34> 컨베이어 조작기술자 및 입찰자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5
<표 3-35> 특수교육 전문가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8
<표 3-36> 특수교육 전문가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60
<표 3-37> 역학 전문가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61
<표 3-38> 역학 전문가 보조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62
<표 4-1> 16개 산업 부문별 전문가 분포 171
<표 4-2>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유형 1순위 179
<표 4-3>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유형 2순위 183
<표 4-4>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유형별 1순위 / 2순위 분포 185
<표 4-5> 부가가치 및 고용기준 유형별 1순위 / 2순위 분포 186
<표 4-6> 1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예측값) 188
<표 4-7> 1순위 예측 유형 고용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예측값) 189
<표 4-8> 부가가치・고용 증가율 1순위와 2순위 비교 191
<표 5-1> 산업연관 모형 산업 구성 200
<표 5-2> 산업분류 조정 내용 202
<표 5-3> 산업별 2030년 부가가치 및 근로자 수 예측값(제1순위) 203
<표 5-4> 산업별 2030년 부가가치 및 근로자 수 예측값(제2순위) 204
<표 5-5> 2030년 산업연관 모형 적용 시나리오 206
<표 5-6> OEWS 자료(미국)의 산업분류 208
<표 5-7> 미국-한국 산업 연결 과정(단순 연결) 209
<표 5-8> 미국-한국 산업 연결 과정(산업 분리) 211
<표 5-9> 미국-한국 산업 연결 과정(산업 재조합) 212
<표 5-10> 인공지능 대체확률과 직업 그룹 214
<표 5-11>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221
<표 5-12>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226
<표 5-13>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기술적 대체확률) 229
<표 5-14>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233
<표 5-15>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그룹 1) 238
<표 5-16>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그룹 2) 240
<표 5-17>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 (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그룹 1) 241
<표 5-18>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그룹 2) 243
<표 5-19>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그룹 3) 244
<표 5-20> 2030년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노동 변동량 비교 245
<표 5-21>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250
<표 5-22>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253
<표 5-23> 2030년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고용 변동량 비교 257
<부표 1-1> 조사 최종 리스트 316
<부표 1-2> 전문가 강화학습 조사 절차 318
<부표 1-3> 설문문항 예시(기술적 측면) 319
<부표 1-4> 설문문항 예시(사회·경제적 측면) 320
<부표 3-1> 전문가 조사 대상 정보 327
<부표 3-2> 32개 세부 산업부문별 전문가 분포 330
<부표 3-3> 산업별 1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예측값(2030년) 338
<부표 3-4> 산업별 1순위 예측 유형 고용 예측값(2030년) 339
<부표 3-5>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340
<부표 3-6>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예측값(2030년) 341
<부표 3-7>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고용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342
<부표 3-8>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고용 예측값(2030년) 343
<부표 4-1> 16개 산업 연도별 부가가치 344
<부표 4-2> 16개 산업 연도별 근로자 수 346
<부표 5-1>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기술적 대체 확률, 그룹 1) 350
<부표 5-2>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기술적 대체 확률, 그룹 2) 360
<부표 5-3>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그룹 1) 368
<부표 5-4>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그룹 2) 372
<부표 5-5>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기술적 대체 확률) 384
<부표 5-6>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사회경제적 대체확률) 387
<부표 5-7> 직업별 2030년 취업자 및 자동화 고위험 그룹 취업자 수(기술적 측면) 390
<부표 5-8> 직업별 2030년 취업자 및 자동화 고위험 그룹 취업자 수(사회경제적 측면) 399
[그림 1-1] 2021년 연구모델과 2022년 연구의 고도화 모델 9
[그림 1-2] 2022년도 연구 방법 개요 13
[그림 1-3]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작업(왼쪽)과 직업(오른쪽)의 대체확률 등고지도 18
[그림 1-4] 고위험 직종 자동화 확률 분포 21
[그림 1-5] 저위험 직종 자동화 확률 분포 22
[그림 1-6] 중위험 직종 자동화 확률 분포 23
[그림 1-7] 인공지능 도입 시 자동화 확률 변동 폭이 큰 직종 24
[그림 2-1] 기업 측면에서의 생산성 효과의 경로 40
[그림 2-2] 소비자 측면에서의 생산성 효과의 경로 41
[그림 2-3] ‘사라진 중간영역(missing middle)’ 42
[그림 2-4] 연구의 분석 전략 44
[그림 2-5] 언어 모델 47
[그림 2-6] 탄력적 산업연관(FlexIO) 방법론 67
[그림 2-7] 인공지능 충격에 의한 산업별・직업별 고용 전망을 위한 단계별 연구 방법 71
[그림 3-1] 가중치가 부여된 문서-단어 행렬 산출 도식 87
[그림 3-2] 훈련․평가 데이터 분할 88
[그림 3-3] 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 및 곡선 하부 면적 92
[그림 3-4] 모델 고도화 개념도 95
[그림 3-5] 단계별 성능 평가지표 변화: 기술적 대체가능성 97
[그림 3-6] 단계별 성능 평가지표 변화: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99
[그림 3-7] 2차 강화학습 모형의 주요 단어 구성: 기술적 대체가능성 100
[그림 3-8] 2차 강화학습 모형의 주요 단어 구성: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101
[그림 3-9] 직업 대체확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그룹 분류 개념도 106
[그림 3-10] 직업별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7
[그림 3-11] 직업별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8
[그림 3-12] 직업별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8
[그림 3-13] 직업별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9
[그림 3-14] 과년 및 금년도 직업별 대체확률(평균, 표준편차) 분포 결과 비교 113
[그림 3-15] 1차 연도 기술적 대체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 결과 126
[그림 3-16] 2차 연도 기술적 대체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 결과 127
[그림 3-17] 1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 결과 128
[그림 3-18] 2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분석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결과 129
[그림 3-19] 위험도별 tf-idf값 기준 상위 20개 단어(기술적 대체가능성) 132
[그림 3-20]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기술적 대체가능성 증가 133
[그림 3-21]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기술적 대체가능성 감소 135
[그림 3-22] 위험도별 tf-idf값 기준 상위 20개 단어(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136
[그림 3-23]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증가 138
[그림 3-24]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감소 139
[그림 3-25] 변화 직업군 군집 분류 기준 140
[그림 3-26] 기술적 대체 관점에서 군집 분류 결과 141
[그림 3-27] 사회경제적 대체 변화 직업군 세부 분석결과 151
[그림 4-1] 조사 방법 및 절차 172
[그림 4-2]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생산성 변화의 네 가지 유형과 순위 선정 174
[그림 4-3] 해당 산업부문의 고용(L), 부가가치(V)의 평균 추정값,최소와 최대 추정값 조정 175
[그림 4-4]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1순위 유형 비율 180
[그림 4-5]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2순위 유형 비율 184
[그림 4-6] 1순위와 2순위 산업별 부가가치 증가율(%) 192
[그림 4-7] 1순위와 2순위 산업별 고용 증가율(%) 193
[그림 5-1] 산업-직업 연결 모형 구성 213
[그림 5-2] 인공지능에 의한 노동시장 전망 과정 215
[그림 5-3] 2030년 산업연관 모형의 산출계수(제1순위 시나리오) 217
[그림 5-4] 2030년 산업연관 모형의 산출계수(제2순위 시나리오) 218
[그림 5-5]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산업 산출계수 열 값 비교 219
[그림 5-6] ‘금융 및 보험 서비스’ 산업 산출계수 열 값 비교 220
[그림 5-7]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230
[그림 5-8]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232
[그림 5-9]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234
[그림 5-10]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236
[그림 6-1] Fish-bone 다이어그램: 택배기사 직업의 대체가능성 탐색(예시) 276
[부도 3-1] 전문가 설문조사지 332
[부도 5-1]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348
[부도 5-2]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348
[부도 5-3]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349
[부도 5-4]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349
[부도 5-5]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385
[부도 5-6]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385
[부도 5-7]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386
[부도 5-8]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386
[부도 5-9]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388
[부도 5-10]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388
[부도 5-11]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389
[부도 5-12]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