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데이터 기반 미래숙련 전망체계 구축(2022)

The Construction of Data-based Skill Forecasting System (2022)
저자
조성익 반가운 황하 김영빈 윤종혁 최영렬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1
등록일
2023.02.02
주제어
인공지능, 미래의 일과 일자리, 예측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21년도 연구 요약	14
제3절  연구 구성	25
제2장  연구 방법론 구축_27
제1절  선행 연구 검토	29
제2절  연구모델의 이론적 프레임	46
제3절  연구방법 및 절차	69
제3장  언어분석모델 구축: 인공지능에 의한 일의 변화_73
제1절  분석모델 구축	75
제2절  분석 결과	96
제3절  소결	163
제4장  산업별 인공지능 기술 충격 시나리오 분석_167
제1절  조사 개요	169
제2절  분석 결과	178
제3절  소결	194
제5장  인공지능에 의한 산업과 노동시장 변동 전망_197
제1절  2030년 산업연관 모형 구축	199
제2절  분석 결과	216
제3절  소결	260
제6장  결론_263
제1절  요약	265
제2절  숙련전망 체계 구축(’21~’22) 연구의 한계점	271
제3절  연구 의의와 남겨진 질문들	286
영문요약_293
참고문헌_297
부록_313
부록 1. 언어모델 고도화를 위한 전문가 조사 개요	315
부록 2. 강화학습 전문가 워크숍에서 제기된 의견들	321
부록 3. 산업별 시나리오 전망을 위한 전문가 조사 	327
부록 4. 2030년 산업연관표 작성을 위한 16개 산업 생산성 지표	344
부록 5. 산업연관모델 기반 시나리오별 분석결과	348
본 연구는 새로운 기술이 일의 세계에 가져올 충격을 분석하는 데 지금까지 주로 의존해온 작업중심적 기술변화(task-based technical change) 이론이 전제하는 세 가지 개념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한다. 첫째, 기술이 직업이 수행하는 특정 작업을 대체하여 해당 직업의 일자리 감소를 가져온다는 작업중심적 이론은 기술의 발명과 실제 일상생활과 작업장에 도입되는 것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기술적 실행가능성(technical feasibility)’을 전제한다. 즉 작업중심적 접근은 실험실에서 발명된 기술의 성능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인간의 능력을 대체할 수 있다면 해당 작업과 일자리를 기계가 대체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하지만 기술을 실제 일터와 생활에 도입할 때 기술적 능력 못지않게 경제적·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forecasting model of, so called, ‘future of work and employment’, focusing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cie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very recognition that the great uncertainty is embedded in forecasting AI’s effects on labor markets due to its disruptive nature associated with its three important technological features, general purpose technology, the great potentials to mimic huma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capabilities, and rapid technological advance. Therefore, our primary task is experimenting with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to a hybrid one while excavating new information and transforming it into standardized data. ...
<표 1-1> 기술적·비기술적 측면에서의 작업 자동화 위험률 상위 목록	19
<표 1-2> 기술적·비기술적 측면에서의 직업 자동화 위험률 상위 목록	20
<표 2-1> 언어모델을 자체 구현한 선행 연구	48
<표 2-2> 사전 학습 모델(BERT)을 활용한 선행 연구	49
<표 3-1> 토큰화 결과 (예시)	80
<표 3-2> 표제어 추출 결과(예시)	82
<표 3-3> 문서-단어 행렬	83
<표 3-4> 텍스트 임베딩 결과	84
<표 3-5> 단어-유사도 행렬 (예시)	85
<표 3-6> 혼동 행렬	89
<표 3-7> 자동화 기계학습 리더보드	93
<표 3-8> 2차 강화학습 모형(최종 모형)의 혼동행렬: 기술적 대체가능성	96
<표 3-9> 2차 강화학습 모형(최종 모형)의 혼동행렬: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98
<표 3-10> 강화학습 단계별 상위 50개 단어의 구성 비율 변화	102
<표 3-11> 인공지능에 의한 대체 확률 순위 유사도	104
<표 3-12> 작업유형별 대체 가능한 직업의 수(2022년도 예측)	111
<표 3-13> 작업유형별 대체 가능한 직업의 수(1차/2차 연도 예측 비교)	112
<표 3-14> 1차 연도 기술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14
<표 3-15> 2차년도 기술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15
<표 3-16> 1차 연도 기술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16
<표 3-17> 2차 연도 기술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18
<표 3-18> 1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19
<표 3-19> 2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상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20
<표 3-20> 1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2차 연도 예측	122
<표 3-21> 2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하위직업에 대한 1차 연도 예측	123
<표 3-22> 변화영역 직업을 구성하는 작업들의 위험도별 분포	130
<표 3-23> 전문 간호사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2
<표 3-24> 전문 간호사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3
<표 3-25> 전기 및 전자 기기 조립원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4
<표 3-26> 전기 및 전자 기기 조립원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5
<표 3-27> 교육 및 소통 상담사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6
<표 3-28> 교육 및 소통 상담사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7
<표 3-29> 지역사회 및 커뮤니티 지원 활동가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49
<표 3-30> 지역사회 및 커뮤니티 지원 활동가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확률	150
<표 3-31> 기계 제작자·운전자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2
<표 3-32> 기계 제작자·운전자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3
<표 3-33> 컨베이어 조작기술자 및 입찰자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5
<표 3-34> 컨베이어 조작기술자 및 입찰자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5
<표 3-35> 특수교육 전문가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58
<표 3-36> 특수교육 전문가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60
<표 3-37> 역학 전문가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61
<표 3-38> 역학 전문가 보조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162
<표 4-1> 16개 산업 부문별 전문가 분포	171
<표 4-2>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유형 1순위	179
<표 4-3>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유형 2순위	183
<표 4-4>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유형별 1순위 / 2순위 분포	185
<표 4-5> 부가가치 및 고용기준 유형별 1순위 / 2순위 분포	186
<표 4-6> 1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예측값)	188
<표 4-7> 1순위 예측 유형 고용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예측값)	189
<표 4-8> 부가가치・고용 증가율 1순위와 2순위 비교	191
<표 5-1> 산업연관 모형 산업 구성	200
<표 5-2> 산업분류 조정 내용	202
<표 5-3> 산업별 2030년 부가가치 및 근로자 수 예측값(제1순위)	203
<표 5-4> 산업별 2030년 부가가치 및 근로자 수 예측값(제2순위)	204
<표 5-5> 2030년 산업연관 모형 적용 시나리오	206
<표 5-6> OEWS 자료(미국)의 산업분류	208
<표 5-7> 미국-한국 산업 연결 과정(단순 연결)	209
<표 5-8> 미국-한국 산업 연결 과정(산업 분리)	211
<표 5-9> 미국-한국 산업 연결 과정(산업 재조합)	212
<표 5-10> 인공지능 대체확률과 직업 그룹	214
<표 5-11>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221
<표 5-12>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226
<표 5-13>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기술적 대체확률)	229
<표 5-14>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233
<표 5-15>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그룹 1)	238
<표 5-16>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그룹 2)	240
<표 5-17>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 (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그룹 1)	241
<표 5-18>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그룹 2)	243
<표 5-19>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예(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그룹 3)	244
<표 5-20> 2030년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노동 변동량 비교	245
<표 5-21>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기술적 대체확률)	250
<표 5-22>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산업별, 사회경제적 대체확률)	253
<표 5-23> 2030년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고용 변동량 비교	257
<부표 1-1> 조사 최종 리스트	316
<부표 1-2> 전문가 강화학습 조사 절차	318
<부표 1-3> 설문문항 예시(기술적 측면)	319
<부표 1-4> 설문문항 예시(사회·경제적 측면)	320
<부표 3-1> 전문가 조사 대상 정보	327
<부표 3-2> 32개 세부 산업부문별 전문가 분포	330
<부표 3-3> 산업별 1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예측값(2030년)	338
<부표 3-4> 산업별 1순위 예측 유형 고용 예측값(2030년)	339
<부표 3-5>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340
<부표 3-6>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부가가치 예측값(2030년)	341
<부표 3-7>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고용 증가율(2021년 대비 2030년)	342
<부표 3-8> 산업별 2순위 예측 유형 고용 예측값(2030년)	343
<부표 4-1> 16개 산업 연도별 부가가치	344
<부표 4-2> 16개 산업 연도별 근로자 수	346
<부표 5-1>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기술적 대체 확률, 그룹 1)	350
<부표 5-2>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기술적 대체 확률, 그룹 2)	360
<부표 5-3>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그룹 1)	368
<부표 5-4>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직업별, 사회경제적 대체 확률, 그룹 2)	372
<부표 5-5>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기술적 대체 확률)	384
<부표 5-6> 2030년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 비교(사회경제적 대체확률)	387
<부표 5-7> 직업별 2030년 취업자 및 자동화 고위험 그룹 취업자 수(기술적 측면)	390
<부표 5-8> 직업별 2030년 취업자 및 자동화 고위험 그룹 취업자 수(사회경제적 측면)	399
[그림 1-1] 2021년 연구모델과 2022년 연구의 고도화 모델	9
[그림 1-2] 2022년도 연구 방법 개요	13
[그림 1-3]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작업(왼쪽)과 직업(오른쪽)의 대체확률 등고지도	18
[그림 1-4] 고위험 직종 자동화 확률 분포	21
[그림 1-5] 저위험 직종 자동화 확률 분포	22
[그림 1-6] 중위험 직종 자동화 확률 분포	23
[그림 1-7] 인공지능 도입 시 자동화 확률 변동 폭이 큰 직종	24
[그림 2-1] 기업 측면에서의 생산성 효과의 경로	40
[그림 2-2] 소비자 측면에서의 생산성 효과의 경로	41
[그림 2-3] ‘사라진 중간영역(missing middle)’	42
[그림 2-4] 연구의 분석 전략	44
[그림 2-5] 언어 모델	47
[그림 2-6] 탄력적 산업연관(FlexIO) 방법론	67
[그림 2-7] 인공지능 충격에 의한 산업별・직업별 고용 전망을 위한 단계별 연구 방법	71
[그림 3-1] 가중치가 부여된 문서-단어 행렬 산출 도식	87
[그림 3-2] 훈련․평가 데이터 분할	88
[그림 3-3] 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 및 곡선 하부 면적	92
[그림 3-4] 모델 고도화 개념도	95
[그림 3-5] 단계별 성능 평가지표 변화: 기술적 대체가능성	97
[그림 3-6] 단계별 성능 평가지표 변화: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99
[그림 3-7] 2차 강화학습 모형의 주요 단어 구성: 기술적 대체가능성	100
[그림 3-8] 2차 강화학습 모형의 주요 단어 구성: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101
[그림 3-9] 직업 대체확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그룹 분류 개념도	106
[그림 3-10] 직업별 핵심작업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7
[그림 3-11] 직업별 부수작업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8
[그림 3-12] 직업별 핵심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8
[그림 3-13] 직업별 부수작업의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예측 결과	109
[그림 3-14] 과년 및 금년도 직업별 대체확률(평균, 표준편차) 분포 결과 비교	113
[그림 3-15] 1차 연도 기술적 대체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 결과	126
[그림 3-16] 2차 연도 기술적 대체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 결과	127
[그림 3-17] 1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분석 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 결과	128
[그림 3-18] 2차 연도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분석결과에 따른 직업변화 전망결과	129
[그림 3-19] 위험도별 tf-idf값 기준 상위 20개 단어(기술적 대체가능성)	132
[그림 3-20]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기술적 대체가능성 증가	133
[그림 3-21]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기술적 대체가능성 감소	135
[그림 3-22] 위험도별 tf-idf값 기준 상위 20개 단어(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136
[그림 3-23]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증가	138
[그림 3-24] 대체위험도에 따른 단어 중요도 변화: 사회경제적 대체가능성 감소	139
[그림 3-25] 변화 직업군 군집 분류 기준	140
[그림 3-26] 기술적 대체 관점에서 군집 분류 결과	141
[그림 3-27] 사회경제적 대체 변화 직업군 세부 분석결과	151
[그림 4-1] 조사 방법 및 절차	172
[그림 4-2]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생산성 변화의 네 가지 유형과 순위 선정	174
[그림 4-3] 해당 산업부문의 고용(L), 부가가치(V)의 평균 추정값,최소와 최대 추정값 조정	175
[그림 4-4]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1순위 유형 비율	180
[그림 4-5]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각 산업별 생산성 변화 2순위 유형 비율	184
[그림 4-6] 1순위와 2순위 산업별 부가가치 증가율(%)	192
[그림 4-7] 1순위와 2순위 산업별 고용 증가율(%)	193
[그림 5-1] 산업-직업 연결 모형 구성	213
[그림 5-2] 인공지능에 의한 노동시장 전망 과정	215
[그림 5-3] 2030년 산업연관 모형의 산출계수(제1순위 시나리오)	217
[그림 5-4] 2030년 산업연관 모형의 산출계수(제2순위 시나리오)	218
[그림 5-5]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산업 산출계수 열 값 비교	219
[그림 5-6] ‘금융 및 보험 서비스’ 산업 산출계수 열 값 비교	220
[그림 5-7]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230
[그림 5-8]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232
[그림 5-9]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234
[그림 5-10]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수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236
[그림 6-1] Fish-bone 다이어그램: 택배기사 직업의 대체가능성 탐색(예시)	276
[부도 3-1] 전문가 설문조사지	332
[부도 5-1]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348
[부도 5-2]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348
[부도 5-3]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349
[부도 5-4]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349
[부도 5-5]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385
[부도 5-6]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385
[부도 5-7]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1)	386
[부도 5-8]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기술적 대체, 그룹 2)	386
[부도 5-9]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388
[부도 5-10]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부가가치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388
[부도 5-11]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1)	389
[부도 5-12] 인공지능 대체 취업자 비율과 노동 증감률(사회경제적 대체, 그룹 2)	38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데이터 기반 미래숙련 전망체계 구축(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