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고등단계 진로교육 발전 방안

A Study on how to develop college career education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저자
박동 박나실 정지은 권효원 김민석 최영렬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1
등록일
2023.02.02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 디지털 인재양성, 고등단계 진로교육
요 약_ⅸ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9
제3절 연구 범위와 한계	15
제2장 국내의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 현황과 문제점_17
제1절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인재의 개념과 범위	19
제2절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 정책 현황	29
제3절 대학의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진로지도 현황과 문제점	41
제4절 시사점	57
제3장 해외의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진로교육 사례 분석_63
제1절 미국의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과 진로개발 지원 사례	65
제2절 중국의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과 진로교육 사례	97
제3절 시사점	109
제4장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진로교육 관련 실태조사 결과 분석_113
제1절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진로교육 관련 실태조사 개요	115
제2절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진로교육 관련 실태조사 결과 분석	119
제3절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진로교육 관련 다중회귀분석 결과	162
제4절 시사점	170
제5장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고등단계 진로교육 발전 방향 및 제언_177
제1절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고등단계 진로교육의 발전 방향	179
제2절 정책제언	184
SUMMARY_199
참고문헌_201
부  록_215
1. 설문조사지	217
이 연구는 인공지능 융합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대학의 인재양성 전략의 변화, 산업현장의 동향 및 변화 추세,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과 상황 등을 진단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개발 및 진로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지능 기술로 대표되는 미래 신기술 시대에 필요한 인재양성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과 직업 세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핵심적인 진로개발 역량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인공지능 융합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재상의 변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교육기관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과 고등교육기관의 디지털 격차 심화를 완화하고,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진로개발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고등단계의 진로교육에 대한 방향과 논의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융합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의 인재양성 및 진로교육 발전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의 인재양성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한다. 둘째, 디지털 전환에 요구되는 대학 단계의 디지털 문해력 제고 및 진로개발 역량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디지털 전환에 요구되는 대학에서의 진로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실태분석을 실시한다. 끝으로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고등단계 진로교육 발전 방향 및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s and tasks of digit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ing on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Korea is lagging behin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government, which was newly launched in May 2022, set the task of cultivating ‘1 million digital talents’ under the goal of ‘creating a bold future that is made up of autonomy and creativity’ among the 110 national tasks and presented the training of digital talents as the most important policy goal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ther words, we will create a foundation for softwar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education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so that we can train key talents in new industries and new technologies with capabilities such as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timely manner. ...
<표 1-1> SW․AI 분야의 전문인력 총수요 전망	5
<표 1-2> 설문조사 개요	12
<표 2-1> 디지털 전환의 개념(비즈니스 영역) 	21
<표 2-2> 1차 및 2차 디지털 기술	23
<표 2-3> 유럽위원회(EC)의 DigComp 2.0	26
<표 2-4> 하드 디지털 스킬과 소프트 디지털 스킬	27
<표 2-5>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의 ‘거점형 특화 프로그램’ 예시	37
<표 2-6> 2022년 ‘진로-교육-취업연계 지원’ 사업(위밋 프로젝트) 참여 대학 및 기업	39
<표 2-7> 고려대의 핵심 교양과목 ‘디지털 혁신과 인간’ 영역	42
<표 2-8> 대학-기업 간 디지털 인재 양성 관련 업무 협약	43
<표 2-9> 2022년도 AI 관련 학과 신설 대학 현황	44
<표 2-10> 인공지능 분야의 대학원 및 센터 선정대학	45
<표 2-11> 대학생의 진로 및 취·창업교육 서비스 만족도	50
<표 3-1>기존의 대학 학사 시스템과 스탠퍼드의 개방형 순환 대학 시스템 비교	68
<표 3-2> 일반 대학과 스탠퍼드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69
<표 3-3> 스탠퍼드 대학의 조절형 교육과정(Paced Education) 체계	69
<표 3-4> 스탠퍼드 창업네트워크(SEN) 조직(회원) 구성	75
<표 3-5> MIT 교육의 미래를 위한 4대 핵심영역과 방안	77
<표 3-6> MIT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 edX 참여 대학/기업 현황	80
<표 3-7> MIT 미디어랩의 공유 가치	82
<표 3-8> MIT 미디어랩 연구 그룹(2022년 하반기 기준)	83
<표 3-9> MIT 인공지능 특화 단과대학의 운영 협력 체계	87
<표 3-10> MIT 창업가정신 교육 및 활동 지원 프로그램 현황	94
<표 3-11> 중국 칭화대학 동문의 인공지능 분야 창업 기업 현황	101
<표 4-1> 조사 대상별 표본 수	115
<표 4-2> 조사의 주요 내용	117
<표 4-3> 조사 응답자의 특성 구분	118
<표 4-4>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문해력 정도에 대한 인식	119
<표 4-5>대학과 초·중·고등학교, 산업체들 사이의 디지털 인재 양성 협력에 대한 인식	121
<표 4-6> 대학의 신입생들을 위한 디지털 교양교육의 충분성 인식	122
<표 4-7> 대학에서 신입생 전체 대상의 디지털 교양교육 실시 필요성	123
<표 4-8>현행 국·영·수 과목 위주 대학입시의 디지털 인재 양성 적합도 인식 	125
<표 4-9>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국·영·수 과목 위주의 교육 시스템 전면 개편 인식	126
<표 4-10>우리나라 교육개혁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가장 필요한 사항	127
<표 4-11>대학 입학 단계 학생들의 디지털 문해력 수준에 대한 종합적 평가	129
<표 4-12>국내 대학들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교육에 대한 평가	131
<표 4-13>모든 학생 대상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교양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	132
<표 4-14> 대학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의 적합도 인식	133
<표 4-15> 대학의 디지털 인재 양성 기반 마련에 대한 인식	135
<표 4-16> 대학 졸업자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136
<표 4-17>디지털 교육 강화를 위한 대학, 산업체 등 인공지능 컨소시엄 구축	138
<표 4-18> 대학의 디지털 분야 취업 및 창업을 위한 준비 정도	139
<표 4-19>교수와 진로교육 담당자들의 디지털 분야 진로지도 전문성 정도	140
<표 4-20> 지역대학들과 디지털 산업체 사이의 고용연계 활성화	141
<표 4-21>대학생들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분야에 대한 관심도 인식	142
<표 4-22>디지털 분야 취업/창업 희망 학생들을 위한 진로 프로그램 제공 정도	144
<표 4-23> 대졸 예정자들의 디지털 산업 분야로의 취업 정도 인식	145
<표 4-24>대졸 예정자들의 디지털 분야에 대한 청년창업의 활성화 정도 	146
<표 4-25> 대학의 디지털 분야에 대한 청년창업 교육의 적절성	147
<표 4-26> 대학 졸업자들의 산업체 필요 디지털 역량 보유 정도	148
<표 4-27> 디지털 산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수준 인식	150
<표 4-28> 대학과 산업체 사이의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정도	153
<표 4-29> 지역 내 디지털 산업체의 활성화 정도 인식	154
<표 4-30>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이 미래 산업 발전에 미칠 영향 인식	155
<표 4-31> 대학의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 지원의 충분성	157
<표 4-32> 정부의 대학 디지털 교육 및 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만족도	158
<표 4-33>정부의 디지털 분야 진로교육 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의 충분성	160
<표 4-34>대학 디지털 분야 진로교육 관련 산·학·정 연대의 필요성 공감	161
<표 4-35>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문해력 수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3
<표 4-36>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의 진로 및 산업체 활용 적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4
<표 4-37>대졸 예정자의 디지털 산업 분야로의 취업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5
<표 4-38> 대졸 예정자의 디지털 분야 창업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6
<표 4-39>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7
<표 4-40> 정부의 대학 디지털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9
[그림 1-1]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11
[그림 2-1] 청년을 위한 맞춤형 진로설계	36
[그림 2-2] 대학생 진로 및 취·창업교육 서비스 경험	47
[그림 2-3] 진로 및 취·창업교육 과목을 수강하지 않는 이유	48
[그림 2-4] 취·창업교육 과목의 교과 영역	49
[그림 2-5] 대학생의 진로 및 취·창업 준비를 위해 필요한 사항	51
[그림 2-6] 동국대학교의 Dream PATH-빅커리어 서비스 사례	53
[그림 2-7] 성균관대학교의 챌린지스퀘어 시스템/주요 기능	54
[그림 2-8] 인천재능대학교의 인공지능(AI) 취업지원 시스템	55
[그림 2-9] 메타버스 채용박람회 사진	56
[그림 3-1] 스탠퍼드 대학의 기술 습득 모델(Skills Acquisition Model)	72
[그림 3-2] Break Through Tech AI 프로그램 단계	89
[그림 3-3] 마틴 트러스트 MIT 창업가정신센터의 운영 로드맵	93
[그림 4-1]국내 대학에서 디지털 교육이 부진하다고 보는 이유[복수 응답 100% 환산]	124
[그림 4-2]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문해력 수준이 낮다고 보는 이유[복수 응답 100% 환산]	130
[그림 4-3]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복수 응답 100% 환산]	134
[그림 4-4] 디지털 전환 시대에 가장 필요한 역량[복수 응답 100% 환산]	151
[그림 4-5] 디지털 산업체의 성장 애로사항[복수 응답 100% 환산]	151
[그림 4-6]대학생 디지털 역량 제고 및 진로 활성화에서 정부 지원 사항 [복수 응답 100% 환산]	159
[그림 4-7]대학 디지털 교육 및 진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추진 방안 [복수 응답 100% 환산]	161
[그림 5-1]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방향	18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고등단계 진로교육 발전방안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