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1> 산출 테이블 (기존 GDP) 62
<표 3-2> 지출 테이블 (기존 GDP) 63
<표 3-3> 산출 테이블 (기존 GDP, 훈련 있음) 64
<표 3-4> 지출 테이블 (기존 GDP, 훈련 있음) 64
<표 3-5> 산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비용접근) 66
<표 3-6> 지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비용접근) 66
<표 3-7> 산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산출접근) 67
<표 3-8> 지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산출접근) 68
<표 3-9> 산출 테이블 (기존 GDP, 훈련 있음, 교육 있음) 71
<표 3-10> 지출 테이블 (기존 GDP, 훈련 있음, 교육 있음) 71
<표 3-11> 산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교육 있음, 비용접근) 72
<표 3-12> 지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교육 있음, 비용접근) 72
<표 3-13> 산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교육 있음, 산출접근) 73
<표 3-14> 지출 테이블 (Human GDP, 훈련 있음, 교육 있음, 산출접근) 73
<표 4-1> 한국의 기업 교육훈련비와 고등교육의 사회적 이득 83
<표 4-2> 기업 교육훈련비와 고등교육의 사회적 이득 국제비교 84
<표 4-3> 기업 교육훈련비 지출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 86
<표 4-4> 한국의 Human GDP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 87
<표 4-5> Human GDP 국제비교를 위한 기초자료 88
<표 4-6> 한국의 Human GDP 시계열 - 기업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비용 접근)와 가계 혹은 정부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 90
<표 4-7> 한국의 Human GDP 측정 - 기업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산출 접근) 91
<표 4-8> 한국의 Human GDP 측정 - 기업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산출 접근)와 가계 혹은 정부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 92
<표 4-9> Human GDP 국제비교 - 기업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비용 접근)와 가계 혹은 정부 지출 교육훈련비 자산화 100
<표 4-10> 과잉학력과 과잉스킬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111
<표 4-11> 2015년 과잉 학력이 조정된 고등교육의 사회적 이득 113
<표 5-1> GDP 보완지표들 120
<표 5-2> 2019 HDI 지표 순위 123
<표 5-3> SPI의 구조 132
<표 5-4> OECD 국가 BLI 순위와 GDP per capita 순위 (2020년) 142
[그림 2-1] 소득 상위 10%의 점유비(1910~2010년) 17
[그림 2-2] 개량된 GPI의 지표체계 27
[그림 4-1] 한국의 Human GDP 측정 93
[그림 4-2] 한국의 Human GDP 요인별 분해(산출의 단기효과) 96
[그림 4-3] 한국의 Human GDP 요인별 구성비(산출의 단기효과) 96
[그림 4-4] 한국의 Human GDP 요인별 분해(산출의 장기효과) 97
[그림 4-5] 한국의 Human GDP 요인별 구성비(산출의 장기효과) 97
[그림 4-6] 2015년 Human GDP 국제비교 101
[그림 4-7] 2015년 Human GDP 국제비교(요인별 분해) 102
[그림 4-8] 2015년 Human GDP의 GDP 대비 크기 국제비교 103
[그림 4-9] 2010년 Human GDP 국제비교 104
[그림 4-10] 2010년 Human GDP 국제비교(요인별 분해) 105
[그림 4-11] 2010년 Human GDP의 GDP 대비 크기 국제비교 106
[그림 4-12] 국가별 Human GDP 1-2의 기간 간 변화 107
[그림 4-13] 국가별 Human GDP 2-2의 기간 간 변화 108
[그림 4-14] 2015년 과잉 학력이 조정된 Human GDP 국제비교 112
[그림 4-15] 2015년 과잉학력이 조정된 Human GDP의 GDP 대비 크기 국제비교 114
[그림 5-1] HDI 지표 구성 122
[그림 5-2] HDI와 GNI의 관계 (2019년) 125
[그림 5-3] 시간에 따른 HDI 변화 126
[그림 5-4] OECD Framework for Measuring Well-being(FMW) 127
[그림 5-5] BLI 시각 자료 구성 128
[그림 5-6] 우리나라의 BLI (2020년) 129
[그림 5-7] OECD 국가들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130
[그림 5-8] 2021 SPI 순위(1, 2 티어) 133
[그림 5-9] 시간에 따른 사회 진보 요소별 변화 (2011-2021년) 134
[그림 5-10] 한국의 SPI 점수 변화 (2011-2021년) 135
[그림 5-11] HDI와 GDP per capita 관계 (2019년) 137
[그림 5-12] 한국의 HDI와 GDP per capita 관계 (1990-2019년) 137
[그림 5-13] HDI와 GDP per capita 성장률의 관계 (2019년) 139
[그림 5-14] 짐바브웨의 HDI와 GDP per capita 관계 (1990-2019) 140
[그림 5-15] 짐바브웨의 GDP와 교육수준 관계 (1990-2019) 140
[그림 5-16] BLI와 GDP per capita 관계 142
[그림 5-17] 삶의 만족도와 GDP per capita 관계 (2020년) 144
[그림 5-18] HDI와 Human GDP 1-2 관계 (2015년) 146
[그림 5-19] HDI와 Human GDP 2-2 관계 (2015년) 147
[그림 5-20] HDI와 Human GDP 1-2 성장률의 관계 (2010-2015년) 148
[그림 5-21] HDI와 Human GDP 2-2 성장률의 관계 (2010-2015년) 148
[그림 5-22] 한국의 HDI와 Human GDP의 변화 (2010-2020년) 149
[그림 5-23] 삶의 만족도와 Human GDP 1-2 관계 (2015년) 151
[그림 5-24] 삶의 만족도와 Human GDP 2-2 관계 (2015년) 152
[그림 5-25] 일-생활 균형과 Human GDP 1-2 관계 (2015년) 153
[그림 5-26] 일-생활 균형과 Human GDP 2-2 관계 (2015년) 153
[그림 6-1] 한국의 Human GDP 시계열 요인별 분해 161
[그림 6-2] 한국의 Human GDP 시계열 요인별 분해(1인당 GDP=100) 162
[그림 6-3] 2015년 Human GDP 국제비교 요인별 분해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